View : 667 Download: 0

조류는 어떻게 생태통로를 이용하는가

Title
조류는 어떻게 생태통로를 이용하는가
Other Titles
How wild birds use wildlife corridors
Authors
최한이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이권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생태통로의 설계, 내부 식생 관리 및 사후 생물종모니터링을 위해 생태통로에서 관찰된 야생 조류들의 종별 이용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야생 조류는 비행이 가능하므로 생태통로 건설의 주기능인 단절된 서식지 간의 연결만을 목적으로 생태통로를 이용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의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생물종 모니터링 연구는 대부분 포유류와 양서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연구 결과에서 조류의 생태통로 이용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야생조류의 생태통로 이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야생 조류의 서식은 생태계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기 때문에 생태통로 내부 환경 구성 평가를 위한 야생조류 종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건설된 추풍령의 국도와 고속도로 생태통로에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간 5월~10월의 기간 동안 96회의 조사를 통해 야생조류 이용 현황을 연구하였다. 야생조류의 종별 이용 현황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종별 이동 경로와 이용 고도, 내부에서의 행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종별 이용 유형(이동경로, 이용고도, 행동)이 다른지 Chi-square test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Principle Component Analysis와 Clustering Anlaysis를 통해 비슷한 이용 유형의 종끼리 그룹화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생태통로 내부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57종 6,204개체였으며 그중 조사 기간 동안 20회 이상 출현한 종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속도로와 국도에서의 종, 개체수에 대한 다양한 생태지수(종다양성, 종풍부도 등)와 피도 및 내부 면적 차이가 크지 않아 따로 장소를 구분하지 않고 두 구역을 하나의 데이터로 간주하였다. Chi-square test 결과 종별 선호하는 이동경로와 이용고도, 행동은 유의미하게 달랐다(Pearson's Chi-squared test, p < 2.2e-16). 각 유형의 특징에 따라 그룹의 이름을 각각 (1) 자원의존형, (2) 연결의존형, (3) 복합의존형, (4) 비의존형 그룹으로 정의를 내렸다. 먼저, 자원의존형에 속하는 종은 노랑턱멧새 등 6종이며, 생태통로를 패치 간의 이동보다는 내부의 식생 환경을 자원으로써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특징이 있다. 연결의존형에 속하는 종은 직박구리 등 11종이 포함되었으며, 내부 식생 환경은 잘 이용하지 않지만 패치 간의 이동을 목적으로 생태통로를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합의존형에는 박새 등 4종이 포함되었으며, 생태통로를 패치 간의 이동과 함께 내부의 식생 환경을 자원으로써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그룹으로 파악되었다. 비의존형은 까마귀 등 6종으로 구성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생태통로의 존재 유무와 관계없는 이용 유형이 특징이었다. 네 그룹 중 자원의존형과 복합의존형은 생태통로 내부 식생과 물리적 환경 구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생태통로 사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목표종으로 설정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연결의존형은 생태통로를 서식지 간 이동의 목적으로 활용하므로 생태통로의 설치 장소의 선정에 중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종별 통로형 서식지 이용에 관한 기초적인 이해를 돕고, 야생조류를 위한 생태통로 내부 환경 구성을 위한 선행 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use by species of wild birds observed in wildlife corridor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ffective vegetation management of wildlife corridors and monitoring of species afterward by identifying the types of use by avian species that use wildlife corridors as suitable habitats. Because a majority of birds are highly mobile through flight, those were unlikely to be target species for the assessment of wildlife corridors with habitat quality for the main functions of wildlife corridors construction. Most studies on monitoring species in wildlife corridors in Korea focused on mammals and amphibians whereas some have confirmed the habitat use of wild birds in wildlife corridors,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es. Since bird habitat is one of important measures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ecosystem,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ecology and behavior of birds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composition within wildlife corridors. In the present study, the occupancies and movements of birds was investigated through 96 surveys in May-October of 2019-2020 for two years in the recently constructed two wildlife corridors, National Highway and Expressway wildlife corridors of Chupungnyeong Area.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use status of bird species, movement path, altitude, and behavior were recorded in an individual level. In the statistical analyses, Χ2 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behavioral types of detected birds (i.e., movement path, altitude, and internal behavior) were different, and similar types of use species were group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ing Analysis using the two-year survey data.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6,204 individuals of 57 bird species were observed inside the two wildlife corridors. Here, the target species that were detected more than 20 times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es. The differences in ecological indices (e.g.,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and inner area of the two wildlife corridors were minimal, so the survey data from the two zones were pooled as one cluster. As a result of Χ2 test, movement route, flight altitude and behavior of birds detected in the corridors were significantly various and classified by spec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group was defined as (1) Resource-dependency, (2) Connection-dependency, (3) Combined-dependeny, and (4) Independency, respectively. First of all, Resource-dependency species included Parus palustris, Sitta europaea, Paradoxornis webbianus, Passer montanus, Emberiza elegans, Parus varius. The wildlife corridors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active use of the internal vegetation environment as a resource rather than movement between patches. Connection-dependency species included Lanius bucephalus, Microscelis amaurotis, Dendrocopos major, Aegithalos caudatus, Pica pica, Garrulus glandarius, Cyanopica cyanus, Oriolus chinensis, Cuculus canorus, Streptopelia orietalis, Corvus macrorhynchos. These species used wildlife corridors for the purpose of moving between patches. Combined-dependeny species included Phoenicurus auroreus, Parus major, Emberiza cioides, Dendrocopos kizuki, which referred to a group that actively uses the internal vegetation environment as a resource along with the movement of wildlife corridors between patches. Independency species consisted of Corvus corone, Carduelis sinica, Fringilla montifringilla, Hirundo rustica, Eurystomus orientalis, Phalacrocorax carbo. They were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us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wildlife corridors. Among the four groups, the Resource-dependency and Combined-dependency groups were expected to be affected by vegeta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composition inside the wildlife corridors, which might be suitable for setting as monitoring targets for post-management of the wildlife corridors. And, since the Connection-dependency uses wildlife corridor for the purpose of moving between patched, it is important in selec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of wildlife corrid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help basic understanding of the use of passage-type habitats by species and to construct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wildlife corridors for wild bir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