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5 Download: 0

20대 여성의 아동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신체자각의 조절된 매개효과

Title
20대 여성의 아동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신체자각의 조절된 매개효과
Other Titles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of women in their 20s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Body Awareness
Authors
배세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in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hood trauma, emotion dysregulation, and depression of women in their twenties with the moderator variable of body awareness.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interest in the long-term sequelae of childhood trauma has increased and there is ongoing discussions on intervention methods for childhood trauma. Depression is the most prominent disorder among the aftereffects of such trauma. Since childhood is a period of attachment formation and neurophysiological development, trauma during this period can caus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can lead to long-lasting nega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interest in the body is important in counseling, and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the body cannot be separated. It is important to take a bottom-up approach through body awareness and to recover a sense of self and integrate emotions through this approach. Body awareness is also associated with emotion dysregulation and depre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body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By examining these relationships, we aim to understand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and provide interventions from a new perspective on the subject.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elf-reported online survey and collected data from 331 women in their 20s residing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PROCESS Macro v4.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hildhood trauma positively affected emotion dysregul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In addition, childhood trauma directly predicted depression, confirm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Second, emotion dys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and body aware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dysregulation and depression, showing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attempts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depression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on the one hand, and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body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dysregulation and depression. Furthermore, the finding that body awareness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model suggests that a bottom-up approach through body awareness beyond the traditional top-down approach is very important in trauma interventions. In sum,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utilize a more integrated approach in future studies on the trauma-depression relationship by taking into account the variable of body awareness.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여성의 아동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고 신체자각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정하는 것이다. 아동기 외상의 장기적 후유증에 대한 지속적인 이론적, 임상적 관심과 개입 방식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울은 이러한 외상의 후유증 중 가장 대표적인 장애이다. 아동기에는 애착 형성 및 신경 생리적 발달이 진행되는 시기이며, 이 시기의 외상은 정서를 조절하는 어려움을 발생시키고, 부정 정서를 지속시킬 수 있다. 한편, 상담에서의 신체에 대한 관심은 중요한데, 특히 외상과 신체와의 연관성을 떼놓을 수 없다. 신체 자각을 통한 상향식 접근(bottom-up)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고, 과 이를 통한 자기감(sense of self)의 회복 및 정서의 통합은 중요하다. 신체 자각은 또한 정서조절곤란, 우울과도 연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와 신체 자각을 통한 조절의 효과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아동기 외상과 우울에 대한 더 확장된 시각으로 이해하는 것을 돕고, 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개입 방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8~29세에 해당하는 서울 지역의 20대 여성 33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0.0과 PROCESS macro v4.0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외상에서 정서조절곤란을 거쳐 우울로 이어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아동기 외상은 정서조절곤란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정서조절곤란도 우울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아동기 외상이 우울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여, 정서조절곤란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아동기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매개를 하였으며, 신체자각이 정서조절곤란과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여 전체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외상 경험 및 우울과 관련하여 정서조절곤란이라는 매개효과를 살펴본 것과 함께 신체 자각이라는 변인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신체 자각을 사용함으로 외상에 대한 개입은 전통적인 하향식 접근(top-down)과 함께 상향식 접근(bottom-up) 또한 중요함을 보여준다. 향후 외상-우울 관계에서 보다 통합적인 접근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