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1 Download: 0

한국인 학습자의 광둥어 성조 인식과 발화에 대한 고찰

Title
한국인 학습자의 광둥어 성조 인식과 발화에 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Cantonese Tone Recognition and Speech by Korean Cantonese Learners
Authors
Cheung, Ka Lee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소희
Abstract
최근 광둥어에 대해 관심을 갖는 한국인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광둥어는 9가지 성조와 6개의 성조값을 가지고 있는 “구성육조(九聲六調)”의 성조 언어로서 근년에는 원어민조차도 같은 조형의 광둥어 성조를 혼동하는 현상이 발견할 정도로 복잡한 성조체계를 가지고 있다. 광둥어 성조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면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둥어 성조를 인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한국인 학습자들은 광둥어 성조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거나 성조 발음을 정확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인 학습자들의 광둥어 성조에 대한 인식과 발음 오류 현상을 먼저 파악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지 실험” 및 “산출 실험”을 통한 과학적인 방법으로 한국인 학습자들의 발음 현상을 분석하고 몇 가지 광둥어 성조 교수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인지 실험”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한국인 광둥어 학습자들에게 본인이 분별하기가 가장 어려워하는 광둥어 성조에 대한 “설문 실험”이고, 둘째, 원어민이 발화하는 광둥어 성조를 듣고 해당 광둥어 성조를 선택하는 “청취 실험”이다. 또한 한국인 학습자들이 발화하는 광둥어 성조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가장 발음하기가 어려운 성조를 찾아내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지 실험”과 “산출 실험”을 통해 다음 두 가지 질문에 중점을 두었는데, 첫째, 한국인 학습자가 청각적으로 가장 구분하기 어려워하는 광둥어 성조와 발음하기가 어려워하는 광둥어 성조를 살펴보고, 그 이유를 추측하였다. 둘째, 광둥어 원어민 간에 진행되는 평조와 상승조에 대한 혼동 현상이 한국인 학습자에게도 똑같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실험 결과는 첫째, “설문 실험”에서 피실험자들은 “청각적으로 분별하기 어려운 성조”는 “4성 > 6성 > 5성 > 3성 > 2성 > 1성”의 순서로 답하였고, “발음하기 가장 어려운 성조”는 “4성 > 5성 > 6성 > 3성 > 2성 > 1성”의 순서로 답하였다. 둘째, “청취 실험”의 결과를 보면, 피실험자들이 분별하기 가장 어려운 성조는 “6성 > 3성 > 5성 > 2성과 4성 > 1성”의 순서였다. 한국인 피실험자들은 조형이 다른 성조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지 않으며, 주로 같은 조형을 가지는 성조끼리 분별하기 어려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피실험자의 언어 학습 배경과 아울러 표준중국어와 광둥어 조치(성조값)가 유사하기 때문에 피실험자들이 광둥어 성조를 인지하는 것에 표준중국어 성조의 조치가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광둥어 원어민들의 성조 혼동 현상이 한국인 피실험자들에게는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산출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가장 발음하기 어려워하는 성조는 “5성 > 6성> 4성 > 3성 > 2성 > 1성”의 순서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 중요 사항을 알 수 있었는데 첫째, “인지 실험”과 “산출 실험”의 실험 결과에서 두 실험 결과에서 1성, 2성, 3성의 순위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두 실험 결과에서 4성, 5성, 6성은 비교적인 뒤 순위에 속하였으나 이들의 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피실험자들이 광둥어 성조를 배울 때 표준중국어 성조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이외에도 성조의 높낮이는 한국인 광둥어 성조 습득에 대한 영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피실험자들 발음의 시작점과 끝점의 음높이, 조형, 조역 등 세 방면에서 피실험자들과 기존 성조의 조치와 대조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피실험자들의 발음은 주로 두 가지의 문제점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첫째, 피실험자들의 발음은 보편적으로 기존 성조의 조치에 비해 시작점과 끝점이 높다. 둘째, 피실험자들이 같은 음높이를 유지하여 발음하는 것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인지 실험”과 “산출 실험”을 통하여 발견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교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는 5선 악보를 이용해 음높이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성조를 교수할 때 조류별로 하는 것이다. 또한, “산출 실험”을 통해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숫자 노래”연습법도 제안하였다. 본고는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광둥어 성조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발음 학습에 개선점을 제공한다는 교육적인 의의를 가진다.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광둥어와 광둥어 성조의 교수법 및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고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를 바란다. ;Recently, more and more Koreans are interested in Cantonese. However, because Cantonese has a complex system of 9 tones and 6 tonal values, even native Cantonese speakers can confuse Cantonese tones of the same tonal format. Recognizing Cantonese tones properly is very important since not being able to do so can cause communication problems. However, Korean learners may not be able to properly distinguish Cantonese tones or use tone pronunciations correctly. To address this issue, instructors should first understand Korean learners' perception of Cantonese tones and pronunciation erro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of Korean learners using scientific methods of cognitive experiment and production test and suggested several Cantonese ton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irst, this study divided the cognitive experiment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a survey experiment asking Korean Cantonese learners the most difficult Cantonese tone to discriminate, and the second part was a listening experiment asking the Korean Cantonese learners to listen to Cantonese tones spoken by native speakers and select the corresponding Cantonese tones. Moreover,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Cantonese tones spoken by the Korean learners and performed a production test to identify tones that were the most difficult for the learners to pronounce. The cognitive experiment and production test focused on two questions: First, they examined the most difficult Cantonese tones for Korean learners to auditorily distinguish and verbally pronounce, respectively, and guessed the reason. Second, they examined whether the Cantonese native speakers’ common confusion between the plain tone and rising tone similarly occurred for Korean learner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urvey experiment, the study subjects answered that “tone most difficult to distinguish auditorily” was in the order of “4 > 6 > 5 > 3 > 2 > 1”, and that “the tone most difficult to verbally pronounce” was in the order of “4 > 5 > 6 > 3 > 2 > 1”. Second, in the listening experiment, the most difficult tone for the study subjects to auditorily distinguish was in the order of “6 > 3 > 5 > 2 > 4 > 1”. The Korean subjects hardly confused tones with different tonal formats; instead, they felt difficulty in distinguish between tones with the same tonal format. Because of the similarity between the standard Chinese and Cantonese tone values as well as the study subject's language learning background, it seemed that the tonal values of the standard Chine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y subjects' perception of Cantonese ton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tone confusion phenomenon of the native Cantonese speakers did not occur in the Korean study subject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test results, the tone that the study subjects had the most difficulty in verbally pronouncing was the order of “5 > 6 > 4 > 3 > 2 and 1”, which had the following points. First, in the cognitive experiment and production test, the order of tone 1, 2 and 3 are similar. Second, in both experiments, the order of tone 4, 5 and 6 are at lower prior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hen the study subjects learned Cantonese tones, pitch is one of the factor other than the effect of standard Chinese tones may have affected their pronunciation accuracy. On the other hand, the study compared the pronunciations of the study subjects to the existing standard of Cantonese ton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ree aspects: the pitch of the starting and ending tones of the pronunciation, the tonal format, and the tonal range. As a result, the study subjects' pronunciations mainly had two problems. First, their pronunciation was generally higher in the starting and ending tones than the existing standard. Second, they could not maintain the same pitch until the end. The study proposed tw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address the problems found in the cognitive experiment and production test. The first was to visualize the difference in pitch using 5-string score, and the second is to teach tones by tonal flow. The study also suggested a “number song” practice to address the problems found in the production test. This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providing Korean Cantonese learners with an understanding of Cantonese tones and improvement points for pronunciation learning.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in Cantonese and Cantonese tones is conducted more actively and continuously for Korean learner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