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7 Download: 0

함혜련·강은교 시에 나타난 시적 부정성 연구

Title
함혜련·강은교 시에 나타난 시적 부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etic negativity in the poems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 Focused on from 1960s to 1980s
Authors
공라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본 연구는 함혜련·강은교의 1960~1980년대 시에 나타난 ‘시적 부정성(négativité poétique)’의 의미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시적 부정성’은 상징작용의 ‘정립적 통일성’을 부정하여 기호, 상징, 언어, 나아가 사회 제도와 같은 일의적이고 고정된 의미체계를 공격하고 배척하는 일종의 논리적 운동성을 의미한다. 부권적(父權的) 상징계 사회에서 ‘정립적 통일성’은 동일성의 논리, 로고스와 같은 ‘아버지의 법’을 지칭하는 것으로, 결국 시적 부정성은 상징 질서의 절대 진리의 보편성과 통일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을 뜻한다. 시적 부정성은 상징계 언어의 질서를 위반하려는 기호계 언어의 충동적 힘으로 표출되어 기존의 의미를 부정하거나 금지를 뚫고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 따라서 시 텍스트에서 시적 부정성을 읽어내는 작업은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는 여성 주체의 저항의식과 거부의 실천을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시적 부정성 이론을 원용하여 함혜련·강은교 시 텍스트의 저항적이고 주체적인 시적 언어를 고찰함으로써 1960~1980년대 여성시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함혜련과 강은교의 시를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혜련과 강은교는 등단 시기에 있어 9년의 차이가 나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시 창작 활동을 시작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또한 등단 전에 먼저 동인 활동을 하고, 당시에 창작했던 시를 묶어 동인지에 발표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둘째, 함혜련·강은교의 시는 현실 세계에 머무르는 한정된 이미지를 구체화하였던 1920~1950년대 여성시와 달리 소재와 주제 의식의 측면에서 자유분방하고 확장된 시적 상상력을 제시한다. 이들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시적 시도를 통해 새로운 의미 영역을 제시하고 기존의 모순적 질서를 역전시키는 전략을 추구한다. 셋째, 1960~1980년대 함혜련·강은교의 시적 언어에는 공통적으로 심층적 의미를 드러내는 비문법적이고 비논리적인 특성이 있다. 이것은 모순어법, 통사구조의 와해, 상호텍스트, 리듬, 생략 등에서 감지되는데, 이러한 언어적 파열은 궁극적으로 남성 중심의 억압적이고 규범적인 사회를 교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고는 이러한 전제하에 부조리한 사회 현실에 비논리로 맞서며 시적 부정성을 강력하게 표출했던 두 시인의 저항적 발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가부장적 상징계 사회에서 언어적·존재론적 유폐를 강요당한 함혜련의 시의 ‘실어적 주체’가 기호계적 언어를 통해 여성 억압 구조를 폭로하고 욕동적 거부를 수행하여 상징계의 정립적 권위를 탈취하는 부정성을 조명하였다. 시적 화자는 ‘집’으로 표상되는 사적인 영역에 고립되고 침묵을 강요당하지만, 그는 역으로 발화 욕동을 투사하여 당대 사회가 여성에게 ‘감옥’과 ‘죽음’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폭로한다. 그는 특히 ‘진실임직한’ 속성을 가진 미메시스를 통해 결혼, 임신, 출산과 관련된 부권 담론을 비판적으로 재사유하여 가부장적 사회가 주입하는 지배 질서에 균열을 가한다. 그리고 마침내 시적 화자는 제약 없는 의미화 연쇄, 시적 변형과 같은 다양한 기호계적 표지로 가득한 환몽의 공간에서 상징계가 강제한 정립상을 거부하고 그 조정의 권위를 찬탈하여 존재의 전환을 감행한다. Ⅲ장에서는 부권적 사회가 강제하는 죽음의 명령을 오히려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역설적으로 불복종하고 있는 강은교의 시 속 ‘불온적 주체’가 기호계적 장치를 통해 존재를 새롭게 창출하는 쇄신의 부정성을 논의하였다. 시적 화자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부재’와 ‘죽음’으로 출현하는 자신의 현존을 확인하고, 기호계적 차원의 죽음의 세계로 과감하게 탈주하고자 한다. 죽음은 완전한 종말이 아니라 존재의 부활과 재생이 실현되는 새로운 세계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다른 기호체계로의 이행을 의미하는 ‘전위’를 통해 의미의 생성과정을 복수화하여 상징 질서의 일원적 논리 체계를 무너뜨리고, 모순적 현실에 대한 공격적인 전복의 부정성을 실천한다. 이러한 거부는 죽음 욕동의 쇄도로 이어져 운율의 반복, 휴지(休止)의 병렬로 채워지는 ‘리듬’을 만들어 낸다. 그는 구순성의 전복적 희열로 가득한 리듬의 공간에서 낡은 것들을 모두 절멸하고 새로운 존재로의 재생과 쇄신을 실행한다. Ⅳ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함혜련·강은교 시에 나타난 시적 부정성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살폈다. 먼저, 시적 부정성이 나타난 1960~1980년대 함혜련·강은교의 시는 가부장적 질서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거부와 부정을 실천함으로써 여성 주체성을 적극적으로 복원하는 페미니즘 의식을 고취한다. 다음으로 함혜련·강은교의 시에 나타난 시적 부정성은 한국여성시사를 재성찰하게 만든다. 함혜련 시에 대한 본 연구는 한국문학사가 누락되었던 여성시에 대한 발굴의 의미를 지닌다. 강은교의 시는 구도적(求道的)이고 상생적인 모성 페미니즘에 한정되어 있었던 기존의 논의를 재고하게 한다. 또한, 함혜련·강은교 시의 시적 부정성은 이들의 시가 ‘유희적’이고 ‘해체적’인 시임을 증명하는 중요한 시적 기제가 된다. 마지막으로 시적 부정성으로 본 함혜련‧강은교의 1960년대 시는 이 시기 여성시에 대한 기존의 시사적 위상을 재고(再考)할 수 있는 준거 자료가 된다. 이들의 시는 일종의 ‘사회 참여의 시’로, 남성 중심 사회를 구축하는 이데올로기와 권력의 허위(虛僞)를 비판하면서 동시에 여성의 자기 인식과 자립 의지를 획득하고 있다. 요컨대 본 연구는 함혜련·강은교의 1960~1980년대 시가 가부장제 사회의 억압적 질서를 ‘거부’하고 불변적 이념성을 분쇄하여 사회의 고정된 정립을 재조정하고 여성의 주체성을 복원하는 여성 해방적 시의 실천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적 부정성을 통해 1960~1980년대 여성시를 분석하는 것은 이 시기 문학 분석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문학과 사회, 문학과 여성의 관계를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mantic aspects of ‘poetic negativity’ that appeared in poems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from 1960s to 1980s. The ‘poetic negativity’ means a kind of logical motility that negates ‘thetic unity’ and attacks unitary and fixed signifying systems such as sign, symbol, language, and social structures. In the patriarchal symbolic society, ‘thetic unity’ implies the paternal law as Logos and law of identity. Therefore, poetic negativity involves to object to the universality and unity of absolute truth. It appears as the display of the semiotic that violate the symbolic order in the text with denying an accomplished meaning or producing a signifying formation. Thus, reading the poetic negativity in the text makes it possible to examine the female subject’s consciousness of struggle and the practice of rejection against the dominant ideology. This study purport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study of women’s poetry from 1960s to 1980s by applying the poetic negativity of Julia Kristeva and examining the resistant and subjective poetic language in the poems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The major reasons for selecting the poems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y all started writing poetry actively in the late 1960s in common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of 9 years in their debut period. Furthermore, they all participate literary activities before debute and published the poems they created at the time in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Secondly the poems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present more liberal and expanded poetic imaginations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subject consciousness unlike women’s poetry from 1920s to 1950s embodying a limited image of the real world. Their poems crossing the border between reality and fantasy pursue a poetic strategy by suggesting a new signifying process through reversing the existing contradictory order. Lastly there are non-grammatical and illogical characteristics that reveal in-depth meanings in common in their poetic language from 1960s to 1980s. It includes paradoxes, syntactic ruptures, intertextuality, mimesis, and omissions that come from resistance and negation that reject the patriarchal norms of society. In particular, such linguistic deconstruction ultimately plays a role in disturbing the male-centered oppressive and controlling social order. Under this premise, this study considered the resistant utterances of two poets who strongly expressed their poetic negativity while confronting absurd social reality with illogicality. In chapter Ⅱ, the aphasic subject who was forced into linguistic and ontological confinement exposed the structure of women’s oppression and present the negativity of seizing thesis authority of the symbolic through rejection in drive. Poetic narrator is forced to remain silent and be isolated in private realms represented as ‘home’ by the paternal law, but she inversely exposes that contemporary society is a ‘prison’ and ‘death’ for women by drive of utterance. She critically rethinks the discourse of patriarchy related to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thereby inflicting a crack in the dominant discourse order instilled by the patriarchal society through mimesis which has ‘verisimilitude.’ Finally narrator rejects the thesis forced by the symbolic order and usurp the power of the thetic in the fantasy space filled with the semiotic marks such as the signifying chain and various poetic transformation without resistance and restrictions. Therfore, she could carry out the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at zero degree of being. The chapter Ⅲ examines the renewing negativity that a rebellious subject creates a new existence through the semiotic devices with, who disobeys paradoxically by actively accepting death orders enforced by a paternalistic society. The poetic narrator witnesses her presence as ‘absence’ and ‘death’ in a patriarchal society and tries to escape boldly into the world of death at the semiotic level. This is because death is not a complete end but a new world in which the resurrection and rebirth of existence are realized. The narrator pluralizes the signification and breaks up the unitary logical system of the symbolic order through the transposition of one (or several) sign systems into another, and thereby practices aggressive rejection of contradictory reality. This leads to a rush of ‘death drive’ and makes a ‘rhythm’ filled with repetition of rhyme and pauses. She wants to annihilate all the old things and practices the regeneration and renewal into a new existence in the rhythmic space with pleasure of oralization that is for subversive jouissance. Chapter IV focuses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poetic negativity in poetry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based on the content discussed above. Firstly poetry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from 1960s to 1980s specifies a feminism consciousness that actively restores female subjectivity by practicing rejection and negation that directly contradicts the patriarchal order. Furthermore the poetic negativity in poetry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makes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poetry reexamined. This study of Ham Hye-ryeon’s poems has the meaning of discovering women’s poetry that was omit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anon of women’s poetry in Korean literary history. Kang Eun-gyo’s poems also need to reexamine the conflicting evaluation of academia and critics and the existing discussion that was limited to the ‘maternal feminism’ to seek the truth and to rescue people. In addition, the poetic negativity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s poetry is an important poetic device to prove that their poetry has the feature of ‘play’ and ‘deconstruction.’ Lastly the poetry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from 1960s to 1980s becomes a reference material that can re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women’s poetry in the 1960s. Their poetry could be considered as a kind of ‘poetry of social participation’as it criticizes the hypocrisy and ideology that builds a male-dominated society while gaining women’s awareness and self-reli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s to discuss that the poetry of Ham Hye-ryeon and Kang Eun-gyo from 1960s to 1980s was a practice of women’s liberation to reject the oppressive order of the patriarchal society and shatter the immutable ideology of the oppressive patriarchy, so that they could try to rearrange the fixed thesis of society and restore women’s subjectivity. With examining women’s poems from 1960s to 1980s through the poetic negativity, it will not only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literary analysis during this period, but also lay the foundation for jud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nd literature and women from a more objective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