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음악의 화음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적 역동감(potency) 지각 연구

Title
음악의 화음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적 역동감(potency) 지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Listener’s Emotional Potency of Music According to Harmonic Progression Level
Authors
유해인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라 감상자가 지각하는 정서 지각 차이를 비교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 19세-29세 사이의 성인 154명을 대상으로 장조와 단조 음악에서 화음의 전개 수준을 2단계(낮음-높음)로 구성하고 총 네 가지의 음악을 제공하여 온라인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는 각 음악에 대해 정서적 역동감, 각성, 화음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선호도 수준의 총 네 가지 항목을 리커트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144명의 데이터가 분석되었으며 화음의 전개 수준과 조성에 따른 네 가지의 음악에서 정서 지각과 선호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음악 전공 배경과 화음 전개 수준에 따른 정서 지각과 선호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혼합 모형 반복 측정 이원분산분석(mixed repeated measures two- way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로는 첫째, 화음 전개 수준과 조성에 따라 감상자가 지각하는 정서적 역동감, 각성, 화음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선호도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라 정서적 역동감, 각성,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 전공 배경을 기준으로 하여 음악 전공자와 비음악 전공자로 그룹을 나누고 화음의 전개 수준 차이에 따른 그룹 간 정서 지각을 분석하였을 때, 정서적 역동감 수준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각성,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선호도에서의 그룹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조성, 감상자의 외생 변인을 통제하여 제공한 음악에서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다양한 정서 반응의 차이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음악적 요소인 화음의 전개 수준을 내담자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제공하여 세션에서 효과적인 치료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emotional perception perceived by the viewer according to the harmonic progression level. In this study, 154 adults aged 19-29 years of age consisted of two stages (low-high) of the harmonic progression level in major and minor music and a total of four types of music were provided to participants to conduct online experimental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sked to evaluate a total of four items on a Likert 7-point scale: emotional potency, arousal, the degree to which it affects emotions and preference levels for each music. Finally, 144 people's data were analyzed and two-way ANOVA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emotional perception and preference in four music according to the harmonic progression level and composition. In addition, it was analyzed using a mixed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emotional percep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music major and the harmonic progression lev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potency perceived by viewers, arousal, the degree to which the harmony affects emotions and level of preference according to the harmonic progression level and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potency, arousal and the degree to which it affects emotions according to the harmonic progression level. Second, when the group was divided into music major and non-music major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music major and analyzed the emotion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harmonic progression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the level of emotional poten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s in arousal, the degree to which it affects emotions and preference. In conclu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differences in various emotional responses of viewers can be induced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level of the harmonic in music provided by controlling the composition and listener's exogenous variables.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ession level of the harmonic, which is a musical element, can be provid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lient to be used as an effective therapeutic tool in the music therapy s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