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0 Download: 0

지적장애 성인의 감정 인식을 위한 단계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구성 연구

Title
지적장애 성인의 감정 인식을 위한 단계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구성 연구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hased Songwriting Program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emo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배가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의 감정 인식을 위한 단계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기존 정서 관련 음악 중재를 진행한 연구에서 노래 만들기를 활용한 연구 및 중재의 공통 요소를 확인한 후, 기존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 정서 관련 선행연구에서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고려하여 정서 인식 향상 노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음악중재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한 박사학력 이상, 임상경력 10년 이상의 음악치료사 2인에게 두 차례 검증을 받았다. 본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성인의 정서 인식을 위해 정서 경험, 정서 표현, 정서 표현 적용을 단계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에 상응하는 하위 목표로 타인의 정서 이해, 자신의 정서 이해와 기본 정서, 복합 정서의 이해로 설정하였으며 하위 목표와 연결되는 목표 행동을 구성하여 이를 노래 만들기 활동의 구조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중재 8회로 각 회기 당 40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의 전체 타당도 검증 결과는 대상군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프로그램 구성 요소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보강하고 내담자의 실제적 정서를 더욱 다룰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보완하여 현장 적용에 적합한 타당도 점수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까지를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여 경험적 연구는 적용되지 않았으나, 음악 중재 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서 인식 강화를 위한 단계적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성인의 정서 인식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본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성인의 정서 인식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준거의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The study is a developed and validated phased Songwriting Program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emo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fter confirming the common elements of research and intervention using song making in the study of existing emotion-related music interventions, making a song for strengthening emotional awareness by considering the areas that need supplementation in the previous emotion-related studies target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was confirmed and verified its validity by two experts with a decorate degree with an average of over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music therapy and a music therapy expert(KCMT) certificate. This program is organized in stages to emotional experience,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application for the perception of emo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minor goals are set as understanding other people’s emotion, understanding one’s own emotions, basic emotions, and understanding complex emotions. The program includes Eight sessions of intervention and each session includes 40 minutes of intervention. The overall validation score of this program, derived from music therapy experts, results in 2.4 poins on average in the first stage and 3.7 points on average in the second stage. After verifying its validity,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by feedback from experts. In this study, empirical research was not applied as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t up to program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but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verification by a music intervention experts. Therefore, the phased Songwrit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emo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motion improvement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is program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emo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