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국내·외 중등도 및 중증 치매노인 대상 음악 중재 연구 고찰

Title
국내·외 중등도 및 중증 치매노인 대상 음악 중재 연구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music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in Korea and abroad
Authors
이현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외 중등도 및 중증 치매노인 대상 음악 중재 연구를 고찰하여 치매 심각도가 높은 내담자의 임상적 특성이 고려된 음악 중재의 내용과 전략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 되었다. 국내․외 학술지 및 학위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키워드를 검색하여 선정된 18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국내․외 중등도 및 중증 치매노인 대상 음악중재 연구의 중재 유형은 수용적 중재에 비해 적극적 중재가 두 배 이상 많았으나, 참여자가 중증 치매 노인으로만 구성된 연구에서는 두 유형의 비중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 행동심리증상을 포함한 정서․사회 영역의 변인이 가장 많았고, 연구의 3분의 1에서 관찰 측정 도구를 사용했다. 중재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라이브 음악 제공, 내담자의 선호와 친숙한 정도를 기준으로 한 선곡, 리듬 기반 연주활동 등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내용들이 전반적으로 중재에 반영되어 있었다. 또 과반수의 연구에서 치료 목표 및 음악의 치료적 효과와 관련하여 논거를 기술하였으나, 논거를 기술하지 않은 연구도 절반 가까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적극적 중재 연구에서 기술된 중증 치매의 증상을 고려한 치료 전략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의 치매 심각도가 더 높은 연구에서 음악을 활용한 각성 및 주의 유도, 상호작용 촉진 등의 전략이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도 및 중증 치매노인만이 참여한 중재연구를 선별하여 중재 내용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활동성이 극도로 낮은 중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 중재 연구가 국내 음악치료학 분야에서 더 활발히 시행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content and strategy of music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dvanced dementia by examining domestic and foreign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the elderly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As a result of analyzing 18 documents to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fter keyword search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and thesis databases, the proportion of active intervention was more than double that of receptive intervention, but in the studies of elderly with severe dementia, the proportion of the two intervention types was simila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ependent variables and measurement tools, the variables in the emotional and social domains including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were the most common, and observation measurement tools were used in one-third of the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the therapeutic evidence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the provision of live music, music selection based on the client's preference and familiarity level, and rhythm-based performance activities was generally reflected in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ed rationale, the rationale was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therapeutic goal or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mus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atment strategies considering the symptoms of severe dementia in the active intervention, in the study where participants had higher dementia severity, more strategies were used, such as using music to induce arousal and attention, and to promote inter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the intervention contents and strategies by selecting a music intervention study in which only the elderly with moderate and severe dementia participated. It is expected that active intervention studies targeting the elderly with severe dementia will be conducted more actively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