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 on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internalized problems of adolescents : gender difference
Authors
최현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들의 학업 무기력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성별에 따른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다는 점은 기존 연구와의 큰 차별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의 제 2차년도 자료로 중학교 2학년 총 2,48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유형별로 살펴보면, 남자 1,318명, 여자 1,120명이다.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가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매개로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은 낮아지고,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위축과 우울은 부모의 긍정적 및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거쳐 학업무기력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보면, 총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부정적 양육태도→ 사회적 위축, 부정적 양육태도→ 우울 경로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부정적 양육태도에서 사회적 위축으로 가는 경로와 부정적 양육태도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정적인 영향이 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부모 교육이 필요하며, 일회성의 단기 교육이 아닌 일관성 있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교육의 접근성이 떨어지면 효과가 미비한 것처럼 보다 많은 부모들이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 운영의 확대와 교육 환경의 개선 및 서비스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 모색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학업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프로그램의 제공과 함께 무엇보다 일상 속에서 자녀와 함께 일정한 시간을 보냄으로써 자녀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면 자녀와의 관계 개선과 함께 학업에 대한 열정과 동기를 높여 궁극적으로 학업무기력을 완화하고 학업 수행을 촉진시킬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대한 개입을 위해 사회적 위축 완화와 우울 예방을 위한 내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심리적 어려움으로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거나 우울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이 학업 문제를 혼자 감당하지 않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학업의 곤란과 실패의 문제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과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며,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근본적으로 다루어줄 수 있는 학교사회복지사와 전문상담가, 교사 간의 협력을 통한 상담 및 학업 지원을 통해 학업무기력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위축과 우울 예방 및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별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사회적 위축은 연구자에 따라 선행연구가 일관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우울 수준은 보편적으로 남자에 비해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우울의 평균과 영향력이 상이하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프로그램 개발 시 성별에 따라 우울 및 사회적 위축과 관련된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 사회적 위축 완화와 우울 예방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회를 마련하는 것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성별에 따라 더욱 효과적이고 차별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남자와 여자 성별 차이 외에 다양한 학교급별, 지역별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살펴본다면 보다 다양한 연구결과를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학업무기력을 매개하는 변수로 또래관계와 교사관계 등을 살펴볼 수 있는 학교 변인이나 외현화 문제 등을 포함시켜 연구를 수행하거나 대상을 넓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시기의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변화과정을 살펴본다면, 아동·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what mediating effects parents’ nurturing attitude toward their adolescent children have on their academic helplessness, triggering their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By identifying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basic data are provided for understanding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gender-tailored intervention measures were sought. The fact that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according to gender is a big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a total of 2,489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were analyzed as data for the second year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By gender type, there are 1,318 boys and 1,120 girl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their children's academic ability through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this study verified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the SPSS 23.0 and AMOS 26.0 program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s' parenting attitude indeed had an effect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he lower the adolescents' academic work helplessness, and the higher the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e higher the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Second,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Looking at the path ranging from parental parenting attitude to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to academic helplessness, both the total and indirect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means that parents' parenting attitudes not only indirectly affect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but also directly affect their academic helplessness. Third, the influence of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ath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 social withdrawal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Both the path from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o social withdrawal and from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o depression had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boys than girl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education is needed to foster a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a consistent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administered, not a one-time short-term education. No matter how good an education program is, the effect would not be satisfactory if the accessibility of education is inadequ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adolescents’ healthy growth and study by seeking various ways to expand education opportunities,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crease accessibility through customized services so that more parents can participate in the program. If parents a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by spending a certain amount of time with their children in their daily lives along with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ese efforts will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s a result, easing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promoting academic performance. Second, in order to better intervene i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tailed strategies of alleviating their social withdrawal and preventing depression. Pre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re needed for adolescents, who are socially intimidated or depressed due to psychological difficulties, not to get tangled with problems of academic difficulties and failures, by asking for help from those around them.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alleviate and prevent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by having counseling and academic support available through close coope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eachers who can fundamentally deal with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Third, the need for gender-specific differentiation is raised in preparing programs to prevent and alleviate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most cases, social withdrawal was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depending on who conducted studies,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generally higher for girls than boys, but it differs depending on studies by showing that the average and influence of depression were different. Therefore, when developing a program, various activities and programs that would be conducive to preventing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should be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patterns of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ccording to gender. If a program is organized in ways to focus on providing services and opportunities to alleviate social withdrawal and prevent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more effective customized services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gender. In follow-up studies, more meaningful research outcomes can be derived from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differences by students' grade level and region in parallel with gender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more multifaceted analysis would be possible if research is carried out through the inclusion of school variables or externalization issues that can elucidate peer relation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 as parameters for academic helplessness. In addition, if follow-up studies examine the long-term changes in parenting attitud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the academic helpless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ould be better understo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