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7 Download: 0

1930년대 ~ 해방 이전까지 대중 악극에 나타나는 민족성

Title
1930년대 ~ 해방 이전까지 대중 악극에 나타나는 민족성
Other Titles
From the 1930s to Liberation, Ethnicity in Public Akgeuk : Focusing on 《Fooled by Love Crying, with Money》(1936) and 《Kongjwi Patjwi》(1940)
Authors
박정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하
Abstract
본 연구는 193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대중 악극을 통해, 일제의 제국주의적 억압에 대항하는 민족성이 어떠한 형태로 발현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악극의 탄생 시기라고 명명되는 1920년대를 지나 1930년대는 한국의 근대 연극사에서 악극이 가장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시기이자 대중 악극이 가장 활발하게 소비되는 시기였다. 그중에서 신파적 줄거리가 음악과 함께 악극의 형태로 나타난 신파조 악극과 전통 설화를 소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향토 가극은 일제의 식민 지배 아래 현실을 벗어나고자 하는 열망을 반영하여 대중 악극으로 구현되었다. 필자는 1930년대에서 해방 이전까지 가장 많은 인기를 구가했던 대중 악극 중에서도 신파조 악극《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와 향토 가극 《콩쥐팟쥐》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930년대 이후 조선의 대중 악극은 서양식 근대극을 바탕으로 레뷰(revue)와 만담에 기인한 악극을 공연하면서 다카라즈카라고 불리는 일본풍의 대중가요에 춤을 곁들인 소녀 가극을 막간으로 함께 공연하는 유흥적인 버라이어티 쇼 형태였다. 이를 표본으로 삼천가극단(三川歌劇團)이나 배구자악극단(裵龜子樂劇團)과 같은 단체에서는 일본의 소녀가극을 재현한 형태의 악극을 만들어 큰 인기를 끌었으나, 1930년대 중반 이후 일제의 통치와 억압이 강해지면서 작품에 국민을 계몽시키고 소재와 내용에서 민족적 색채를 나타내고자 하는 연극인들이 나타났다. 신파조 악극은 1930년대 중반 이후 주로 유행했던 장르로 일본의 연극 형태를 가장 강하게 띠는 대중 악극이다. 해방이 가까워질수록 대중의 사회상을 반영한 한국적 신파조 악극은 새로운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의 정서를 담았다는 점에서 일본의 신파와는 달랐고, 관객의 공감을 사 큰 인기를 얻었다. 그중 임선규 작품의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는 1935년 동양극장(東洋劇場)이 개관한 이래 가장 흥행한 신파조 악극 중 하나였고, 처음에는 연극으로만 공연되었으나 나중에 음악이 작곡되어 음반극으로 제작될 정도로 흥행에 성공했다. 이 작품은 식민지 시기의 열악한 상황에서도 근대 조선의 사회상을 부각시키며 근대적 성격의 대중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했으며 우리의 정서가 담긴 대중 악극을 보편화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토 가극은 당시 유행하던 악극과는 성격이 달랐다. 특히 안기영이 작곡한 향토 가극 《콩쥐팟쥐》는 주로 한국의 전통 설화와 민요풍의 창작곡으로 민족적 색채가 짙은 새로운 형태의 대중 악극을 의미하였다. 향토 악극의 성공은 한국적인 것과 일본적인 것을 구분하게 헸으며, 우리 악극의 중요성과 위대함을 상기시켰다. 또한 한국적인 줄거리와 음악을 바탕으로 한 향토가극은 이후 한국의 독자적인 오페라 탄생의 토대가 되었다. 본 연구는 1930년대에서 해방 이전까지 가장 많은 인기를 구가하였고 근대 한국 문화예술의 하나의 장르로서 자리매김한 대중 악극인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와 《콩쥐팟쥐》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근대 대중 악극에서 표현되는 민족성 및 한국 극예술이 가진 독자적인 면모를 밝힌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form of ethnicity that opposes Japanese imperialist oppression through the Public Akgeuk from the 1930s to before liberation. The Akgeuk first appeared in the 1920s, and it not only appeared in the most diverse forms in Korean modern theater history, but were also consumed most actively in the 1930s. Among them, Shinpajo Akgeuk, which is based on the Shinpa (Korean style of melodrama) along with music, and Hyangto Gageuk, which was made based on traditional folk tales, were implemented as the Public Akgeuk reflecting the desire to escape reali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is study especailly focuses on Shinpajo Akgeuk 《Fooled by Love Crying with Money》 and Hyangto Gageuk 《Kongjwi Padjwi》 among the most popular Pulbic Akgeuk from the 1930s to before liberation, Since the 1930s, the Public Akgeuk of Joseon has been an entertainment variety show that performed a Japanese-style popular song called Takarazuka with dancing as an interlude while performing Revue based on a modern Western-style play, and a musical drama based on a comic story. Based on this, Samcheongageukdan and Baegujaakgeukdan gained popularity by performing Akgeuk that reproduces Japanese girl's opera. However, as the re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tensified since the mid-1930s, some started movements to show national colors in terms of material and content in order to enlighten the people. Shinpajo Akgeuk is a genre that has been popular since the mid-1930s, and it is most similar to Japanese theater. As liberation approaches, the Korean Shinpajo Akgeuk differs from that of Japanese in that it contains our emotions and the social image of the public, and it gained great popularity with the sympathy of the audience. For example, 《Fooled by Love Crying with Money》, the work of Lim Sun-Gyu, was the most successful Shinpajo Akgeuk since the opening of the Dongyang Theater in 1935. It was performed only as a play at first, but later produced as an album.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yed a pivotal role in shaping modern popular culture by highlighting the social image of modern Joseon even in the harsh conditions of the colonial period, and universalizing the Public Akgeok containing our emotions. Hyangto Gageuk are different from the Akgeok which was popular at the time. In particular, 《Kongjwi Padjwi》 composed by Ahn Ki-Young, mainly contains traditional Korean folktales and folk songs, so that a new type of Public Akgeok which has strong ethnicity was made. The success of Hyangto Gageuk let people realiz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lays, and reminded them of the importance and greatness of Korean Akgeok. In addition, Hyangto Gageuk based on the Korean plot and music becomes the basis of Korean-style opera. This study focuses on the Public Akgeok 《Fooled by Love Crying with Money》 and 《Kongjwi Padjwi》, which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genre of modern Korean culture and art, to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tic art through in-depth music analy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