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6 Download: 0

표준화되는 삶의 굴레에 대한 조형적 표현

Title
표준화되는 삶의 굴레에 대한 조형적 표현
Other Titles
A Contemporary Study of Social Order : The artistic features of human bondage
Authors
이현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인종
Abstract
현대사회는 실용주의를 바탕으로 과학적 검증과 논리적 추론을 중시하게 됐으며, 이는 곧 효율을 중시하는 사회로 변모하게 되었다. 효율을 중요시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문명이 발달한 만큼 그 어느 때보다 다양성을 존중하지만, 획일화를 추구하는 이중성을 띤다. 문명의 사회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는 여전히 구시대적인 일차원적인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고 등급으로 나눈다. 이러한 평가 기준은 개인의 수행력, 성취도, 잠재력을 대표하지 못하지만 대부분의 시스템의 기본전제로 작동하기 때문에 개인은 시스템이 요구한 성과 내기에 몰두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개인을 사회의 부품으로 전락시키는 시스템의 속성에서 주체성을 잃은 채 무력감과 고립감을 느끼는 개인의 모습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학교 교육, 기업 경영, 정치, 예술계 등 사회 전반에 걸친 획일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아, 결국 개인이 시스템에 순응해야만 하는 규격화된 삶에 적응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서 이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의 작품 의미와 분석 방식을 말하기 전에, 다른 예술 작품을 통해 현대인의 고충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였는지 알아보았다. 대표적으로 개개인의 삶이 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사회 안에서 고립되어가는 개인의 심리·상태를 그린 예술을 조사하였다. 또한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연구자가 획일화하는 제도나 시스템에 대한 경계심을 바탕으로 작업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획일화된 시스템에 대한 사유는 몇 가지 조형적 형태와 동작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걷기와 쌓기라는 행위의 반복과 그 반복된 형태들이 증식하며 대량 복제되는 것을 형식적 특징으로 삼아 표현하였다. 걷기, 쌓기, 붙이기와 같은 방식은 도식화된 이미지를 강조하고, 질서를 부여함으로써 규격화된 사회의 모습을 상징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황을 밥알, 식품공장, 블라인드, 창, 서프보드에 대입하였으며, 작품 분석을 통해 연구자의 경험이 비슷한 작동 원리나 속성을 가진 다른 사물에 은유되어 작품으로서 재-맥락화 되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자의 작업 갈래는 크게 두 개로 나눌 수 있다. 규격화된 시스템을 도상적으로 표현한 <걸어가고있어>, <밥알 피라미드 쌓기>, , <규격화 사다리>와, 고립된 인물 내·외부적 태도를 슬라이드쇼와 설치 작품으로 보여주는 <블라인드>, <닿고싶은 창>, <연약한 이들을 위한 서프보드> 이다. 전자는 획일화된 기준치로 재단되고 복제되어 모두가 비슷한 삶의 형태가 되어가는 문제의식을 반복적인 형태와 행위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후자는 무기력함과 도전정신을 갈구하는 모순된 마음을 고독(좌절)과 유대(희망)라는 상반된 속성이 공존하는 오브제를 통해 표현하였다. 위 작품을 통해 평균주의식 유형과 등급, 그리고 성과주의 제도에 의해서만 판단되는 개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개인은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과 사회가 바라는 노동자의 일원으로서의 모습이 상충하여 끊임없이 갈등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표준화 시스템을 비판하고자 구조를 형상화하고, 이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고립되어가는 모습의 표현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변화의 시작은 개인의 주체적인 모습을 통해서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새로운 사회 모델을 구상하기 전에 작품을 통해 보는 이가 성과사회 속의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반성을 통해 피상적인 삶에서 벗어나도록 돕고자 한다.;Modern society has come to value scientific verification and logical reasoning based on pragmatism, which has soon transformed into a society that values efficiency. Modern capitalist society, which values efficiency, respects diversity more than ever as civilization has developed, but has the duality of pursuing uniformity. Despite the social progress of civilization, modern society still evaluates and divides people into grades on an outdated one-dimensional basis. These evaluation criteria do not represent an individual's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otential, but because they operate as the basic social order, individuals have become immersed in the performance making required by the system.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pay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individuals who feel helpless and isolated while losing their subjectivity like the system that degenerates individuals into components of modern society. This stems from uniformity across groups, such as school education, corporate management, politics, and the art world, and in the end, I tried to evaluate this from the idea that individuals have no choice but to adapt to the systematic life in which they must comply with the social order. Before talking about the meaning and analysis method of this researcher's work, we looked into how the grievances of modern people were captured through other works of art. Representatively, art depicting an individual's psychology and state of being influenced by the system or isolated within society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emphasized based on conformity to regulation and against modern social structures by comparing with other works of art. The reason for the standardized social order was expressed in several formative forms and movements throughout the work. In particular, the repetitionof the act of walking and stacking and its repeated forms proliferated and mass reproduced were expressed as formal characteristics. Methods such as walking, stacking, and pasting emphasize schematic images and give order to symbolize a standardized society. In addition, such a situation was substituted for rice grains, food factories, blinds, windows, and surfboards, and the analysis of the work explains that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 is metaphorical to other objects with similar operating principles or attributes which is recontextualized as a work. The researcher's work branch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 , which is expressed with an iconic symbolistic. In other, , , and appears slide show and installations which address the attitude of people from internal and external. The first category expressed a problem consciousness in which everyone becomes a similar form of life by being cut and duplicated with a uniform standard in repetitive forms and actions. And the following category expressed the contradictory mind of lethargy and longing for a spirit of challenge through objects in which contradictory attributes of solitude (frustration) and bond (hope) coexist. Through the above work, the type and grade of average, and the individual's appearance judged only by the performance-based system were depicted. Individuals are constantly in conflict with the way they pursue their lives and the way society wants them to be members of the workforce. In order to criticize this standardization system, the researcher shaped the isolation of modern society by criticizing the structure of the system that we live in. Furthermore, the beginning of system change is through the individual's subjective appearance. Therefore, before devising a new social designing a new social structure, this research navigates viewers to reflect and evaluate by defining themselves in a society where everything is identified by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escape from superficial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