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8 Download: 0

이경은 작곡 의 작품 분석연구

Title
이경은 작곡 의 작품 분석연구
Other Titles
Study Analysis of Composed by Lee Kyung-eun
Authors
송승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이경은 작곡 은 무대의 동선과 조명을 이용한 연출법을 함께 사용하면서 음악적 효과를 극대화시킨 작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작품의 배경과 악곡 구조, 선율, 표현기법 및 연출과정과 방법을 분석하며 악곡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악보와 연주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은 총 195마디로 선율의 흐름에 따라 크게 5개의 대단락 A, B, C, D, E로 구성되었다. A단락은 악곡의 도입부로서 제1마디부터 제30마디까지 총 29마디이고, 두 개의 세부단락으로 이루어졌다. 박자는 4/4 박자이고, 빠르기는 ♩=52 로 연주한다. 표현기법으로는 미러링기법, 에코기법과 선율적 예비가 나타났다. B단락은 제31마디부터 제 88마디까지 총 57마디로 네 개의 세부단락으로 이루어졌다. 박자는 6/8박자로 변박되었고, 빠르기는 ♩.=52로 단위박이 앞의 4분음표 단위 박을 점4분음표로 동일하게 맞추어 (♩.=♩)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연결되었다. A단락과 마찬가지로 미러링기법, 에코기법과 선율적 예비가 나타났다. C단락은 제89마디부터 제150마디까지 총 61마디이고, 세 개의 세부단락으로 이루어졌다. 박자는 6/8박자이고, 빠르기는 ♩.=52 으로 앞의 B단락과 같이 유지되었다. 제109마디에서 타악연주자, 제113마디에서 대금Ⅱ연주자, 해금Ⅱ연주자가 무대 위로 오르면서 앞부분에서 계속 나타나던 미러링기법이 나타나지 않는다. D단락은 제151마디부터 제183마디까지로 총 32마디이고 두 개의 세부단락으로 이루어졌다. 박자는 6/8박자이고, 빠르기는 ♩.=52 으로 앞의 C단락과 같다. 표현기법으로는 총 세 번의 Tutti 로 연주함으로써, 본 곡의 클라이막스를 효과적으로 만들어내었다. E단락은 악곡의 Coda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제185마디부터 제195마디까지 총 10마디로, 소단락은 단일단락으로 이루어졌다. 박자는 3/4박자이며 빠르기는 ♩=60 으로 연주하였다. 표현기법으로는 에코기법과 특수주법인 flutter이 쓰였다. 둘째, 에 쓰인 표현기법은 에코기법, 미러링기법, Tutti, 선율적 예비, 특수주법이 있다. 에코기법은 무대 위의 두 악기나 객석의 두 악기가 같은 악구를 받거나 변형된 악구를 연주하는 기법이다. 미러링기법은 무대 혹은 객석에 있는 악기가 서로 다른 구역에서 받아서 같은 악구나 약간 변형된 악구를 연주하는 기법이다. Tutti는 전합주로서 클라이막스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선율적 예비는 앞으로 진행될 선율의 같은 선율이나 리듬형을 미리 복선으로 보여주는 기법으로 A, B, C, D단락에 걸쳐 14회 나타났다. 악기 연주법상 특수주법으로는 대금의 embouchure기법이 A단락에 쓰였고 flutter기법이 B단락과 E단락에 쓰이면서 음향적 대비효과를 주었다. 셋째, 무대 연출에 있어 연주자의 동선과 조명을 지시함으로써 음악적 효과를 확장하였다. 연주자의 배치를 무대뿐만 아니라 객석 뒤의 공간까지 활용하면서 연주 공간의 확대를 통한 입체적인 음향, 사운드의 공간감과 원근감을 형성하였다. 조명은 전체조명, 스팟조명, 점차적으로 켜지는 조명, 암전을 주어 음악의 흐름과 연주자의 동선을 관객에게 전달하면서, 소리의 움직임이나 주선율에 대한 집중을 이끌고, 음악적 흐름에 있어 단락의 시작이나 전환, 클라이막스를 예비하는 느낌을 더하였다. 이경은의 작품 을 살펴본 결과, 악곡에서 작곡기법을 무대의 동선과 조명을 이용한 연출법과 함께 활용하면서, 음악적 표현기법을 보다 확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기법으로 하여금 자연음향 만으로 악곡에서 공간감과 원근감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omposed by Lee Kyung-eun, is a musical piece that maximizes the musical effect by applying a directing method that utilizes the flow of movement and the lighting on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structure, melody, expression techniques, directing process and method,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 To do so, this study analyzes the musical score and performance video of and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onsists of 195 bars and is composed of five major Paragraphs, A, B, C, D, and E, following the flow of melody. Paragraph A is the introduction to the piece with 29 bars in total from the first to the 30th bar; it consists of two sub-paragraphs. The beat is 4/4 and plays at the speed of ♩=52. As for expression techniques, mirroring technique, echo technique, and melodic anticipation are found. Paragraph B is a total of 57 bars from the 31st to the 88th bar and consists of four sub-paragraphs. The beat changes to 6/8, the speed to ♩.=52, and smoothly, stably connect, aligning the previous unit beat of a quarter note to that of a dotted quarter note (♩.=♩). Like Paragraph A, the mirroring technique, echo technique, and melodic anticipation are found. Paragraph C is a total of 61 bars from the 89th to the 150th bar and consists of three sub-paragraphs. The beat is 6/8, and the speed is ♩.=52; it remains the same as in the former Paragraph B. As the percussionist appears on stage for the 109th bar and daegeum Ⅱ player and haegeum Ⅱ player for the 113th, the mirroring technique that appears throughout the previous parts is not found. Paragraph D is a total of 32 bars from the 151st to the 183rd bar and consists of two sub-paragraphs. The beat is 6/8, and the speed is ♩.=52; it remains the same as in the former Paragraph C. As for expression techniques, it effectively creates a climax of the piece by playing a total of three Tutti techniques. Paragraph E corresponds to the Coda of the piece; it is a total of 10 bars from the 185th to the 195th bar; subparagraph consists of a single paragraph. The beat is 3/4 and plays at the speed of ♩=60. As for expression techniques, echo technique and unique playing technique "flutter" are used. Second, expression techniques used in include echo technique, mirroring technique, Tutti, melodic anticipation, and unique playing technique. The echo technique is a technique in which two instruments on stage or in the audience play the exact or varied phrase. The mirroring technique is a technique in which instruments on stage or in the audience play the exact or slightly varied phrase in different areas. Tutti plays a role in forming a climax as an ensemble. The melodic anticipation is a technique of playing the same melody or rhythmic pattern from the forthcoming melody in advance and foreshadowing; it appears 14 times throughout Paragraphs A, B, C, and D. As for unique instrument-specific playing techniques, the embouchure technique of daegeum is used in Paragraph A, and the flutter technique in Paragraph B and E, creating an acoustic contrast effect. Third, regarding stage direction, specifying the flow of movement of performers and the lighting enhanced the musical effect. Utilizing not only the stage but also the space behind the audience for the sitting arrangement of performers, it forms three-dimensional acoustics, a sense of space and dimension of the sound through extended performance space. General lighting, spot-lighting, fade-in lighting, and blackout are used for the lighting: delivering the flow of music and the performers' flow of movement to the audience, drawing focus to the main melody or nuance of the sound, and adding to the sense of anticipation for the musical flow, such as for the beginning, transition, or climax of Paragraphs. The study result of the piece by Lee Kyung-eun suggests that the work further extends its musical expression techniques by utilizing a composition technique together with a directing method using the flow of movement and the lighting on stage.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a sense of space and dimension can be formed only with natural acoustics in a musical piece using these techniq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