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극복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itle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극복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Burnout of Nurses Participating in the Care of Patients with COVID-19
Authors
하희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환자 간호에 직접 참여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극복력 및 소진의 정도와 변수 간 상관성을 확인하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1년 6월 1일부터 2021년 10월 20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COVID-19 발생 기간 동안 서울시, 경기도에서 운영 중인 상급종합병원 또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COVID-19 환자 간호에 직접 참여한 간호사 144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Chuang과 Lou(2005)가 SARS 유행 당시 감염병 유행 환경에서 근무하였던 의료종사자의 근무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한 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연구자가 변역한 도구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극복력은 박미미(2015)가 간호사의 극복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소진은 Maslach & Jackson(1981, 1996)이 개발한 도구인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장은숙(1995)이 번역한 것을 정혜연(2008)이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통계분석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OVID-19 환자 간호에 직접 참여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평균 환산 점수는 평균 1.68±.39점(1~3점), 극복력은 평균 3.59±.54점(1~5점), 소진은 평균 2.70±.54점(1~5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혼 간호사가 미혼 간호사보다 더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2.093, p=.038). 3.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극복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r=.249, p<.0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극복력과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r= -.505, p<.00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직무스트레스(β=.250, p=.001)와 극복력(β=-.566, p<.001)은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았으며, 극복력의 정도가 낮을수록 소진이 높았다. 이들 변수의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30.4%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증가와 극복력의 감소는 소진을 높이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VID-19 환자 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의 소진을 줄이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와 극복력 모두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COVID-19 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수 있는 신종감염병 상황에서 환자 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극복력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확립함으로 간호사가 경험하게 되는 소진을 감소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resilience, and burnout among nurses participating in COVID-19 patient care,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For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144 nurses who participated directly in COVID-19 patient care in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during the pandemic were recruited throug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June 1 to October 20, 2021. The nurses’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a scale developed by Chuang and Lou(2005); the resilience was measured by a scale developed by Park(2015); and the burnout was measured using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 developed by Maslach & Jackson(1981, 1996), translated by Jang(1995), and revised by Jeong(200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statistics 26.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1.68±39 points on a scale of 3 points.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was 3.59±.54 points on a scale of 5 points. The mean score of burnout was 2.70±.54 points on a scale of 5 point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marital status(t=-2.093, p=0.038). The married nurse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job stress than the unmarried nurses.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resilience of the subjects(r=.249,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of the subjects(r=-.505, p<0.01). 4.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burnout among nurses participating in COVID-19 patient care. It revealed that job stress(β=.250, p=.001) and resilience(β=-.566, p<.00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burnout was 30.4%.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increase in job stress and reduction in resilience of nurses who participated in COVID-19 patient ca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burnout of nurses participating in COVID-19 patient care, both job stress and resilience need to be manag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c data to reduce burnout experienced by nurses by reduc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resilience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