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2 Download: 0

공연 중심 복합문화공간의 전이공간을 활용한 디지털 미디어 체험 연구

Title
공연 중심 복합문화공간의 전이공간을 활용한 디지털 미디어 체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gital Media Experience Using the Transition Space of the Performance-oriented in a Complex Cultural Space - Focused on Blue Square -
Authors
정은욱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종훈
Abstract
모든 공간에는 영역들을 매개하는 전이공간이 존재한다. 전이공간은 각 공간 사이를 물리적으로 심리적으로 연계하여 방문자들의 행동이나 감정을 변화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 조성된다. 목적했던 공간과 전이공간의 흐름이 이어지며, 공간을 경험하는 이들은 각자 보유했던 경험과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체험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고유한 경험의 서사를 만들게 된다. 긍정적으로 조성된 공간과 경험의 총체적인 조합은 개인에게 신체적, 정신적인 만족도를 제공하게 될 수 있으며, 이후 공간을 판단할 때에도 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통로나 목적지 근처의 대기 장소 정도로 인식되는 전이공간은 건축분야에서는 자주 연구되는 개념이지만, 사용자 경험 분야에서 자주 다뤄지는 분야는 아니다. 그러나 공간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다룰 때,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성격을 가진 공간이다. 이전의 경험과 행동, 사고, 감정의 흐름을 다음 단계로 이어주는 매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이공간에 집중하여, 사용자의 체험 활용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체험과 경험을 다룬 선행 이론 연구를 통해 전이공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세 가지 체험 요소를 도출하였고, 전이공간의 기능을 조사하였다. 이어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설계하기 위해 공연공간을 보유한 복합문화공간인 블루스퀘어로 지정하고, 인터뷰이를 선정하였다. 1차 사용자 조사는 공연공간을 방문한 관객을 관찰하는 섀도잉과 심층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장소, 관계, 미디어 체험 등 체험요소에 대한 만족도와 의견을 취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확보했다. 사용자 니즈를 바탕으로 퍼소나를 제작하여 솔루션을 위한 키워드를 도출한 후,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만족스러운 편의-감성 체험을 기대할 수 있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공연공간 내 전이공간에서의 체험을 통해, 공간을 방문한 사람들이 고유한 서사를 만들게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인간은 각자 학습한 정보와 경험에 기반하여 특별한 개인 서사를 만드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공연의 서사와 구성요소를 차용해 공연공간에서의 서사를 만들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주 공연관람 연령대가 사용하기 편리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편의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공연장 밖의 전이공간에서 공연과 관련된 콘텐츠를 체험하여, 사용자의 기대와 흥미, 즐거움 등의 긍정적 감정의 흐름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주 공연관람 연령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넓은 연령대의 편의성까지 포용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으며, 공연에 따라 변동 폭이 큰 공간 인터랙션 콘텐츠이기 때문에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보완한다면 실제 공간에 적용 가능한 체험 마케팅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다른 서사적 콘텐츠를 보유한 분야의 연구를 통해 개선되어 상용화 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를 지속할 것이며, 이를 통해 여러 공간의 방문자들이 확장된 체험을 하고, 개인의 고유한 경험 가치를 쌓아올리기를 기대한다. ;In every space, there is a transition space that mediates the domains. Transition spaces are created to change or maintain visitors' behavior or emotions by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linking each space. The flow of the intended space and the transition space continues, those who experience the space will be able to create a new sequence of experience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and information, which will soon create a narrative of unique experiences. The overall combination of positively created space and experience can provide individual physical and mental satisfaction, and can also affect subsequent space judgments. Transition space, which is recognized as a waiting area near a passage or destination, is a concept frequently studi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but it is not a field frequently dealt with in the field of user experience. However, when dealing with user experience in a space, it is a space with characteristics that must be considered. This is because it becomes a medium that connects the flow of previous experiences, actions, thoughts, and emotions to the next stag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transition space and tried to apply it to the user's experience utilization. Through prior theoretical studies dealing with experiences, three experiential factors that can be applied in the transition space were derived, and the functions of the transition space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in order to design a specific scenario, it was designated as Blue Square,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a performance space, and interviews were selected. The first user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shadowing and in-depth interviews observing the audience who visited the performance space. Satisfaction and opinions on experience elements such as location, relationship, and media experience were collected to derive user needs. Satisfaction and opinions on experience factors such as location, relationship, and media experience were collected, and based on this, user needs were secured. Based on user needs, the keywords for the solution were derived by producing the persona, and two scenarios were produced that can expect the user's satisfactory convenience-emotional experience using digital medi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way to induce people who visited the space to create a unique narrative through experience in the transition space within the performance space. Humans create special personal narrative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experiences they have learned, and this study induced them to create narratives in the performance space by borrowing the narratives and components of performances. To make this possible, convenience was secured by utilizing digital media that is convenient for the main performance viewing age group. In addition, by experienc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erformance in the transition space outside the concert hall, the flow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user expectations, interest, and pleasure can be maintained. However, It presents some limitations such as being created only for the most common users, so it is regrettable that the proposed digital media utilization method cannot accommodate a wide age group. An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quality of spatial interaction content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and there is no way to prepare for this. If this is supplemented, it will be an experiential marketing method applicable to the actual space. It is hoped that this can be improved through research in areas with different narrative contents in the future, and visitors in various spaces will have expanded experiences, thereby accumulating individual unique experience val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