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과 대처

Title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과 대처
Other Titles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Copings : With a Focus on Problem Solving, Support Seeking, Cognitive Restructuring
Authors
임인혜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맞벌이 부부가 일과 가정을 양립하며 사용하는 대처가 일-가정 갈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양립으로 인한 갈등을 조절하고 완화하는 대처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맞벌이 부부를 실질적으로 조력하는데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Voydanoff(2002)가 제안하는 일-가정 균형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에서는 일과 가정 영역의 상호작용이 양립의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대처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다. 맞벌이 부부가 일-가정 양립 상황에서 사용하는 적절한 대처는 일과 가정 영역의 요구와 자원을 변화시켜 일-가정 갈등을 줄이고, 일-가정 향상을 증진시키는 피드백 효과(feedback effect)를 통해 일-가정 균형을 이끌어낸다. 또한 일-가정 양립으로 발생하는 역할갈등과 스트레스가 개인과 부부의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버퍼링 효과(buffering effect)를 갖는다. 일-가정 양립 연구에서도 적절한 대처 전략은 일과 가정 영역의 다양한 요구를 조율하고 필요한 자원을 획득하게 하여 일-가정 갈등을 줄이고(Byron, 2005; Higgins, Duxbury, & Lyons, 2010; Ganginis Del Pino, 2011), 일-가정 향상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Greenhaus & Powell, 2006; Mauno, Kinnunen, Rantanen, Feldt & Rantanen, 2012). 뿐만 아니라 일-가정 양립으로 발생하는 갈등과 스트레스가 개인의 건강과 복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져(Aryee, Luk, Leung, & Lo., 1999; Carver, Scheier, & Weintraub, 1989; Folkman & Moskowitz, 2004; Penley, Tomaka, & Wiebe, 2002) 일-가정 양립을 촉진하는데 개인의 대처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이루어진 일-가정 양립 연구에서는 일-가정 갈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조건들에 집중하며, 개인이 변화시키고 통제할 수 있는 대처와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왔다(Eby, Casper, Lockwood, Bordeaux, & Brinley, 2005). 한편, 대처의 효과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에서도 어떠한 대처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자들마다 서로 다른 대처를 연구에 포함시키면서 대처의 효과를 비교하거나 연구결과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스트레스 대처 문헌에서 도출된 상위의 대처 가운데 문제해결, 사회적 지지추구, 인지적 재구조화 대처를 국내 일-가정 양립 문헌에 근거하여 채택하고, 세 가지 대처가 각각 자신과 배우자의 일-가정 양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 경험을 보다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맞벌이 부부를 조력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369쌍의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자신과 배우자의 문제해결, 사회적 지지추구, 인지적 재구조화 대처가 부부의 일-가정 갈등(일→가정, 가정→일 갈등)과 일-가정 향상(일→가정, 가정→일 향상)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통해 확인하고, 각각의 대처의 효과에서 아내와 남편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 2에서는 일-가정 갈등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문제해결, 사회적 지지추구, 인지적 재구조화 대처가 완화하는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을 통해 세 가지 대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세 가지 대처가 일-가정 갈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 1에서 아내의 문제해결대처는 자신의 가정→일 갈등을 줄여주었으며, 남편이 사용하는 사회적 지지추구는 자신과 아내의 가정→일 향상을 높여주었고, 아내의 인지적 재구조화는 자신과 남편의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을 줄여줄 뿐 아니라 자신의 일→가정 향상, 가정→일 향상, 남편의 가정→일 향상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대처방식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편의 인지적 재구조화 역시 자신의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을 줄여주고 자신의 일→가정 향상과 가정→일 향상을 높여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여, 세 가지 대처가 일-가정 갈등을 줄이거나, 일-가정 향상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갈등과 향상에 대한 세 가지 대처의 효과를 동시에 확인함으로써 갈등을 줄이는 대처와 향상을 증진하는데 더 효과적인 방식, 즉 갈등과 향상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대처의 상대적인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가지 대처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연구 2에서는 문제해결대처의 경우,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 자신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아내의 문제해결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편의 가정→일 갈등이 본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남편이 사용하는 문제해결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추구의 경우, 유일하게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아내가 사용하는 사회적 지지추구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재구조화 대처의 경우에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서 아내가 사용하는 인지적 재구조화 대처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했으며, 아내의 가정→일 갈등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에서 아내가 사용하는 인지적 재구조화 대처의 조절효과가 나타나 세 가지 대처는 일-가정 갈등으로 가정 영역의 결과인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조절하는 버퍼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의를 통해 맞벌이 부부가 사용하는 세 가지 대처가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으며, 일-가정 양립에서 개인의 대처가 일-가정 갈등을 줄이고, 일-가정 향상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일-가정 갈등이 부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완화하여, 일-가정 양립을 둘러싼 환경적 변수 못지않게 중요한 변인임을 제안하였다. 또한 세 가지 대처가 남편과 아내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교차효과가 나타나 일-가정 양립에서 부부의 상호 영향력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세 가지 대처 가운데 일-가정 갈등을 줄이고, 향상을 높일 뿐 아니라 갈등을 완화하는 데에 가장 강력한 효과를 보이고 있는 인지적 재구조화 대처가 일-가정 양립에서 갖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맞벌이 부부를 위한 개입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facilitate dual-earner couples by confirming the effect of coping on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and coordinating and alleviating conflicts caused by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work-family balance proposed by Voydanoff(2002),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work and family areas leads to compatibility, and the coping used by individuals plays a key role. The appropriate response used by dual-earner couples in work-family balance changes the demands and resources of work-family areas, reduces work-family conflict, induces work-family enhancement, and suggests buffering effects that relieve the negative impact of stress on individual and couples' adaptation. In work-family studies, appropriate coping strategies are also ci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Byron, 2005; Higgins, Duxbury, 2010; Ganginis Del Pino, 2011), leading to work-family enhancement(Greenhaus & Powell, 2006; Mauno, Kinnunen, Rantanen, Feldt & Rantanen, 2012). In addition, conflicts and stress caused by work-family compatibility have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negative effects on individual health and well-being (Aryee, Luk, Leung, & Lo., 1999; Carver, Scheier, & Weintraub, 1989; Folkman & Moskowitz, 2004; Penley, Tomaka, & Wiebe, 2002) Nevertheless, work-family studies so far have focused on external conditions affecting work-family conflict and enhancement, and studies related to individual changeable and controllable coping have been relatively alienated(Eby, Casper, Lockwood, Bordeaux, 2005). In addition, since there was no agreement on what kind of countermeasures to use in studies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coping, it has been difficult for researchers to compare the effects of coping or apply research results while including different countermeasures in the study.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adopt problem-solving, support seeking, and cognitive restructuring measures based on Korean work-family literature, and to more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work-family experience of dual-income couples. To this end, the following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First, in Study 1, the actor-effects and partner-effects on the couple's work to family conflict(WFC) and family to work conflict(FWC) and work to family enhancement(WFE) and family to work enhancement(FWE) were checked, and husband's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addition, Study 2 confirmed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marital satisfaction of couples through problem solving, support seeking, cognitive restructuring coping, and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results shown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Study 1, which confirmed the effect of the three measur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enhancement, the wife's problem-solving reduced her FWC, and the husband's support seeking increased his FWE and wife's FWE. Also, wife's cognitive restructuring was effective in reducing her and husband's WFC and FWC, and improving her WFE and, FWE, and husband's FW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usband's cognitive restructuring is also a factor that reduces his WFC and FWC and increases his WFE and FWE. In addition, by simultaneously confirming the effects of three copings against W-F conflict and W-F enhancement, it was possible to confirm a more effective way to reduce W-F conflict and to promote W-F enhancement, that is,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copings affecting each W-F conflict and W-F enhancement. In Study 2, which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hree coping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problem-solving, the wife's problem-solving control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husband's WFC on the husband's and wife's marriage satisfaction. In the FWC,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solving used by the husband control the actor effects and the other partner effects of the husband's FWC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between himself and his wif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pport seek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ife's support seeking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actor effect of the husband's WFC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Lastly, in the case of cognitive restructuring, the actor effect of husband's WFC on husband and wife's marriag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ife's cognitive restructuring on husband and wife's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th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three copings used by dual-income couples on work-family balance suggested that individual coping plays a role in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and leading to work-family enhancement, as well as controlling and alleviating inevitable conflicts. In addition, the cross-effect of the three copings on the work-family balance between husband and wife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couple's mutual influence in work-family balance,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cognitive restructuring, which not only reduces work-family conflict, but also improves enhancem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intervention plans for dual-income coupl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