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8 Download: 0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불안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Title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불안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altionship between Counselors’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clarity
Authors
김완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불안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상담자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상담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상담자 변인은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그 중요성에 비하여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자의 성인애착이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확인하고, 상담자의 공감 수준을 향상하는 데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상담사나 한 학기 이상 상담경험이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상담 전공 대학원생은 최소 한 사례를 5회기 이상 진행한 경험이 있는 경우로 제한하였다. 총 393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기자비불안, 정서인식 명확성, 공감을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하였고, Mplus 7.4를 이용하여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 Anderson & Gerbing, 1988)에 따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차례로 검증하였으며,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애착불안은 공감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애착회피는 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상담자의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와 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상담자의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와 공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상담자의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와 공감의 관계를 자기자비불안과 정서인식 명확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상담자의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자비불안이 높아져 정서인식 명료성이 낮아지고, 그 결과 공감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자의 성인애착과 공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자기자비불안과 정서인식 명료성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애착 안정성이 낮은 상담자의 공감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으로 자기자비불안을 낮추고, 정서인식 명확성을 증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애착이 불안정한 상담자의 공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ttachment and empathy. As the number of counselors and the demand for both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have been increased rapidly in modern society, education for counselor’s competency is now taking an essential role. Decades of research showed that counselor variables, also known as one of the common factors in counseling, are more influential than theoretical orientation or technique on counseling outcome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sm between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which is expected to give insight into education for counselor’s empathy. To address this aim, 393 participants answered an online survey measuring adult attachment, fear of self- compassion, emotional clarity and empathy. The participants are consist of two groups which are counselors with counseling license and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who have at least an experience of 5 counseling sessions for a single case. With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initially conducted by SPSS 21.0. Then, following the Anderson and Gerbing’s (1988) two-step approach,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were verified using Mplus 7.4. Lastly,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demonstrated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counselors’attachment anxiet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empathy, wherea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empathy. Second,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empath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empathy were mediated by fear of self-compassion. In addition to that,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empath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empathy were mediated by emotional clarity. Last but not least,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ttachment anxiety and empath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empathy were serially mediated by fear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clarity. To conclude, higher level of attachment anxiety or attachment avoidance predicts higher fear of self-compassion, which then leads to lower emotional clarity and lower empathy sequentially. Current study adds to the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e implication of fear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clarity in counseling, as it provides evidence that fear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clar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ducing one’s fear of self-compassion and enhancing the emotional clarity may help increasing a counselors’ level of empathy, who are with insecure attachment. In other word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education that can improve level of empathy of counselors’ with insecure attach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