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7 Download: 0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4B 여성의 정치적 의미에 대한 연구

Title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4B 여성의 정치적 의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litical Meaning of 4B Women After Feminist Reboots
Authors
박진솔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허라금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진행된 페미니즘 운동으로서의 4B 운동이 4B 여성에게 어떻게 의미화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여성들이 비혼·비연애·비출산·비섹스를 어떻게 4B라고 부르게 되었는지, 이것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4B 수행을 자신의 삶 속에서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이를 통해 자신의 삶과 주변 관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개인적인 수행으로서의 4B 수행이 어떻게 페미니즘 운동이자 정치적인 목표와 의도를 가진 행위로 의미화되는지를 밝히면서, ‘4B 여성’의 위치성과 정치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로 변화한 온라인 페미니즘 공론장 속에서 여성들은 자신을 페미니스트로 의식화한다. 여성들의 페미니스트 의식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성 안전’과 ‘권력’의 문제이다. 여성들은 온라인상의 페미니즘 담론을 주도해온 ‘래디컬’ 페미니즘의 논의의 영향에 따라 ‘여성 안전’과 ‘권력’의 문제를 해석하는데, 여성 안전과 권력을 중심으로 4B 여성은 자신의 삶 전반을 재구성하고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B 여성에게 불평등한 사회의 젠더 권력관계는 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로 의미화된다. 이 속에서 페미니스트로서의 삶은 자신의 안전과 생존을 지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의미화된다. 4B 여성은 4B 수행을 이성애 중심의 섹슈얼리티 영역에서의 일종의 탈코르셋 운동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는 개인적인 수행을 통해 자신의 안전과 생존을 지키는 전략임과 동시에 4B 수행이 이성애 중심의 가부장제를 정면으로 거부한다는 점에서 페미니스트 운동으로서의 의미를 함께 지닌다. 이제 4B는 여성들이 능동적으로 선택하는 생존에 유리한 행위이자 정치적 목표를 지닌 행위로 의미화된다. 그러나 4B 여성은 자신의 4B 수행이 대의로서의 페미니즘 ‘운동’으로 여기는 것을 거부하고자 한다. 개인적 차원에서 4B는 여성 개인의 이익을 보장하는 지극히 개인적인 선택이지만, 개인의 희생이 내포된 ‘운동’으로서의 무거움을 벗어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의 행위가 이성애 중심의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과 거부라는 정치적 목표를 지닌 것이라고 생각하며, 개인의 이익을 위해 선택한 것이지만 정치적인 ‘운동’으로서 기능 함께 가진 것으로 4B 여성에게 의미화되고 있다. 개인적인 수행이지만 동시에 가장 정치적인 행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4B 여성에게 4B 수행보다 우선으로 선행해야 하는 것은 페미니스트로서의 정체화이며, 탈코르셋 운동의 연장으로서 정치적 책임감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4B 여성은 탈코르셋 운동을 중요한 페미니스트 수행으로 논의하는데, 이들의 탈코르셋 운동은 자신의 편리함과 저항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를 위한 정치적 책임감에 기반하여 탈코르셋을 수행하기도 한다. 탈코르셋 수행은 페미니스트로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는 방법이었으며, 4B 수행도 같은 맥락에서 페미니스트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수행으로 의미화된다. 따라서 4B 여성에게 4B 수행은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재확인하는 행위이자, 다음 세대를 위한 정치적 책임감을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 셋째, 4B 운동은 온라인에서 시작된 ‘래디컬’ 페미니즘에서 시작한 논의였으나 여성들마다 ‘래디컬’ 페미니즘을 이해하는 방식이 서로 상이하며 그 관계성과 연관성이 일관되지 않다. 여성들이 서 있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4B 수행을 정의하고 수행하고 있었으며, 4B를 수행하는 여성을 4B 여성으로 명명하고는 있지만 이들의 삶의 구체적인 맥락에서 형성되는 모습은 다양했다. 이들이 각기 생각하는 페미니즘에 대한 정의와 ‘래디컬’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 또한 다양했으며, 4B 운동이 대중화됨에 따라 ‘래디컬’ 페미니즘과 별개의 페미니즘 운동이자 라이프 스타일로서 4B 운동은 재정의된다. 넷째, 4B 운동은 젠더 권력관계를 철저하게 의식하고 있는 개인주의적 주체들의 권력 추구의 결과이기도 하다. 4B 여성은 불공평한 권력관계를 전복하고자, 다른 영역에서 얻을 수 있는 ‘권력’을 추구한다. 자신의 행복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안전마저도 사회와 국가는 책임져주지 않는다는 일종의 ‘위기의식’은 여성들이 개인적인 수행 속에서 생존을 우선으로 생각하게 만든다. 그리고 자신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권력 추구를 하는데, 탈코르셋 문제와 4B 수행, 경제적 성공 등이 4B 여성이 일관되게 언급하는 권력 추구 방식이다. 권력은 탈코르셋을 통한 외모 꾸미기의 억압과 규제에서 벗어나는 이탈적 수행을 통해 외모 평가를 ‘받는’ 위치에서 외모 평가를 ‘하는’ 위치로의 자리바꿈의 시도를 통해 얻어진다. 권력의 획득 수단으로서 4B 수행은 탈코르셋과 긴밀히 연동하면서, 사회적으로 권력을 얻는 유용한 수단으로까지 의미화된다. 이러한 권력에 대한 추구를 통해 이들이 얻고자 하는 것은 사회에서 여성으로서 차별받게 만드는 젠더 권력 체계의 권력 체제의 전복이다. 따라서 4B 여성의 남성 외모에 대한 평가는 돈과 성공에 대한 추구와 같이 불평등한 젠더 권력 체계를 전복시킬 수 있는 권력 의지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이 실제로 “잘생긴” 남자를 원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그러한 욕망은 권력 의지와 뒤섞인 욕망이며, 이러한 욕망의 최종 목표는 권력의 획득이다. 이들이 생각하는 ‘권력’의 획득을 통해 대상화된 ‘여성’이 아닌 ‘주체’가 되고자 한다. 같은 맥락에서 4B 수행 또한 불평등한 젠더 권력관계 내에서 끊임없이 권력 없는 수동적인 피해자의 위치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살아가는 행위자가 되게 한다. 4B 여성은 탈코르셋과 4B 수행을 통해 자신의 권력, 삶의 주도권과 통제력을 얻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안전하고 자유로운 삶을 살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권력을 얻고자 한다. 이처럼 4B 여성의 ‘권력’에 대한 추구는 ‘안전’이라는 문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들에게 ‘안전’은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이 낳을 수도 있었을 생명에 대한 안전까지 포함하는 의미였다. 국가나 사회로부터 안전을 보호받을 수 없다는 감각은 이들이 스스로 안전을 책임져야만 한다는 위기의식과 저항감으로 발전한다. 시위나 여성인권 단체에서의 활동 등 집단적이고 정치적인 활동은 여성 전반의 안전에 거시적으로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개인 여성의 안전과 행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치적인 집단행동보다 개인적 수행 양식으로서 4B 수행을 통해 안전을 성취하고자 한다. 신자유주의적 주체로서의 4B 여성은 4B 수행을 통해 확보된 시간과 물자를 자아실현과 자기계발을 위해 쓰고자 하며, 이 속에서 ‘권력’으로 이해되는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안정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제력은 이들이 페미니스트로서 의식화하면서 깨닫게 된 사회의 젠더 권력관계를 전복시킬 수 있는 ‘권력’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4B 여성은 사회의 젠더 권력관계를 인식하면서, 사회의 ‘권력’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권력’을 얻으려고 한다. 4B 여성의 권력에 대한 의지는 사회구조적 환경에서 끊임없이 대상화된 존재로 위치 지어지는 것에서 벗어나 인격적이고 독립적인 주체로 존재하고 싶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4B 여성이 이해하는 페미니즘 운동 전략으로서의 4B 수행은 사적 영역을 철저하게 정치화한다. 4B 운동과 탈코르셋 운동은 4B 여성에게 미래 세대를 위한 정치적 책임의 문제로 의미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동질감과 연대의 가능성을 지닌 집단으로 ‘여성’이 호명된다. 4B 여성들의 가까운 인간관계와 삶의 방향 그리고 섹슈얼리티의 영역은 4B 수행을 중심으로 페미니스트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향으로 재편된다. 4B 여성은 자신의 삶의 형태와 비슷한 여성들과의 교류 집단이자 지지집단을 늘리고자 한다. ‘안전’의 문제를 두고 비슷한 위치에 있는 ‘여성’에 대한 동질감은 친밀한 관계의 교류와 지지의 대상으로서 ‘여성’을 생각하게 만든다. 이때의 ‘여성’은 ‘여성으로부터 확인된 여성’으로서의 의미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로부터 평가절하된 ‘여성’에 대한 호의를 의식적으로 연습한다. 4B 여성이 보이는 ‘여성’에 대한 호의는 자신과 삶의 형태와 가치관이 다른 여성들과의 연대의 가능성을 넓히는 것과 동시에, 연대와 우정의 관계 이상의 동성과의 연애 관계와 같은 파트너쉽으로의 확장 또한 가져온다. 정치적 레즈비어니즘의 경향성은 레즈비언으로서의 삶과 정치적 레즈비어니즘의 삶의 경계가 모호해지게 만들기도 한다. 이성애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 페미니즘적 연대라는 정치적 입장에서 선택된 여성에 대한 호의와 정치적 레즈비어니즘의 경향성은 새로운 섹슈얼리티의 가능성을 확장하며, 새로운 정의의 가족 구성을 시도하게 한다. 안전의 문제에서부터 시작된 정치적 레즈비어니즘의 경향성은 폐쇄적인 비혼 공동체나 4B 여성 공동체에 대한 상상으로까지 나아간다. 4B 여성이 4B를 선택하게 된 데에는 ‘안전’의 문제가 가장 크게 자리 잡고 있다. 국가나 커뮤니티로부터 안전을 보장받기 어렵기 때문에 스스로 그러한 안전을 지켜야 한다는 ‘생존’ 전략으로서 4B 수행은 여성들에게 ‘이기적’이며 ‘유리한’ 선택으로 의미화된다. 4B 여성의 안전에 대한 이러한 의식은 한국 사회에서 젊은 여성들이 처한 경제적·사회문화적 위치와 안전에 대한 사회의 책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그러나 여성들의 4B 수행은 기본적으로 ‘안전’의 문제에 기반한 ‘이기적’인 선택이지만, 안전에 대한 불안과 도피만으로 삶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여성성’으로 규정하고 있는 전통적인 여성상과 외모 꾸미기를 거부하면서, 기존의 ‘가족’의 의미와는 다른 가족의 의미와 섹슈얼리티의 관계들을 상상하고 시도한다. 기존의 ‘여성성’에 대한 강한 반발심과 거부는 상호 돌봄의 관계와 인간다운 삶을 위한 친밀한 관계까지 거부하게 만들고 생존경쟁에만 몰두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 속에서 여성들은 독립적인 인격체들 간의 연대로서의 가족을 상상하며, 감정적인 교류와 정치적인 연대의 의미로서 확장되고 재개념화된 ‘가족’과 공동체를 시도한다. 여성들의 4B 수행을 단순히 저출산 문제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4B 수행을 통해 여성들은 한국 사회에서의 여성의 삶과 생존권을 이야기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과 주체로서의 독립성을 주장하고 있다. 여성들이 출산을 하지 않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행복하기 어려운 여성으로서의 삶의 조건에서 기인한 사회구조적인 문제이다. 4B 여성들은 자신을 위한 선택으로 4B를 선택하는 이유는 여성으로서의 생명의 안전, 주거권 문제, 고용 문제와 임금차별, 그리고 더 나아가 가부장적 이성애 중심적인 결혼 문화와 가족 구성권 등의 불평등한 젠더 권력관계에 기반한 문제 때문이다. 이 속에서 4B 여성들이 시도하는 대안적인 삶은 여성 1인 가구와 여성 안전에 대한 사회 제도의 전반적인 변화를 촉구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내에서 대면으로 심층 면접이 가능한 20-30대 비장애인 여성들만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주로 고학력 여성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한계적이다. 페미니즘 리부트와 함께 10대를 보내고 있는 10대 4B 여성이나 장애를 가진 4B 여성의 논의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how the 4B movement as a feminist movement conducted mainly online is being meaningful to 4B women.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women came to call against marriage, against dating, against sexual reproduction, and against sex the ”4B,” how do they understand the meaning of “4B”, and how they practice “4B” in their lives. And through this, I attempted to find out how their lives and social relationships have changed. By revealing how the 4B practice as an individual practice is meant to be a feminist movement and an act with political goals and intentions,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position and politics of ‘4B women’. In the online feminist public sphere that has changed since the “feminist reboot,” women based their self-perceived identities consciously as feminists.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women's feminist awareness are the issues of 'women's safety' and 'power'. Women interpret the issues of 'women's safety' and 'power'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discussion of 'radical' feminism, which has led the online feminist discourse. 4B women are reorganizing their entire lives based on women’s safety and power.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4B women, the gender power relationship in an unequal society is signified as a problem that threatens their survival. In this, life as a feminist is meant as a way to protect one's own safety and survival. 4B women understood that 4B practice was a kind of de-corset movement in the area of heterosexuality-centered sexuality, and it was a strategy to protect their own safety and survival through personal practice. At the same time, 4B practice was a direct rejection of heterosexual-centered patriarchy, and in this respect, it has a meaning as a feminist movement. 4B is now signified as an action favorable to survival that women actively choose, and an action with a political aspiration. However, 4B women intend to refuse to consider their 4B practice as a feminist “movement” as a representation. On a personal level, 4B is a very individual choice that guarantees the self-interests of women, but it is because it seeks to escape the heavy connotation of a 'movement' that often involves individual sacrifice. However, they believe that their actions have a political goal of resisting and rejecting the heterosexual patriarchy, and although their decisions are based on personal gain, they are meant to have the function as a political 'movement' for 4B women. It is a personal practice, but at the same time it can be the most political act. Second, what should be given priority to 4B women is their identity as a feminist, and it is a means of expressing political responsibility as an extension of the de-corset movement. 4B women discuss the de-corset movement as an important feminist performance, and their de-corset movement not only means their level of comfort and resistance, but also performs de-corseting based on their political responsibility for the next generation. The de-corset practice was a way to reaffirm one's identity as a feminist, and in the same context, the 4B performance is meant as a performance to confirm one's identity as a feminist. Therefore, for 4B women, practicing 4B is an act of maintaining and reaffirming their identity as feminists, and a means of expressing their political responsibility for the next generation. Third, the 4B movement was a discussion that started from ‘radical’ feminism which started online, but each woman has a different way of understanding ‘radical’ feminism, and the relationship and relevance are not consistent. The women performing 4B were defined and per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where they stood, and although women who performed 4B were named 4B women, how they appeared and formed based on the specific contexts of their lives varied. Their definition of feminism and their thoughts on ‘radical’ feminism also varied, and as the 4B movement became main-steam, the 4B movement was redefined as a separate feminist movement and lifestyle from ‘radical’ feminism. Fourth, the 4B movement is also a result of the pursuit of power by individualistic subjects who are thoroughly conscious of the gender power relationship. 4B Women seek ‘power’ that can be obtained in other areas in order to subvert unfair power relations. A kind of “consciousness of crisis” that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society and the state do not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happiness and minimum safety drives women to prioritize survival in their personal practice. And to protect their own safety, they seek power in various fields, and the problem of de-corset, 4B performance, and economic success are the ways 4B women consistently refer to power pursuits. Power is obtained through an attempt to shift from a position of ‘being rated for one’s looks’ to a position of ‘’evaluating other’s looks” through the deviant performance that escapes the oppression and regulation of beautifying one’s appearance, through de-corset. As a means of acquiring power, the 4B performance is closely linked with the de-corset, and is signified as a useful means of gaining power socially. What they want to achieve through this pursuit of power is the overthrow of the power system of the gender power system that discriminates because they are women in society. Therefore, the act in which 4B women evaluate male’s appearance can be seen as an expression of the will to power, like the pursuit of money and success, which in turn could subvert unequal gender power systems. They may actually want a "handsome" or “physically attractive” man, but such desire is mixed with the will to power, and the ultimate goal of this desire is to gain power. By acquiring the ‘power’ they think of, they want to become a ‘subject’ rather than an objectified woman. In the same context, the practice of 4B also allows women to move away from the position of being passive victims without power in an unequal gender power relationship, to becoming people who actively control and live their own lives. 4B women want to gain their own power, leverage and control in life through corset removal and 4B practice, and ultimately, they want to gain power in various ways to lead a safe and free life. As such, 4B women's pursuit of 'power'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safety'. For them, ‘safety’ meant not only safety for herself but also for the life she might have given birth to. The sense that safety cannot be protected by the state or society develops into a sense of crisis and resistance that they must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safety. 4B women think that although collective and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protests and activities in women's human rights organizations can help women's overall safety macroscopically, those do not contribute to the safety and happiness of individual women. Therefore, they aim to achieve safety through performing 4B as an individual practice form rather than a communal political practice. As a neoliberal subject, 4B women want to use the time and materials secured through 4B practice for self-realization and self-development, and in this regard, they want to secure social status and economic stability, which is understood as ‘power’. This is because they understand this economic power as a 'power' that can subvert the gender power relationship in society that they realized while becoming conscious as feminists. 4B Women, recognizing the gender power relationship in society, respond sensitively to society's 'power' and try to gain 'power' in various ways. 4B women's will to power wants to exist as a personal and independent subject, away from being constantly positioned as an object in the social structure environment. In this context, the practice of 4B as a feminist movement strategy understood by 4B women thoroughly politicizes the private realm. This is because the 4B movement and the de-corset movement are meant for 4B women as a matter of political responsibility for future generations. In this process, ‘women’ is called as a group with the potential of homogeneity and solidarity. 4B women's clo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ife directions, and the realms of sexuality are reorganized in the aim to maintain their feminist identity centered on 4B performance. 4B Women want to increase the exchange group and support group with women who are similar to their lifestyle. The sense of unity with 'women' in a similar position on the issue of 'safety' makes them think of 'women' as someone in the position of exchange and support in close relationships. In this case, ‘women’ means ‘women identified by women’, and they consciously practice favorably with ‘women’ who have been devalued by society. 4B Women's favor toward 'women' not only expands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women who have different lifestyles and values, but also exp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solidarity and friendship into partnerships such as romantic relationships with the same sex. . The tendency of political lesbianism also blurs the line between life as a lesbian and life of political lesbianism. Criticism of heterocentrism and favor towards women selected from the political standpoint of feminist solidarity and the tendency of political lesbianism expand the possibilities of new sexuality and attempt to create a new definition of family. The tendency of political lesbianism, which started as a safety issue, extends to the imagination of a closed unmarried community or 4B women's community. The biggest reason why 4B women chose 4B is the issue of 'safety'. As a 'survival' strategy that requires self-defense as it is difficult to ensure safety from the state or community, performing 4B is meant to be a 'selfish' and 'favorable' choice for women. This awareness of 4B women's of safety makes us rethink young women’s economic and socio-cultural status in Korean society and our social responsibility for safety. However, although 4B women's performance is basically a 'selfish' choice based on the problem of 'safety', it does not constitute life only with anxiety about safety and escape from threat and harm. While rejecting the traditional image of women defined as 'femininity' and beautifying their physical appearance, they imagine and attempt a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s of family and relationships of sexual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aning of 'family.' The strong repulsion and rejection of the existing 'femininity' causes them to reject the relationship of mutual care and close relationship for a humane life, and also makes them immerse themselves in the competitive struggle for survival. However, in this, women imagine the family as a bond of solidarity between independent personalities, and attempt an expanded and reconceptualized 'family' and community as a meaning of emotional exchange and political solidarity. Women's 4B performance should not be viewed as a mere problem of low fertility. Through the practice of 4B, women were talking about women's right to life and survival in Korean society, claiming control over their own lives and independence as subjects. Women's refusal to give birth i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stemming from the conditions of life as women who are difficult to live happily in Korean society. The reason why 4B women choose 4B for themselves is because of underlying problems of unequal gender power relations such as safety of living as women, housing rights issues, employment issues and wage discrimination, and furthermore, a patriarchal heterosexual marriage culture and absence of the right to form a family as desired. In this context, the alternative life that 4B women try calls for a general change in the social system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women's safety.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only targeted non-disable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able to conduct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and mainly women with high education. More research into the discussion of teenage 4B women or 4B women with disabilities going through their teens during the feminism reboot will b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