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8 Download: 0

이왕직아악부와 봉해룡 단소 청성곡 비교연구

Title
이왕직아악부와 봉해룡 단소 청성곡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Yiwangjik Aakbu and Bong Hae-Ryong Danso Cheongseonggok
Authors
변수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영석
Abstract
하은(河隱)봉해룡은 경제풍류를 대표하는 단소연주자이며, 본 논문은 이왕직아악부의 단소 청성곡을 중심으로 봉해룡의 단소 청성곡과 비교하여 봉해룡 단소선율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논문이다. 이왕직아악부 단소 청성곡 악보를 중심으로 봉해룡 단소 청성곡의 선율진행, 시가 변화, 음역 변화와 장식음을 비교하였다. 비교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선율 비교결과 [이]와 [봉]은 유사한 진행을 보이나, 장식음의 구성음은 모두 상이하게 진행되었다. [이]의 선율을 중심으로 [봉]의 선율이 확대된 진행 11회와 축소된 진행 5회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음역의 변화는 한 옥타브 올린 상성부의 진행이 [봉]의 선율에서 7회를 찾아볼 수 있었다. [봉] 단소의 특징인 음의 높낮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상행하는 것은 힘 있는 소리를 강조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식음의 출현횟수에서 [이]는 ‘앞꾸밈’ 82회, ‘사이꾸밈’ 4회, ‘뒷꾸밈’ 8회로 총 94회가 등장했고 [봉]의 ‘앞꾸밈’ 120회, ‘사이꾸밈’ 39회, ‘뒷꾸밈’ 14회로 총 173회가 등장하여, [봉]의 장식음 출현횟수는 [이]보다 79회 더 많이 출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의 ‘앞꾸밈’은 87%, [봉]의 ‘앞꾸밈’은 69%로 [이]의 ‘앞꾸밈’ 사용이 더 많았으며, [이]의 ‘사이꾸밈’은 4%, [봉]은 23%로 [봉]의 ‘사이꾸밈’ 사용이 더 많았다. 따라서 [봉]은 [이]보다 장식음 출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식음의 유형에서 [이]와 [봉]은 크게 두 가지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노니로’(제음한음위)와‘순차진행’되는 장식음, [봉]은 ‘겹쌍꾸밈’, ‘순차진행’되는 장식음이다. [이]의 ‘노니로’는 음의 앞을 꾸밀 때 나타난다. [봉]은 [이]의 기본선율을 중심으로 장식음이 추가된 진행을 보인다. [봉]이 개발한 ‘겹쌍꾸밈’은 여러겹의 장식음을 겹겹이 쌓아서 만들어지며, 음 앞을 꾸미거나 음과 음 사이사이에 장식음을 넣어서 꾸며진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장식음보다 더 화려하게 진행되며, 음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봉]에서 사용된‘순차진행’되는 장식음은 음과 음 사이를 이어주거나 뒤의 음을 마무리할 때 사용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봉] 단소의 선율 진행은 [이]와 유사하나, 장식음의 구성음은 모두 상이하였다. [봉] 단소는 많은 장식음과 시가의 축소를 통하여 [이]에 비해 화려하게 진행되었으며, 순차적인 장식음을 사용함으로써 매끄러운 선율 진행을 보인다. 하지만 단순히 장식음의 빈도를 올리는 것뿐만 아니라 개별 음가를 확대하는 진행을 통하여 맑고 깨끗한 소리를 자아냈다. 또 [이]의 선율을 한 옥타브 올린 진행은 [봉]의 힘 있는 소리를 강조하기 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Ha Eun Bong Hae-Ryong is the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Danso player who performs Gyeongje Pungnyu.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ong Hae-Ryong Danso Cheongseonggok melody compared to Yiwangjik Aakbu’s. Focusing on the score of Yiwangjik Aakbu Danso Cheongseonggok, the study compared Bong Hae-Ryong Danso Cheongseonggok’s melodic progression, beat change, range change, and ornamen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melody comparison, [Yi] and [Bong] showed similar progress, but the compositions of the ornaments were progressed differently. Focusing on the melody of [Yi], 11 times of melodic expansion and 5 times of melodic reduction were found in [Bong]. In the change of range, the progression above one octave was found 7 times in [Bong].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ong] Danso is that goes up and down freely by adjusting the pitch. It could be seen that the purpose was to emphasize the powerful sound. Second, in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ornaments, [Yi] appeared a total of 94 times with 82 times of appoggiatura, 4 times of mordent, and 8 times of nachschlag. [Bong] appeared a total of 173 times with 120 times of appoggiatura, 39 times of mordent, and 14 times of nachschlag.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ornaments in [Bong] appeared 79 times more than in [Yi]. Appoggiatura in [Yi] was 87%, and [Bong] was 69%, indicating that the use of [Yi]’s was higher. Mordent in [Yi] was 4%, and [Bong] was 23%, indicating that the use of [Bong]’s was higher.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appearance of ornaments in [Bong] was more evenly distributed than [Yi]’s. Third, in the types of ornaments, two major things were found in between [Yi] and [Bong]. [Yi] performs Noniro─a main note and an upper note─and conjunct motion ornaments are used, and [Bong] perfoms double-layered ornaments and conjunct motion ornaments. Noniro in [Yi] appears when decorating the front note. [Bong] shows the progress of adding ornaments focusing on the basic melody of [Yi]. The double-layered ornament developed by [Bong] is made by stacking multiple ornaments layer by layer, decorating the front note or by inserting ornaments between notes. For this reason, it proceeds more splendidly than a general ornament, and serves to decorate the sound. The conjunct motion ornaments used in [Yi] and [Bong] is used to connect the notes between the notes or to finish the notes behind them.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melody progression of Danso in [Bong] was similar to [Yi], but the compositions of the ornaments were all different. Danso in [Bong] was performed more splendidly than [Yi] by reducing the number of ornaments and beats, and it shows a smooth melody progression by using the conjunct motion ornaments. Nevertheless, it created clear and clean sounds through not onl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using ornaments, but also using the progression of expanding sounds individuall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ess of raising the melody of [Yi] one octave up was intended to emphasize the powerful sound of [Bo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