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3 Download: 0

박동실제 심청가 장월중선 바디 음악적 특징 및 전승양상 연구

Title
박동실제 심청가 장월중선 바디 음악적 특징 및 전승양상 연구
Other Title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Bakdongsilje Simcheonga : in the Following the Sailors part of Simcheongga
Authors
노해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효주
Abstract
박동실제 심청가는 한 때 광주소리라 불리며 보성소리와 함께 흥행하였으나 해방 이후, 박동실의 월북을 기점으로 전승이 크게 약화되어 현재는 박동실의 제자 장월중선으로 전해진 바디가 유일하다. 따라서 본고는 전승위기에 놓인 〈장월중선 바디〉의 음악적 특징 및 전승양상 연구를 위해 심청가 눈 대목인 박동실제 심청가 중‘선인들을 따라간다’ 대목을 중심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장월중선 바디의 음악적 특징 연구를 위해 박동실의 제자 장월중선과 한애순이 부른 ‘선인들을 따라간다’ 대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은 일부 상이한 구조를 보이기는 하나 대부분 의미가 같아 전반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장월중선 사설을 기준으로 한애순의 사설이 총 44장단 중 1장단은 추가되고 4장단은 생략되어 3장단이 짧다. 둘째, 〈붙임새〉는 잉어걸이, 대마디대장단, 엇붙임 세 가지 유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장월중선이 한애순에 비해 잉어걸이 유형의 붙임새를 자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율〉은 장월중선과 한애순이 43% 유사한 가운데, 장월중선은 고음을 즐겨 사용하고 쉬는 박을 자주 사용하여 붙임새 변화에 적극적이며 화려한 기교를 구사하거나 꺾는 음으로 종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장월중선 바디의 전승양상 연구를 위해 장월중선의 제자 정순임과 이지오가 부른 ‘선인들을 따라간다’ 대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사설〉은 판에 박은 듯 매우 유사한 구조를 나타냈다. 둘 째, 〈붙임새〉는 장월중선이 자주 사용하는 잉어걸이가 제자들에게서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율〉은 장월중선을 기준으로 정순임은 95%, 이지오는 93%의 유사선율이 확인되었다. 정순임은 고음을 즐겨 사용하고 쉬는 박을 자주 사용하여 붙임새 변화에 적극적이며 화려한 기교를 구사하거나 꺾는음으로 종지하는 경향의 장월중선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지오는 고음을 즐겨 사용하고 쉬는 박을 자주 사용하여 붙임새 변화에 적극적인 것은 장월중선과 유사하나 화려한 기교를 사용하지 않고 시작음이나 종지음에 있어 장월중선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서편제 효시 박유전으로부터 이날치, 정재근을 거쳐 박동실로 이어져 온 광주소리 박동실제 심청가 전승이 확인되는 유일한 바디 장월중선의 소리가 이제부터라도 재조명되어 고제 소리로서 명색을 회복하고 보성소리 정응민제 심청가와 대등한 수준으로 계승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Bakdongsilje Simcheonga was known to be the music of Gwangju which frequently performed along with Bosungsori. However, since the liberation, as the inheritance had significantly dimin-ished upon Dong Sil Park’s defect to North Korea, only badi was passed down by a student of Dong Sil Park, Jangwoljungseon. Thus, this study considers a line ‘follow the sailors’ from Bak-dongsilje Simcheonga that is about eyes section of Simcheonga to research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in the crisis of inheritance and inheritance aspects. For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Jangwoljungseon badi, a line ‘follow the sailors’ sung by a student of Dong Sil Park, Jangwoljungseon, and Ae-Sun Han and the following suggests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First, although represents a partially disparate structure, the overall parts show similarity as they share identical meaning. However, based on the leading phrase of Jang-woljungseon, the leading phrase of Ae-Sun Han has an additional beat in 44 beats and omits 4 beats which leave 3 beats shorter. Second, demonstrates three types of ingeuguri, major line and major beat, and en-jambment. Jangwoljungseon often used ingeuguri interlude compared to Ae-Sun Han. Third, by Jangwoljungseon and Ae-Sun Han shows 43% of similarity. Whereas Jang-woljungseon incorporates high notes and resting beats to manifest a colorful technique and twisted tones. In investigating the inheritance aspects Jangwoljungseon badi, a line‘follow the sailors’ by Soon-Im Jeong and Ji-Oh Lee, the students of Jangwoljungseon, was analyz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howed a greatly similar structure. Second, for , Jangwoljungseon’s students employed an extensive version of ingeuguri that was often used by Jangwoljungseon. Third, according to by Jangwoljungseon, Soon-Im Jeong’s showed 95% and Ji-Oh Lee’s showed 93% of similarity in melody. Soon-Im Jeong showed very similar aspects in comparison with Jangwoljungseon through often used high note and resting beat to represent dynamic technique and preferably used twisted tones. Whereas Ji-Oh Lee had a similar approach with Jangwoljungseon by actively adopting high notes and resting beats to apply variations to the interlude part, but Ji-Oh Lee abandoned the use of dy-namic technique and had distinctive aspects from Jangwoljungseon with the starting pitch and end-ing pitch. Jangwoljungseon badi, the music of Gwangju, passed down from Sopyonje Yoo-Jeon Park to Nal-Chi Lee, Jae-Geun Jeong, and then to Dong-Sil Park, as the only evidence to confirm the inher-itance of Simcheonga is anticipated to regain its reputation as classic Korean music through recon-sideration and develop the inheritance that corresponds to Bosungsori Jungeongminje Simcheong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