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5 Download: 0

DIAMONDS와 CAPTION 상황 분류 모델의 문화적 타당화 및 통합적 상황 분류 모델의 개발

Title
DIAMONDS와 CAPTION 상황 분류 모델의 문화적 타당화 및 통합적 상황 분류 모델의 개발
Other Titles
Cultural validation of DIAMONDS and CAPTION situational taxonomy model and development of integrated situational taxonomy model
Authors
문희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It is widely known that the two main factors influencing human behavior are the person and the environment. Through research in the field of psychology for a long time, research on the various factors that make up the person factor has made rapid progress. Especially in the case of personalty among these,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among scholars about the fact that it is composed of big 5 traits: agreeableness, consciousness, extroversion, neuroticism, and openness. Compared to that of the person factors, the study of the environment, especially the situation factor, which is the specific environment that individuals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showed little development, and there is still no clear consensus on what the situation is and how it is composed of. It was only recently that situation researchers began to study in earnest how many components are there in the subjectively perceived situation characteristics, and what those components are. As a result, 7 situational taxonomies that can be measured with valid measurement tools have been derived to date. Each taxonomy has both similar situation factors derived from most taxonomies and unique situation factors found only in certain taxonomies. Accordingly, it become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situational taxonomy based on the similarity of various situational taxonomy factors developed so far.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Study 1 aims to check whether the DIAMONDS and CAPTION models, which are taxonomies targeting the widest range of situations among the newly developed models, can be properly applied to the situational taxonomy in domestic culture. In particular, the two models classify subjective situation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objective situations rather than objective situations. Since cultural background is reflected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situation, a cultural valid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o check whether the DIAMONDS and CAPTION model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can be properly applied to domestic culture. For this purpose, a validation process was conducted for the scale measuring each of the DIAMONDS and CAPTION models. In particular, the scale validation for each model was conducted through two research designs, and then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valid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design. Next, Study 2 seeks to develop an integrated situational taxonomy by classifying situation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to the same domai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two models for which validity was verified. An analysis was especially performed by Bass-Ackwards method to see how each domain class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erived through which hierarchical structure. Finally, it was intende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situa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raits, by confirm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grated model newly classified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AMONDS and CAPTION models can be properly applied to the situational taxonomy in the domestic culture. However, the result of examining the fit of the model revealed that the model fit of the CAPTION model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DIAMONDS model. Whereas the DIAMONDS model is a model to measur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to represent personality including the big five traits that have already secured cross-cultural validity, the CAPTION model was developed by extracting adjectives expressing situations from English adjectives that reflect American culture, so it is likely that the fit in domestic studies has been relatively low. However, since the absolute fit measure of the two models is a fit measure that can secure validity, the cultural validity of the two models has been secured, which indicates they can be reasonably applied to domestic culture regardless of the research design. Seco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15 factors included in the two models in order to integrate the validated DIAMONDS and CAPTION models into one model. As a result, a total of 7 domains were derived, which was found to have some differences from the domain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as a result of checking what kind of hierarchical structure the derived 7 domains are composed of, the 7 domains were confirmed to be derived from 3 domains: situation judged to be negative(Negativity), situation judged to be positive(Positivity), and situation related to tasks(Tasks). Finally,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rrelation with the 7 integrated domains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derived between the factors predicted to b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but the correlation strength was not strong, which showed that the situation characteristic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were not the two absolute factors that determine human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t became possible to identify individual differences in situational perception by deriving a situational taxonomy that integrates the DIAMONDS and CAPTION models along with the two model factors. In particular, individual differences in situational percep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counseling and clinical settings. In the counseling setting, it is possible to derive an individual's unique profile of situational characteristic perception by measuring the perception of the domains of situation they are experiencing, which can be helpful for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in the clinical setting,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 individual’s maladaptive aspects according to the way they perceive the situation, an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through changes in situational percep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he first to use the variable of ‘situation’ itself as a research issue in Korea, which is expected to be a basic study of domestic situational taxonomy research in the future. Second, the existing situational taxonomy studies have not reflected the unique situational perception of East Asian cultures because they were all conducted in the American and European cultures. In this study, the results to enable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with the research results of Western culture were derived by conducting validation of situational taxonomy models that reflect Korean culture and integration of situational taxonomy models. Third, more comprehensive situations were classified compared to individual models by integrating the existing situational taxonomy models, and it was possible to combine the strengths of the two models and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Fourth, through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situational taxonomy models, one labeling was assigned to factors that refer to similar situations but have different names, and each labeling was assigned to factors that refer to different situations but have the same na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APTION motel,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eason why the model fit did not meet the criteria of absolutely good fit wa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adjectives expressing th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valued in American and Korean culture respectively. Therefore, a situational taxonomy model targeting Korean adjectives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with the same procedure as the CAPTION model. Second, only two models were integrated in this study, but more various situational taxonomy models can be validated and integrated in the future.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office workers aged 25-39 with a vocational college degree or higher, but future studies need to repeatedly verify the research results with more diverse sample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s of objective situations as well as subjective situations on human behavior.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 on which path the situation takes to affect the behavior of a person should be continued.;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두 요인은 사람(Person)과 상황(Situation)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오랜 심리학 연구를 통해 사람 요인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연구는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그 중 성격 요인의 경우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증, 개방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서는 대체적으로 합의를 이루었다. 그러나 사람 요인의 연구에 비해 상황 요인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그 발전이 미미했으며, 여전히 상황이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에서야 상황 연구자들은 주관적으로 인식되는 상황이 몇 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성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 타당한 측정 도구를 가진 7개의 상황 분류 모델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르면 각 분류 모델에는 대부분의 분류 모델에서 도출되는 유사한 상황 요인이 존재하였으며, 특정 분류 모델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상황 요인 역시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상황 분류 모델들을 구성하는 요인들 간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하나의 통합적인 상황 분류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앞서 언급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 1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상황 분류 모델 중 가장 광범위한 상황을 대상으로 하는 DIAMONDS와 CAPTION 모델이 국내 문화권의 상황 분류에도 타당하게 적용되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특히 두 모델은 객관적 상황 그 자체가 아닌 객관적 상황에 대한 주관적인 지각을 통해 도출된 주관적 상황을 분류하는 모델로, 주관적 상황이 도출되는 과정에서는 개인이 가진 문화적 배경이 반영된다. 따라서 서구권에서 개발된 두 상황 분류 모델이 국내 문화에도 타당하게 적용되는지를 확인하려면 문화적 타당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DIAMONDS와 CAPTION 상황 분류 모델 각각을 측정하는 척도에 대한 척도 타당화를 실시하였으며, 특히 하나의 상황 분류 모델에 대한 척도 타당화를 두 가지 연구 설계를 통해 진행한 뒤 연구 설계에 따른 타당성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타당성이 확보된 두 모델의 구성 요인 중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요인을 동일한 영역으로 분류하여 하나의 통합적 상황 분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탐색적 요인 분석 방법으로 분류된 각 영역이 어떠한 계층적 구조를 통해 도출되었는지 Bass-Ackwards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분류된 통합적 상황 분류 모델과 성격 5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황과 성격 상호 작용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IAMONDS와 CAPTION 상황 분류 모델은 국내 문화권의 상황 분류에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DIAMONDS 모델에 비해 CAPTION 모델의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IAMONDS 모델의 경우 이미 범문화적으로 타당성이 확보된 성격 5요인을 표현하는 상황 특성을 측정하는 모델인 반면, CAPTION 모델은 미국 문화를 반영하는 영어 형용사에서 상황을 표현하는 형용사를 추출하여 개발된 모델이기 때문에 국내 연구에서의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도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모델의 절대적인 적합도 수치는 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치이기 때문에 두 모델의 문화적 타당성은 확보되었다. 이에 결과적으로 연구 설계 방법에 관계 없이 두 모델 모두 국내 문화에서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모델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타당성이 확보된 DIAMONDS와 CAPTION 상황 분류 모델을 하나의 모델로 통합하기 위해 두 모델에 포함되는 15개의 요인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7개의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영역과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도출된 7개의 영역이 어떠한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7개의 영역은 부정적이라고 판단되는 상황, 긍정적이라고 판단되는 상황, 업무와 관련된 상황의 3개 영역으로부터 파생된 영역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통합된 7개 상황 영역과 성격 5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서로 상관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 요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상관 수준이 높지 않아 상황 특성과 성격 5요인이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두 요인이 아님이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DIAMONDS와 CAPTION 상황 분류 모델 및 두 모델 요인들을 통합한 상황 분류 모델을 도출함으로써 상황 인식의 개인차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히 상황 인식의 개인차는 상담 및 임상 장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상담 장면에서는 개인이 경험하는 상황 영역에 대한 인식을 측정함으로써 상황 인식에 대한 개인의 고유한 프로파일을 도출해낼 수 있는데, 이는 상황 인식에 대한 자기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상 장면에서는 상황을 인식하는 방법에 따라 개인이 가진 부적응적 측면을 식별할 수 있고 상황 인식의 변화를 통해 치료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상황’이라는 변인 그 자체를 연구 문제로 설정한 최초의 연구로써 향후 국내 상황 분류 연구의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기존의 상황 분류 연구가 모두 미국과 유럽 문화권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동양 문화권의 독특한 상황 인식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문화를 반영한 상황 분류 모델 타당화 및 상황 분류의 통합 연구를 진행하여 서구 문화권의 연구 결과와 비교문화 연구가 가능한 결과를 도출했다. 셋째, 기존의 상황 분류 모델을 통합하여 개별 모델에 비해 포괄적인 상황을 분류해냈으며, 두 모델이 가지는 장점을 취합하고 한계점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넷째, 서로 다른 상황 분류 모델의 통합을 통해 유사한 상황을 지칭하지만 서로 다른 이름을 갖고 있던 요인들에 하나의 분류명을 부여하였고, 다른 상황을 지칭하지만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던 요인들을 분리시켜 각각의 분류명을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한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DIAMONDS와 CAPTION 모델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RSQ-8과 CAPTIONs-SF의 척도 타당화 이외의 방법으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해야 한다. 둘째, DIAMONDS와 CAPTION 모델의 개발 당시 한국 문화의 고유한 상황 인식을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DIAMONDS 및 CAPTION 모델의 개발 절차와 동일한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 문화를 반영한 새로운 상황 분류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모델의 통합에 그쳤으나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상황 분류 모델의 타당화와 통합을 실시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만 25-39세의 전문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표본을 통해 연구 결과를 반복 검증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통합적 상황 분류 모델을 활용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해당 모델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측정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