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Early School-Age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Marti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uthors
조다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운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령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 20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PSI-SF(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Abidin, 1995)를 토대로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한국형으로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부갈등은 Grych, Seid와 Fincham(1992)이 개발한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를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번안하여 한국판 부부갈등 척도(K-CPIC)로 수정하였고, 이를 도현심, 김민정, 김상원, 최미경과 김재희(2011)가 어머니용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가 개발한 학령초기 자녀를 둔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 긍정적 양육행동 측면인 ‘온정’과 ‘논리적 설명’ 요인만 채택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1997)가 개발한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를 박서정(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부갈등을 매개로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부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부갈등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통해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온정과 논리적 설명과 같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 수준이 낮았으며, 이는 학령초기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 수준의 감소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 수준의 증가로 이어졌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학령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부담감 및 어려움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가 배우자와의 원활한 관계를 저해하여 더 빈번하고 심한 강도의 부부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부부관계의 이러한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은 어머니가 자녀에게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덜 보이게 하며, 어머니에게 온정적이고 합리적인 양육을 덜 경험한 아동은 자신의 정서를 사회적 맥락에 따라 유연하고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이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이 각각 정서조절능력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양육행동을 통한 간접적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학령초기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바이다. 또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관련하여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부부관계 및 양육행동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봄으로써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부모관계 및 부모-자녀관계에 속한 요인들 간 관계성을 살펴보는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족 스트레스 및 가족 간 갈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 및 사회적 차원의 개입 방안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examining the direct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ts indirect effect via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early school-age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 total of 201 early school-aged children’s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SPSS 21.0 and AMOS 2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econd, maternal parenting stress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arital conflict. Maternal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marital conflict, but marital conflic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rd, maternal parenting str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Lastly, maternal parenting str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 sum, mothers who perceived higher level of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more marital conflict. Thi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of marital relations can be transferred to parent-child relationships, causing mothers to show les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o their children, and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less compassionate and rational parenting may have difficulty developing their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properly according to social context. In conclusion, although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the indirect effect through parenting behavior was significant. The resul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of early school-age children. Further, at a time when family stress and family conflict increase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ssential data needed to develop individual and social intervention measures to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that affect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