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6 Download: 0

부부갈등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부갈등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Marital Conflict Affects Father’s Parenting Behavior Impact :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Gatekeeping
Authors
안수빈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18~36개월)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인 문열기 역할 및 문닫기 역할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을 통해 아버지의 수용적 양육행동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걸음마기 자녀를 둔 아버지 35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부부갈등은 Markman, Stanley와 Blumberg(1998)이 개발한 부부갈등 척도를 정현숙(2004)의 연구에서 수정·번안한 8문항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Van Egeren(2000)이 개발한 PRI(Parental Regulation Inventory)를 Schoppe-Sullivan 등(2015)이 수정·보완한 것을 바탕으로 조윤진과 임인혜(2016)가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로 개발하고 타당화 검증을 거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양육행동은 Rohner(1987)가 개발한 수용-거부 양육행동 척도를 나은숙 등(2008)이 한국판 유아 부모용으로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산출하였으며,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버지가 인식한 부부갈등,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 및 문닫기 역할이 아버지의 수용적 양육행동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은 아버지의 수용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격려, 지지, 애정과 같은 수용적 양육행동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을 통해 아버지의 수용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경로도 유의하였다. 즉,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은 덜 인식하고 문닫기 역할은 더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아버지의 격려, 지지, 애정과 같은 수용적 양육행동은 감소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부부갈등은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적대와 공격, 무관심과 방임, 조건적 거부와 같은 거부적 양육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을 통해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경로에서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에 대한 인식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문닫기 역할에 대한 인식을 통한 경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문열기 역할은 덜 인식하고 문닫기 역할은 더 인식하게 되었으며, 문열기 역할에 대한 인식은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문닫기 역할에 대한 인식만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행동을 증가시켰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같은 연속체의 반대편이 아닌 문열기와 문닫기의 별도의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최근의 새로운 접근을 적용하였으며, 문열기와 문닫기를 함께 살펴보아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과 부정적 양육에 미치는 각각의 독립적인 효과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아버지 보고로 이루어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실제로 아버지가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인식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에 대한 비난과 거부와 같은 문닫기 역할은 지양하고, 격려하며 지지하는 문열기 역할을 더 많이 하도록 어머니들을 격려하여 바람직한 아버지 양육행동을 도울 수 있는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fathers with toddlers(18-36 months) on fathers' receptive or rejecting parenting behavior through the father's perception of the maternal gate opening and gate closing which are roles of maternal gatekeeping. In order to do so,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or 359 fathers with toddlers, and was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tools: Marital Conflict Scale(Jung, 2004; Markman, Stanley, & Bloomberg, 1998), Maternal Gatekeeping Scale(Cho & Lim, 2016; Schoppe-Sullivan et al., 2015; Egeren, 2000) and Parenting Behavior Scale for toddlers(PBS-T)(Na, 2008; Rohner, 1987).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correlation was foun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father's receptive parenting behavior. Second, the indirect path through which marital conflict affects receptive parenting behaviors such as encouragement, support, and affection of the father through the father's perception of the roles of maternal gatekeeping was also significant. Third, marital conflict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father's rejecting parenting behavior. Fourth, in the indirect path through which marital conflict affects the father's rejecting parenting behavior, the father's perception of the maternal gatekeeping role, the path through the perception on maternal gatekeeping role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The path through maternal gate closing was only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lied a recent new approach that the role of maternal gatekeeping consists of a separate dimension of maternal gate opening and gate closing, not the opposite side of the same continuum.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found an independent effect on father'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possible to see how the father actually perceived the role of maternal gatekeeping according to a father's report and to find out how this perception affects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arental education to encourage mothers to avoid, encourage, and support the role of gate closing such as criticism and rejection on father’s parenting, and to help desirable parenting behavior of fa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