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8 Download: 0

성격 특성과 노인 인지기능 간의 관계

Title
성격 특성과 노인 인지기능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Cognitive Aging : The Effect of Neurobiological·Cognitive·Affective Variables
Authors
황민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노화군 노인을 대상으로 성격 특성과 노인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이와 관련된 신경생물학적·인지적·정서적 변인의 영향을 함께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55세~90세의 정상 노화 과정에 있는 노인 총 1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신경생물학적 및 인지적 변인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성격 특성 중 경험 개방성과 정서적 민감성 요인을 중심으로, 이 변수들과 인지기능 간의 관계에서 각각 신경생물학적·인지적 적응유연성으로서의 두뇌 및 인지 보유고의 매개효과를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성격 특성과 노인 인지기능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변인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정서적 민감성의 성격적 취약성이 우울감 및 상태불안감의 현 정서적 취약성을 통해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경로모형을 검증하였고, 이 경로에서 보호요인으로서 심리적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다집단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의 결과, 경험 개방성이 두뇌 및 인지 보유고를 부분 매개로, 정서적 민감성이 두뇌 및 인지 보유고를 완전 매개로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설정한 연구모형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최종 선택된 경로모형의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경험 개방성의 성격 요인에서 두뇌 및 인지 보유고로 가는 경로계수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또한 두뇌 및 인지 보유고에서 인지기능으로 가는 경로계수도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경험 개방성 요인이 인지기능에 주는 직접적인 영향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두뇌 및 인지 보유고의 완전매개효과가 관찰되었다. 한편, 정서적 민감성의 성격 요인의 경우, 두뇌 및 인지 보유고로 가는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 연구 2의 결과, 성격 특성 중 정서적 민감성 요인과 노인 인지기능 간의 관계에서 현재 경험하는 우울감 및 상태불안감의 매개효과가 설정된 경로모형 검증에서, 정서적 민감성에서 우울감 및 상태불안감으로 가는 경로의 정적인 회귀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감에서 인지기능으로의 부적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즉, 정서적 민감성에서 우울감을 매개로 인지기능으로 가는 경로의 뚜렷한 매개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그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심리적 적응유연성의 상·하 집단 간에는 상이한 양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고,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한 후, 다집단분석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정서적 민감성의 성격 요인이 상태불안으로 가는 경로만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변인 중에는 연령만이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적응유연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정서적 민감성의 성격적 취약성이 우울감 및 상태불안감의 현 부적 정서 경험 수준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우울감이 인지기능에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감의 완전매개효과가 관찰되었다. 반면, 연령이 인지기능에 주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는 연령에서 인지기능으로 가는 회귀계수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은 연령의 영향, 즉 인지 노화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 반면, 적응유연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성격적 취약성이 현재의 정서적 취약성인 우울감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인지기능에 부적인 영향을 주면서, 인지 노화의 영향이 불명확해졌다고 할 수 있겠다. 종합하면, 성인기 이후 비교적 안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양상으로, 누적된 영향을 주게 되는 경험 개방성 및 정서적 민감성의 성격 요인과 인간 적응의 최종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노인 인지기능 간의 관계에서, 신경생물학적·인지적·심리적 적응유연성의 강화를 통해 전반적인 노인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향후 노인 인지기능에 대한 예방적 개입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요어: 인지 노화, 성격, 경험 개방성, 정서적 민감성, 두뇌 보유고, 인지 보유고, 우울감, 상태불안감, 적응유연성;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with exploring the effect of neurobiological·cognitive·affective variables. The subjects were total 124 older adults, aged 55 to 90, in the process of normal aging. In study 1, focusing 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neuroticism among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 mediating effect of brain and cognitive reserve as neurobiological and cognitive resilience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ersonality traits and cognition of older adults by comparing research path model and alternative path model. In study 2, the effect of affective variables were explored. Focusing mainly on personality trait of neuroticism as vulnerability in personality,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mood and state anxiety as affective vulnerability between neuroticism and cognitive functioning was investigated through path model analysis. Also,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resilience in this path model was examined by multiple-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study 1, research model was selected, and path coefficients in this finally chosen model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brain and cognitive reser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Path coefficients from neuroticism to brain and cognitive reserv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tudy 2, firstl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mood and state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cognition of older adults was investigated through path model analysis. The result did not showed a definit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mood, but the possibility of this effect was suggested. Therefore, it is hypothesized that high and low groups of psychological resilience would show different patterns in this path model. Next, This hypothesis is examined by t-test and muptiple-group analysis. The results showed in high-resilience group, path coefficient from neuroticism to state anxiety was negatively significant. Also, concerning variables which have direct effect on cognition, only negative effect of chronological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low-resilience group, the paths from neuroticism to both depressive mood and state anxie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f depressive mood on cognition of older adults was also significant. Thus,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mood was found. The effect of age on cognition, meanwhi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ow-resilience group.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at the path coefficient from age to cognition. In other words, in the high-resilience group, the effect of age, that is the effect of cognitive aging was high and significant. However, in low-resilience group, vulnerability in personality gives negative effect on cognition through current affective vulnerability, and the effect of cognitive aging was blurred. In sum, it is known that openness to experience and neuroticism forms relatively stable cognitive and affective style throughout adulthood, and gives cumulative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which is a final product of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promoting neurobiological·cognitive·psychological resilience has positive effect on global cognitive functioning in personality-cognition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e need for long-term and preventive intervention. Key words: cognitive aging, personality, openness to experience, neuroticism, brain reserve, cognitive reserve, depressive mood, state anxiety, resil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