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바이오 레더의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한 비건 패션디자인 연구

Title
바이오 레더의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한 비건 패션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egan Fashion Design Using Abstract Expression of Bio-Leather : centered on material development
Authors
김남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동물성 천연가죽은 오랜 기간 인류사와 함께 지속하여 온 최초의 패션 소재이며, 여전히 고급소재라는 인식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섬유⦁패션산업을 위한 공장식 사육, 무분별한 도살 및 가학행위, 독성 화학물질 남용, 생산 및 유통과정의 윤리성 결여 문제는 동물과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삶까지 위협하기에 이르고 있다. 비건 패션은 동물보호뿐 아니라 지구생태계와의 공존을 고려하는 윤리적 가치에 기저를 두고 있으며 동물성 소재가 갖는 광범위한 문제들에 대한 자각을 토대로 새롭고 무해한 생산절차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등장한 바이오 소재는 생물학적 영감을 원천으로 한 원재료 사용과 제조방식을 기초로 하기에 더욱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비건 패션과 마찬가지로 동물 및 환경친화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점에 공통분모를 지니며, 혁신적 물질 체계에 따른 진보된 소재라는 개념 하에 차세대 섬유⦁패션산업의 핵심 분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힘입어 다분야에 걸쳐 바이오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해당 논제와 관련하여 국내 디자인 분야 연구와 달리 해외 연구사례는 바이오 물질생성 및 응용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대부분 아직 프로토타입 단계에 그치고 있으나 잔인함 없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혁신적 소재 패션을 필요로하는 현시점, 새로운 시도를 위한 시발점으로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동물, 인간 그리고 환경을 상생의 존재로서 배려하는 비건 패션의 윤리적 가치와 더불어 바이오 레더라는 물질로부터 특성을 수용함에 따라 발현된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하여 심미성이 표현된 새로운 형태의 가죽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패션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다양성과 창의성을 포괄하는 비건 패션디자인으로의 구현 가능성을 살펴보고 후속연구의 실용화 시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소재개발 및 디자인 전개의 내용으로 구성된 실증적 작품 연구로 이어진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바이오 레더와 비건 패션의 개념 및 배경, 생산원리를 이해하였고, 바이오 레더의 물성으로부터 표출되는 추상적 형상을 응용, 표현하고자 함에 이와 관련된 미술, 패션 분야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전실험을 통해 물성과 표현기법을 탐구함으로써 추상적 표현성이 응용된 소재개발 및 디자인 전개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가변적 특성과 우연성을 내재한 소재이므로 의상제작에 있어 오류 발생이 잦고, 결과물 예측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CLO 3D로 시뮬레이션해본 후 실물제작을 시도한 결과, 소재 10점과 이를 활용한 6착장의 의상작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요약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이오 레더는 최근, 언급되기 시작한 아직 정의되지 않은 개념이며 생물학적 영감을 원천으로 한 가죽의 의미를 지니므로 동물 성분까지도 포괄하는 넓은 범주를 허용한다. 그러나 본 연구와 같이 비건 패션의 관점에 입각한 경우 윤리적으로 획득된 일부 소재만을 허용함으로써 동물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건 패션은 동물성 패션산업으로부터 야기된 각종 문제들을 개선하고자 시작되었으나 상관관계로서 인권과 환경침해 문제까지도 고려하는 책임감 있는 윤리적 패션 경향으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영향으로 생태계에 해롭지 않은 무독성 바이오 레더 혹은 신소재 개발이 권장됨을 인식하였고, 소재개발 및 디자인 전개를 통해 탐구, 구현해봄으로써 비건 패션을 위한 바이오 레더의 윤리적 가치와 필요성, 그리고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바이오 레더는 원재료의 수용 범위가 넓고, 각기 다른 물성으로부터 대상별 생산원리와 방법 적용이 요구되므로 소재화 가능 여부 사전실험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에 적합한 원재료로 우뭇가사리 배합물과 콤부차 스코비를 선정, 연구함으로써 본 연구만의 방법적 기초지식 습득에 의한 소재화 전개 및 표현방법을 구축할 수 있었다. 넷째, 비건 패션디자인을 위한 바이오 레더의 현황과 유형을 통해 새로운 재료 및 기술시도로 다각적 패션 세계가 구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유형은 잉여물 기반 생성형과 미생물 및 세포 기반 생장형 레더를 주축으로 구분되며, 원재료 종류에 따라 더욱 세분화됨을 이해하였다. 다섯째, 바이오 레더의 특성 중, 생분해성과 재활용성은 환경친화적 측면에서 안전성을 부여함에 의미가 있는 반면 흡습성은 레더 물질의 내구성 및 견고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발전적 개선을 위해 반드시 인지해야 할 중요한 특성이었다. 한편 전환성과 표현성은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결과로 이끌어내는 계기를 마련함에 의미가 있으며, 디자인 발상 및 전개를 위한 핵심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자유분방하고 창의적인 소재표현 및 디자인 구현이라는 본 연구의 지향점은 추상미술의 비구상성, 비정형성의 조형적 특징과 유사성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우연에 의한 형상, 즉흥적 감정분출의 표현을 골자로 하는 추상표현주의의 기법들이 원재료의 물성과 필자의 의도를 고려할 때 표현방법으로서 적절하였다. 바이오 레더의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한 소재를 비건 패션디자인에 적용하여 구현한 실증적 작품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알개와 스코비 레더는 자연 발생적 작용에 의해 색채, 무늬, 형태 등 조형적 측면에 의도치 않은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수는 연구 과정의 어려움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오히려 심미성을 부여하여 추상적 표현방법으로 유용하게 전환함으로써 독창성과 다양성이 충족된 새로운 형태의 표현물로 제안할 수 있었다. 둘째, 습도, 온도 등 적절한 환경 유지는 성공적인 레더 생성 및 생장 그리고 이후 상태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생산과정의 환경은 레더의 두께, 견고성, 유연성 등 물질형성에 관한 기능적 측면에 영향을 미쳤고, 이후 건조단계에서의 환경 유지는 색채, 무늬, 형태 등 조형적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바이오 레더의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맞춤형 생산이 가능함을 짐작할 수 있었다. 셋째, 알개와 스코비 레더의 흡습성은 끈적임을 유발하여 밀착하는 성질을 지니므로 단일 소재로의 사용보다 바탕소재에 이중구성함이 안정적 소재화를 위해 도움이 되었다. 또한, 손쉬운 접착으로 봉제 없이 형태를 보완, 확장할 수 있음은 기능적, 조형적 표현방법으로 유용하였고, 특히 투명한 물성의 중첩은 심미성을 부여하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넷째, 스코비 레더는 자연 발생적으로 추상성을 표출해내는 반면, 알개 레더는 물질이 지닌 표현의 용이성 그리고 연구자의 의도와 행위를 개입시킴으로써 추상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함은 추상표현주의의 표현성 및 기법을 표현방법으로 적용함에 따라 심미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창의성과 다양성이 충족된 표현물을 도출할 수 있었다. 바이오 레더의 추상적 표현성을 응용하여 소재개발 및 비건 패션디자인으로의 구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본 연구는, 윤리적 의의를 지님과 더불어 광범위한 재료사용 및 추상적 표현성으로부터 창조적 가능성과 잠재력을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미래 패션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연구로서 저변 확대의 초석을 마련함에 가치를 둔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지속적인 연구 및 타 영역과의 융복합적 협업, 개발을 수행한다면 현 단계에서 미흡했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여 관련 영역의 학문적, 실용적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As the first fashion material that has co-existed with the human history for a long time, natural animal leather is still being widely used with the perception as the high quality material. However, problems of CAFO, reckless slaughter/mistreatment, abuse of toxic chemicals and lack of ethics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or modern textile⦁fashion industries have enormous effects on animals and environments, even threatening a human life. Vegan fashion is based on ethical values considering the co-existence with ecosystem of the earth in addition to animal protection and it is demanding new and harmless production procedures under the awareness of a wide range of issues on animal materials. Hence, biomaterials are regarded as safer ones since they are based on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sourced from the biological inspiration. They have a common denominator with vegan fashion in that they lay stress on animals and eco-friendly values, rising as the core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textile⦁fashion industries under a concept of the advanc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innovative material system. Fueled by the situation above, as for bio, convergence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in many fields. In particular, unlike domestic design research in regard to this topic above, overseas research cases are constantly increasing based on biomaterial production and application. Most of them are still in the prototype stage, however, at this time when we need safe, sustainable and innovative materials without cruelty, they function as a driving force to make a new attempt. Therefore, along with ethical values of vegan fashion considering animal, human and environment as the beings coexistent with each oth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type of aesthetic leather by applying abstract expression which manifests in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io-leather. With the application of it to fashion design, the research examines its feasibility into vegan fashion design that covers diversity and creativity and as the basic research it intends to contribute to its practical use in follow-up stud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both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work, composed of material development and design, were conduc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backgrounds and production principles of bio-leather and vegan fashion through the theoretical research, the study investigated related cases in art and fashion fields to apply and express abstract form represented from physical properties of bio-leather. In addition, by exploring physical properties and expressive techniques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study prepared a foundation for material development and design applying abstract express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frequent errors in making clothes and difficulty in predicting a result since the material has variable and accidental properties, real garments were produced after simulation with CLO 3D. As a result, the study proposed 10 materials and 6 costumes. The summaries an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still undefined concept which began to be mentioned recently, bio-leather has the meaning of leather sourced from biological inspiration so it allows a wide range of categories even including animal components. However, as shown in this research, from a perspective of vegan fashion it is reasonable to minimize animal components by approving some materials only acquired ethically. Second, it was found that vegan fashion begun to improve various issues from the animal fashion industry was expanded to responsible and ethical fashion even considering issues of human rights and damages to the environments as a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recommended to develop nontoxic bio-leather or an advanced material which is not harmful to the ecosystem. Also, by exploring and implementing material and design developmen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ethical values, needs and directions of bio-leather for vegan fashion. Third, since bio-leather can cover a wide range of raw materials and it is required to apply production principles and modes by object owing to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preliminary experiments are essential about whether materializ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tudy selected and researched an agar compound and Kombucha scoby as appropriate raw materials so could implement materialization and establish expressive methods by acquiring basic methodological knowledge unique to this study. Fourth, present situations and types of bio-leather for vegan fashion design show that multilateral fashion world is being constructed with attempts at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Its types mainly may be divided into leather of surplus-based generation type and microbe/cell-based growth type and be subdivided according to kinds of raw materials. Fifth, as for properties of bio-leather, it reveals that while biodegradability and recyclabilit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llow safety in terms of eco-friendliness, hygroscopicity is the important property to be recognized for improvement though it requires attention since it affects the durability and solidity of a leather material. On the other hand, transformation and expression are meaningful in giving an opportunity for various creative results through experimental attempts, showing that they are key elements for design conception and development. Sixth, the aim pursued in this study, expression and implementation of unconstrained and creative materials and designs, was similar to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art, that is, non-figurative and non-stereotyp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techniques of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mainly focus on a figure by chance and an outburst of impulsive feelings were adequate as expressive techniques consider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and intention of the author. The empirical works were made by applying the bio-leather material with abstract expression to vegan fashion design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lgae and scoby leather caused an unintended change in formative aspects including color, pattern and shape by spontaneous action. Such a variable may be regarded as a difficulty in the research but by useful transition into abstract expression with aesthetics it was possible to propose the new expression satisfactory in originality and diversity. Second, maintaining proper environments including humidity and temperature affected successful generation, growth and then state of leather. Particularly, production environments had an effect on the functional aspects like thickness, solidity and flexibility of leather and environments in a drying step had an effect on the formative aspects like color, pattern and shape. Hence, customized production seemed to be possible by controlling conditions of bio-leather. Third, hygroscopicity of algae and scoby leather causes stickiness and adhesion. Therefore, rather than using it as a singe material, double composition on a ground was helpful for stable materialization. Furthermore, complement and extension of a shape via easy adhesion, without sewing, were useful as a functional and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In particular, overlap of transparent physical properties was very effective in providing aesthetics. Fourth, while scoby leather expressed abstractness spontaneously, for algae leather, it was possible by intervention of researcher's intention and action along with easiness of expression that material itself had. Aesthetic visualization could be achieved by applying abstract expressions and techniques of abstract expressionism so objects of a variety of creative expressions could be derived.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a material applying abstract expression of bio-leather and examine whether it could be implemented to vegan fashion design. It has ethical significance and accepts the creativ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from a wide range of materials and abstract expressions. Besides, it places a high value on laying a cornerstone for expanding the base as the basic research to seek for a direction of the future fashion. Accordingly, through the continual research and convergent collaboration/development with other domai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present technical limitations and contribute to academic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the related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