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임신부의 치주질환 관련요인과 치주 병인 균 상관분석

Title
임신부의 치주질환 관련요인과 치주 병인 균 상관분석
Other Titles
Correlation analysis of periodontal disease-related factors and periodontal pathogens in pregnant women
Authors
하은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형인
Abstract
본 연구는 임신 성 치주질환과 관련된 병원성 미생물을 파악하고 치주질환관련요인에 따른 치주 병인 균을 상관 분석하여 개인 상태에 맞는 치료전략과 계획을 세워 좀 더 건강하게 치주질환을 관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당보건소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건강한 20~40대의 임신부 49명, 일반여성 45명을 모집하여 타액을 채취한 후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검사기법으로 치주질환 관련 병원성 미생물의 종과 양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구강관리 행태를 조사하고, 연구대상자의 치주평가 지수를 조사하여 11종 병원성 미생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통계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행태와 병원성미생물 그룹의 관련성은 칫솔질 횟수 ‘3회이상’ 일 때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A. actinomycetemcomitans)그룹의‘주의’지수가 적게 나타났다(p<0.05). 2. 칫솔질횟수가 ‘2회이하’일 때 A. actinomycetemcomitans 그룹의 고농도 수치는 3.5배 높았으며, ‘3회이상’일 때 A. actinomycetemcomitans는 낮게 나타났다(p<0.05). 3.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와 Eubacterium nodatum (E. nodatum)은 스켈링한지 ‘1년이내’라고 응답한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 일반인과 임신부 두 그룹의 치주평가 지수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bleeding on probing(BOP)의 평균이 임신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인과 임신부의 BOP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5. 일반여성과 임신부의 병원성미생물 정량비교에서 두 집단 모두 Prevotella intermedia(P. intermedia)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병원성미생물을 그룹 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구강미생물위험 ‘주의’ 수준은 임신부그룹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6. 치주평가 지수와 병원성미생물의 상관분석은 임신부는 BOP지수가 높을 때 probing pocket depth(PPD)지수도 높게 나왔으며, 일반여성은 PPD지수가 높을 때 A. actinomycetemcomitans의 검출 량이 높게 나왔다. 또한 P. gingivalis와 P. intermedia는 같이 검출되며, Red complex와 Orange complex는 상호관계가 있었다(p<0.05). 7. 임신 주수에 따른 병원성미생물의 차이로는 Parvimonas micra(P. micra)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신 주수에 따른 BOP평균은 임신 2기와 3기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8. BOP평균이 1증가할 때 Red complex의 항생제처방 초과 기준은 8.7배 높았으며, 구강미생물위험지수는10.669배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구강보건행태와 출혈지수는 치주질환 관련 병원성미생물 검출에 영향을 주었으며 임신 주수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예방적인 측면에서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계획을 세워 효율적인 치료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periodontal pathogens analyze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oral hygiene behaviors, bleeding on probing (BOP), probing pocket depth (PPD),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CAL) during pregnancy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o attended the programs of Pregnancy 49 and Non-Pregnancy 45 (age 20 y–40 y) were recruited from Bundang-Gu Health Center, Seongnam, Korea an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eoul, Korea. A questionnaire survey was also performed to examine subjective oral hygiene behaviors. A periodontal exam was performed using the Ramfjord index (#16, #21, #24, #36, #41, #44) and clinical examination involved analysis of BOP, PPD,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The periodontal pathogen levels in saliva were detected by real-time PCR at the same points in tim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Aa: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red complex: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orange complex: Prevotella intermedia, Fusobacterium nucleatum, Poliana micra, Campylobacter rectus, Prevotella nigrescens, Eubacterium nodatum; green complex: Eikenella corrodens. Results: When the subjects brushed their teeth 3 times or more per day, only low levels of A. actinomycetemcomitans were detected; when the subjects brushed their teeth twice or less per day, the likelihood of detecting A. actinomycetemcomitans increased 3.5 fold. In the group that underwent tooth scaling within the last year, high levels of P. gingivalis and E. nodatum were detect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BOP was high in pregnant wome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trimesters. When there was bleeding, the likelihood of detecting high concentrations of red complex pathogens increased 8.7 fold, and the oral pathogen index increased 10.669 fold. The PPD was high in pregnant women when their BOP was high, and red complex and orange complex pathogens correlated with BOP. Conclusion: Gingival bleeding increased during pregnancy. Periodontal pathogen levels affect oral hygiene behaviors and BOP. Oral health behaviors and BOP affect periodontal disease-rela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For healthy pregnancy and delivery, proper periodontal care during pregnancy is essenti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