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17세기 무반(武班)의 일기 소재 시조 작품 연구

Title
17세기 무반(武班)의 일기 소재 시조 작품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Sijo based on diaries written by 17thcenturyMubanauthors : Focusingon “Bubukilgi”and“Songgyejaprok”
Authors
최지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승우
Abstract
본 연구는 17세기 무반(武班)의 일기 자료인 『부북일기(赴北日記)』와 『송계잡록(松溪雜錄)』 소재(所在) 시조 작품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특성 및 의미를 검토하고 그 시조사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세기는 이전 시기에 비해 시조 작가층의 영역이 확장되고 일상의 체험과 정서를 작품에 표현하는 경향이 드러나는 등 여러 변화를 맞이하는 전환기의 성격을 가진다. 본 연구의 논의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개별 무반 작가들의 작품과 작가적 위상을 확인함으로써 17세기 시조사의 맥락을 더욱 면밀하게 읽어내고자 한 것이다. 『부북일기』는 경상도 울산 출신인 박계숙과 박취문 부자(父子)가 각각 무과(武科)에 급제한 뒤 함경도 회령에서 부방(赴防)의 임무를 맡았던 경험을 일기로 기록한 자료이다. 이들의 일기에는 부방군(赴防軍)의 험난하고 고단한 여정(旅程)이 잘 드러나 있다. 출발지인 울산에서 목적지인 회령까지는 거리도 멀고 길도 험난하여 굶주림과 추위에 시달리는 일이 많았고, 공적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여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무반에 대한 차별적 인식으로 인해 여러 곳의 역참(驛站)과 고을에서 마땅히 받아야 할 대접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 회령에 도착해서는 그곳의 토착 무관이나 상관들과 의견 차이를 보이는 등 여러 갈등을 겪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들은 교유 인물들과 활쏘기를 하거나 기녀와 함께 하는 연회 자리를 통해 삶의 긴장을 풀었는데, 특히 이러한 교유 활동은 이들이 시조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졌다. 『송계잡록(松溪雜錄)』은 강원도 평해 출신인 무반 박응성이 3년여 간의 일상의 기록과 자신이 창작한 한시, 시조, 가사 등의 작품을 기록해 놓은 자료이다. 이 일기에는 입신양명(立身揚名)하지 못하고 가난에 시달리며 한미한 양반으로 살아야 했던 박응성의 삶이 잘 드러나 있다. 그는 이러한 처지에서도 현실에 매몰되지 않고 천성을 닦으며 양반으로서 소신을 가지고 삶을 긍정적으로 살고자 노력했다. 또한 궁핍한 현실을 이겨내고자 손수 농사일을 관장하며 농사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했는데, 이러한 관심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지역적인 것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한평생 자신의 고향인 평해를 벗어나지 않았던 박응성은 향교를 중심으로 지역의 인물들과 친교 활동을 통해 삶의 의미를 확인했는데, 이러한 교유 활동은 박응성이 시조를 짓거나 즐기는 주요 수단이었다. 『부북일기』와 『송계잡록』 소재 한시 작품들은 일기 기록과 함께 시조 작품 분석의 토대를 마련해주었다. 이들의 시조 작품이 가지는 문학적 특질과 의의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기를 통해 작가의 삶을 알아보는 것뿐만 아니라 이들이 창작한 한시 작품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작가의 문학적 소양과 내면 지향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부북일기』 소재 한시 작품 중 박계숙의 한시에는 부방 여정 중에 느꼈던 고단함이나 막막함, 동료 군관들과 이별해야 하는 상황에서 느끼는 슬픔 등 진솔한 정서들이 잘 표현되어 있다. 박취문은 일기를 통해 여러 차례 향수(鄕愁)로 인한 슬픔을 기록해놓기도 했는데, 이는 그의 한시가 주로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주제로 지어졌다는 점을 통해서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송계잡록』 소재 한시에서는 박응성의 자기 삶의 술회(述懷)나 교유 인물들과의 풍류, 삶의 공간에 대한 애정과 자족적(自足的) 태도 등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박응성은 한미한 자신의 처지로 인해 자탄(自嘆)의 정서가 짙게 드러나는 한시를 짓기도 했고, 교유 인물들과 모임의 자리에서 남긴 여러 편의 차운시(次韻詩)를 통해 풍류의 현장을 표현해내기도 했다. 또한, 자신이 거주했던 평해 지역의 정자나 소나무, 지역 백성들의 삶이나 자신이 거처했던 공간을 소재(素材)로 지역 공간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한시로 형상화하기도 했다. 『부북일기』에는 박계숙의 시조 작품 6수와 박취문의 시조 작품 2수가 실려 있다. 이들의 작품에는 추위와 굶주림 등 변방의 무관이 겪어야 했던 힘든 부방(赴防) 여정(旅程)과 유교 이념을 통해 그러한 현실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자 했던 모습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또한 아들 박취문은 아버지 박계숙의 시조를 답습하되 일부 표현을 구체적인 지명으로 바꾸어 아버지의 시조에 대한 애착과 존경의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박계숙이 기녀 금춘과 주고받았던 시조에서는 박계숙의 구애(求愛)와 금춘의 거절로 이어지는 표면적 내용이 사실상 결연(結緣)의 관계적 긴장을 돋우기 위한 유희(遊戲)였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금춘이 가창한 시조는 영흥 지역의 이름난 기녀 소춘풍의 작품을 레퍼토리화해서 부른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송계잡록』에는 <송계곡> 27수를 포함하여 총 28수의 시조 작품이 실려 있다. 박응성은 <송계곡>을 총 9개의 편제(篇題)로 나누어 실어놓았는데, 이는 그 주제 의식에 따라 빈곤과 궁핍을 감내하는 생활상의 표현, 향반(鄕班)으로서의 자기 인식과 유교적 삶에 대한 자기 당부, 평해 지역의 자연에 대한 애착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송계곡> 편제 5)에는 그의 가난한 삶의 모습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내면 지향이 표현되어 있었고, 편제1)과 4)에는 불우한 자신의 처지와 그 속에서도 잃지 않았던 양반으로서의 내면 지향이 드러나 있었다. 편제 2)에서는 세속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하는 소신과 스스로에 대한 당부를 살펴볼 수 있었고, 편제 3)에서는 수신(守身)의 의지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편제 6)에는 가난한 백성의 삶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박응성의 공적(公的) 목소리가 나타났다. 편제 7)~9)에는 평해의 아름다운 자연에 대한 애착이 드러났고, 편제 8) <월만정>에는 정자인 월만정과 그 주변 경치에 대한 만족감이, 편제 9) <사시경>에는 사계절에 따라 펼쳐지는 평해의 아름다운 자연에 대한 자부심이 나타났으며, 편제 7) <한중오련곡>에서는 소박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삶의 지향이 표현되어 있었다. 『부북일기』의 박계숙이 기녀 금춘과 주고받았던 시조의 사례에서나 『송계잡록』 의 박응성이 친척 박륵의 객사(客舍)에서 화분을 구경하고 그 감흥을 시조로 지었던 사례를 통해서 일기 소재 시조 작품의 일상성과 현장성을 고찰해볼 수 있었다. 또 이들 작품은 모두 지역 안에서 산출(産出)된 작품이기 때문에 지역 문학적 성격이 반영되어 있을 수밖에 없었다. 『부북일기』 소재 시조 작품에는 관북 지역의 문학적 특성과 함께 부방 여정 중에 작품을 창작하는 체류자의 시선이 드러났다. 『송계잡록』에서는 지역에 대한 애착이나 관심이 드러나는 표현을 통해 정주민(定住民)으로서의 지역 문학적 성격이 나타났다. 이러한 일상성과 현장성, 지역 문학적 특성을 토대로 『부북일기』와 『송계잡록』 소재 시조 작품들이 기존 무반 시조에서 표현하던 주제에서 나아가 일상의 다양한 체험과 정서를 표현한다는 점을 고찰하였고, 이를 통해 17세기 무반 시조 작가의 역할과 위상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ew the styl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sijos in the diaries of 17th century Muban(military class) authors such as “Bubukilgi” and “Songgyejaprok” and then to understand their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sijo. The 17thcenturyhasfeaturesoftransition compared to previous periods in that, during that period, the scope of sijo authors had expanded and the daily experience and emotion started to be expressed in the works, thus being the period of change in the history of sijo.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is to closely understand the context of 17thcenturysijohistorybyidentifying the literary works made by individual Muban authors and their literary positions from a historical viewpoint. “Bubukilgi” is the data recorded in the form of diaries. It was made by Park Gye-Suk from Ulsan, Gyeongsang-do and his son Park Chui-Mun, both of whom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worked at a frontier military garrison in Hoiryeong, Hamgyeong-do. This book contains the difficult and hard lives of authors who served the military as garrison soliders. As the starting area of Ulsan was far from Hoiryeong, where the garrison was located and it was hard to travel due to the long distance and rough road conditions, they often suffered from hunger and cold. Though their travel was made to complete the official mission, they were mistreated at the stations and villages due to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military class during those days. Once they arrived at Hoiryeong, they experience various conflicts with the local military personnel and bosses in terms of opinions and others. Under these situations, they had to release their stress through archery games with social friends and having banquets with gisaengs. Such social life during this time became an important background for writing and enjoying sijo. “Songgyejaprok” is a book recording the daily life of Park Eung-Seong, a military class from Pyeonghae, Gangwon-do for 3 years and his literary works such as Hansi, Sijo and Gasa. In this diary, he described in detail his destitute life of not being able to become a big success but having to suffer from poverty and having to live as a poor Yangban. Despite such difficult situation, he did not collapse under the cruel reality but tried to keep this good personality and live a positive life as a Yangban.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reality of poverty, he had to take charge of agricultural work on his own and became interested in agriculture. His interest in agriculture went beyond personal level and was expanded to a regional level. Though Park Eung-Seong never left his hometown Pyeonghae, h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social activities with local people, which were the main means for his writing and enjoying of Sijo. Hansis contained in “Bubukilgi” and “Songgyejaprok”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analysis of sijo along with diary records.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se sijos,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overall not only the life of authors but also the author’s literary features and internal orientation through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sijos they created. In Hansis created by Park Gye-Suk, which were contained in “Bubukilgi”, the true emotions are well expressed such as tiredness, and desolation which he felt during his tour of duty at the frontier garrison and the sorrow which he felt when he had to part with his colleagues. Park Chui-Mun also wrote several times his homesickness in his diary. That shows that his hansis were written based on his longing for his family and hometown. In the “Songgyejaprok”’s hansis created by Park Eung-Seong, we are able to see the description of his life, his social life with the local people, his love for the life space and self-satisfactory attitude. Park Eung-Seong used to write the hansis which well expressed his poor life due to his destitute position. He sometimes expressed in his several Chaunsis the joy in the scene of social life with the local people. In addition, he expressed his love and interests in local space in his hansi, based on the pavilion, pine trees in Pyeonghae, and life of the local people as well as the space where he resided. In “Bubukilgi” there are 6 sijos created by Park Gye-Suk and 2 sijos by Park Chui-Mun. Their works show the hardships in which they had to suffer from cold and hunger as military soldiers during their tour of duty at the frontier garrison as well as their positive perspective with which they tried to look at the reality through Confucianism.. In addition, Park Chui-Mun, son of Par Gye-Suk, followed the styles of the sijo created by his father. He showed love and respect towards his father’s sijo by merely changing some names of regions to the specific names of the geographic area. In particular, it was found in his sijo which he exchanged with Geumchun, or his gisaeng, that the sijo was just game to enhance the relational tension, with his expressions of trying to win her love and her rejection of that. In addition, the sijos sung by Geumchun has implications as they represented the works of the famous gisaeng So Chun-Pung in Yeongheung. There are 28 sijos including 27 sijos in“Songgyejaprok”. Park Eung-Seong divided the Songgyegok into 9 sections according to the topics such as his suffering from poverty, his self-recognition as hyangban, and his love towards the nature of the Pyeonghae area. Section 5 of Songgyegok expresses his life of poverty and his internal orientation to endure it while Section 1 and Section 4 describes his poor situation and his internal orientation towards keeping his belief without being swayed by the mundane world. In Section 2, we are able to examine his opinion of not being swayed by people and his advice towards himself and Section 3 shows his willingness toward self-study. Section 6 shows his official voice as he had to pay attention to the life of the poor. Sections 7, 8 and 9 show his love towards the beautiful nature of Pyeonghae with Section 8 describing his satisfaction with the pavilion Wolmanjeong and the nearby landscape, Section 9 describing his love of the beautiful nature of Pyeonghae throughout the four seasons and Section 7 showing this personality trying to pursue a simple life. The dailiness and practicability could be found in the case when Park Gye-Suk exchanged the sijo with gisaeng Geumchun as expressed in “Bubukilgi” and the case when Park Eung-Seong watched the flower vase in the house of Park Reuk, his relative and wrote the emotion in his sijo. In addition, these works reflect local literary features as they were all created in the local area. In the sijos of “Bubukilgi”, the view of visitors could be found as they created the works during the travel to the frontier garrison along with the literary features of the Gwangbuk area. In “Songgyejaprok”, there are descriptions of local literary features as a local resident through the expressions showing love and interest in local area. Based on these dailiness, practicality and local literary features, it was found that the sijos in “Bubukilgi” and “Songgyejaprok” handled not only the topics on which the Muban sijo expressed but also handled various experiences and emotions of daily life, thus confirming the critical role and positon of 17th century Muban sijo auth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