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雪蕉 李鍾禹(1899-1981)의 作品世界 硏究

Title
雪蕉 李鍾禹(1899-1981)의 作品世界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orks of Seolcho Lee Chong-Woo(1899-1981)
Authors
황유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근대기를 통과하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 활동을 전개한 서양화가 雪蕉 李鍾禹(1899-1981)의 작품세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의 미술사적 위치와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유력가문에서 성장한 이종우는 조선에 도입된 근대제도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미술 즉 서양화를 학습하였다. 이후 그는 일본의 교육기관에서 본격적으로 유화를 배웠고 프랑스의 연구소와 아틀리에의 경험을 통해 화풍을 성립하고자 했다. 귀국 후 이종우는 교육 활동을 병행하며 유화 이외의 매체도 제작하면서 문화계와 풍성한 교류를 맺었고, 다양한 단체와 전람회의 참여를 통해 작품활동을 지속하며 자신의 양식을 구축해나갔다. 해방 이후에는 재편된 미술계의 제도권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고 전문화된 미술교육에 일조했다. 아울러 굵직한 미술 단체를 이끌면서 생을 마감하기 직전까지 한국 서양화단의 확대와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그동안 학계에서 이종우는 초기 유학 경험을 통해 서양화를 연구하고 지도한 선구자이자 교육자로서의 역할이 주로 강조되어왔다. 이종우의 작품 제작은 귀국 이후에도 시대상을 함의하여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졌으나 그의 조형언어는 파리 유학 시절까지의 양상에 초점을 맞춰 분석되었고, 전체적인 조형성의 형성과정 및 의의가 시대적 맥락과 밀접하게 검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분적으로 이해되어 온 이종우의 작품세계에 관한 서술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구체적인 고찰을 위해 관련 사료를 면밀히 발굴 및 검토하여 미술가로서 이종우의 행적에 더욱 집중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의 작품과 활동을 시대 상황 위에서 맥락화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자료에는 그동안 언급되지 않았던 그의 작품들과 스케치 외에도 표지그림과 삽화 및 장정 등의 예를 포함하였다. 이를 통해 이종우가 자신의 화풍을 갖추기 위하여 시도한 실험들과 그 배경을 파악할 수 있었고 당대 화단의 일원으로서 활발히 참여한 면모 또한 밝힐 수 있었다. 동시에 그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는 사진과 기록 내역 및 서술이 담긴 간행물 등의 사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확한 시각 매체로 남지 않아 주목되지 못했던 그의 조형적 지향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그가 화업을 진전시켜 나아가며 두 차례 변경했던 아호 및 다종의 작품 서명에 집중하였다. 이들의 해석을 통해서는 그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선택한 화가로서의 태도를 추정할 수 있었다. 이종우의 작품세계는 일본에서 외광파와 인상파 화풍을 습득한 후 프랑스 유학을 통해 정통의 아카데미즘이 부재하는 조선 미술계의 현실을 깨닫고 국내에서 그것을 확립하고자 한 시도로 구성된다. 그 방법으로 사실주의 기법을 체득한 이종우는 귀국 후 일제강점 사회에서 재현적 화면 위에 민족성을 구현하며 조선적 서양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으며 동시대의 화가들과 서양화단을 확립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새로이 정립된 미술계의 중심에서 근대부터 이어온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방면으로 활동하였다. 추상회화 등의 부상으로 그의 조형성은 위축의 위기를 마주하기도 했으나 민족문화의 정통성이 주목되던 시기 이종우는 전통을 소환하여 서양과 동양의 융합, 그리고 한국성 탐구를 지속함으로써 구상회화의 존속을 이어나갔다. 이처럼 한국의 근현대 역사와 함께한 이종우의 삶과 작품세계는 역동적인 시대 속 창작자로서 가졌던 고민과 선택을 포괄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당대의 사회적 맥락 안에서 이종우의 화업을 시기별로 해제함으로써, 그를 서양화 본질의 연구와 한국적 서양화의 창출을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였던 화가로 분석했다. 이에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화가의 재조명을 통하여 근현대 회화사의 구조와 전개를 보다 유기적인 관계 안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works of a Western-style painter, Seolcho Lee Chong-Woo(1899-1981) who showed continuous activities by passing throug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of Korea, and also considers his position and significance in the art history. Lee Chong-Woo who was grown from an influential famil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learnt Western painting as a new art through the experience of modern system introduced to Colonial Korea. After that, he fully started learning oil painting from Japan, and aimed to establish his own style of painting based on his experiences of research institute and atelier in France. After coming back to Korea, Lee Chong-Woo formed abundant exchanges with the culture field by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also producing the various media. Moreover, he continued his work activities by participating in various groups and exhibitions. After the liberation, he played major roles in the reorganized system of the field of art, and also contributed to the specialized art education. Furthermore, by leading art organizations, he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vitalization of Western painting in Korea to the brink of his death.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emphasized Lee Chong-Woo’s position as a pioneer and educator who studied and taught Western paintings through his initial experiences in studying abroad. Even though Lee Chong-Woo’s production of works was performed for a long time by implying the phases of the times even after coming back to Korea, his works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aspect until he studied abroad in France while the formation process and significance of his overall art works were not reviewed in the close relation with the context of the time. Thus, this study aimed to expand the description of Lee Chong-Woo’s works that used to be partially understood. For the concrete consideration, this thesis concentrated more on Lee Chong-Woo’s achievements as an artist by researching and reviewing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him. In this process, his works and activities were contextualized on the circumstance of the times. The materials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included his cover picture, illustration, book-binding, sketches, and his works that were not mentioned before.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could understand Lee Chong-Woo’s experiments and the backgrounds attempted to be equipped with his own style of painting, and also reveal the aspect as a member of the art world of the time.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historical records such as publications containing the photos, details of records, and description that could show his trace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verify his formative orientation that did not grab attention as it was not remained as accurate visual media. Moreover, this study focused on his various signatures and pen name that was changed two times in the process of progressing his artworks. This interpretation allowed to estimate his attitude as a painter of choice with the flow of the times. Lee Chong-Woo’s artworks are composed of attempts to establish the authenticity in Korea after realizing the reality of the art world in Joseon without the authentic academism of Western painting through studying abroad in France after learning the style of pleinairism and impressionism in Japan. Lee Chong-Woo who mastered the realism technique as its method performed many attempts to create Joseon-style Western paintings by realizing the ethnicity on the representative screen in the Japanese colonial society after coming back to Korea. He also conducted movements for establishing the Western-style painting together with contemporary painters. After the liberation, he actively worked in many different fields to achieve the purpose continued from modern times in the center of the newly-established art world. Even though his works faced a crisis of contraction because of rising abstract paintings, when the authenticity of national culture grabbed attention, Lee Chong-Woo kept the continuation of representational paintings by recalling the tradition, and then continuing the convergence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and the exploration of Korean characteristics. Lee Chong-Woo’s life and art together with the modern/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nclude his concerns and choices as a creator in the dynamic period. This thesis viewed Lee Chong-Woo as a painter who actively moved for the research on the essence of Western paintings and the creation of Korean-style Western paintings, by analyzing his achievements in each period within the social context of the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Korean modern/contemporary art history within more organic relations by re-examining the painter who has not been concretely researched bef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