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一洲 金振宇(1883-1950)의 생애와 작품 연구

Title
一洲 金振宇(1883-1950)의 생애와 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fe and Artworks of Ilju Kim Jin-Woo(1883-1950)
Authors
이우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사군자 화가 일주 김진우(一洲 金振宇, 1883-1950)의 작품세계를 고찰하고 미술사적 의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김진우는 일찍부터 의암 유인석을 따라 망명하여 의병으로 참전하였고 임시정부 임시의정원에서도 활동하며 항일독립에 힘썼던 인물이다. 그러나 1921년 피검된 후로는 서화가로서 해방정국까지 화업(畫業)에 전념하였다. 건국동맹에 가입하여 일제의 패망을 예견했던 여운형의 정치적 입장에 동조하였으며, 광복 이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공화국, 사노당 등 일련의 정당에 소속되어 여운형을 도왔다. 김진우는 시대의 판도가 달라질 때마다 민족운동가, 서화가, 정치당원이라는 서로 다른 모습으로 필요에 따라 대응하였다. 그는 독립단체나 다양한 분야의 민족지사들과 교류하는 한편 국내 전람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였다. 사회운동과 화업의 영역을 넘나드는 김진우의 행적은 독립운동가로서, 또 한 시기를 풍미했던 전문 서화가로서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다층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지금까지 김진우에 관한 학계의 연구는 날카로운 장병기 같은 죽엽의 표현에서 드러나는 독립지사의 면모에 집중하여 이루어졌다. 창이나 검과 같은 예리한 필치는 김진우의 항일정신과 시대에 대한 울분의 표출로 해석되었으며, 김진우의 일생과 작품세계는 이러한 화법이 뚜렷하게 드러난 작품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그의 서화에서 독립 투지를 읽어내는 작업은 여러 전시에서 김진우를 독립운동가로 호명하는 데에 일조했다. 그러나 김진우 묵죽화의 현전 수량이 상당한 편임은 물론, 화풍의 변화가 비교적 뚜렷하고 형식과 구도에 있어 말년까지 다양한 시도를 하였음이 확인된다. 조선미술전람회에서는 연폭 가리개를 사용하여 기성 묵죽도와 다른 개성적인 작품을 선보였으며, 서화협회를 통해 그를 대표하는 양식 중 하나이자 후대까지 계승되어 제자들을 통해 작품화된 죽림도 연폭병풍을 꾸준히 발표하였다. 또한 병풍의 골자를 이용한 획기적인 묵죽도 병풍을 전람회에 내거나 기존에 없었던 독특한 구성의 풍죽도를 제작하는 등 다채로운 시도가 이루어진다. 근대 사군자 화단을 대표하는 중진으로 자리잡았던 김진우는 미술계에서 사군자가 논쟁의 화두로 대두될 때마다 함께 거론되었다. 그의 묵죽에 대한 평가는 사군자의 의미와 위상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달라졌다. 조선미술전람회는 공식적으로 사군자 부문을 누락시킴으로써 미술의 범주에서 사군자를 제외시켰으나, 한편으로는 사군자가 지닌 함축미가 서양 미술사조의 순수추상과 상통하는 동양 최고의 예술 형식으로 해석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기본적으로 서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사군자의 필법과 이에 대한 깊은 심미안을 갖춘 감상층의 부재, 법첩을 통해 학습되는 전통의 계승적 측면은 당시 문예비평에서 쉽게 비판의 대상이 되곤 했다. 본 연구는 김진우에 대한 과거와 동시대의 상반된 평가를 종합하고 다채로운 작품을 두루 살펴봄으로써 그의 일생과 묵죽 작품을 다각도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문 자료를 검토하고 작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졌던 개괄 외의 세부적인 행적을 최대한 밝히고자 하였다. 김진우의 생애를 촘촘하게 복원하는 일은 시대에 굴복하지 않은 독립지사의 면모뿐 아니라 독자적인 양식을 꾸준히 발표했던 서화가로서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빚어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 또한 그의 작품에 대한 화단의 양가적 태도를 차례로 분석하여 시대적 맥락 속에서 김진우의 사군자를 읽어내고자 한다. 김진우가 독립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작품을 제작했더라도 근본적으로 미술계에서 이루어진 서와 사군자에 대한 시각과 논평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따라서 작품의 형식과 구도에 변화를 줌으로써 세간의 평가에 대응하였으며 본인의 서화관을 직접 지면에 발표하여 사군자 감상의 기준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김진우의 작품을 분석하는 일은 김진우 개인을 넘어서 근대 사군자에 대한 인식의 흐름을 읽어내는 일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김진우의 화법이 변화하는 기점들을 기준 삼아 작품을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김진우의 다양한 작품에 주목하였으며 작풍의 변화를 사군자에 대한 화단의 평가와 연동하여 고찰하였다. 이는 독립운동가로서의 생애뿐만 아니라 서화가 김진우의 개성적인 면모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로써 김진우의 생애와 그의 묵죽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으며 근대 사군자 화단의 일면을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rtworks of Korean modern Four Gracious Plants painter Ilju Kim Jin-woo(一洲 金振宇, 1883-1950) and to derive the art historical meaning from them. Kim Jin-woo volunteered for unofficial troop to sought independence from Japan by following Yu In-seok(柳麟錫, 1842-1915) and also worked for Provisional Government in exile. However, after being prosecuted in 1921, he devoted himself to painting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as a pofessional painter. Joining the National Foundation Alliance(建國同盟), he sympathized with Yeo Un-hyung's political stance, which predicted the defeat of Japan, an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he belonged to a series of political parties such as the National Foundation Preparation Committee(建國準備委員會), People's Republic of Korea(朝鮮人民共和國), and People's Party of Korea(朝鮮人民黨). Whenever the political situation changed, Kim Jin-woo responded as needed, with different appearances as a national activist, a painter, and a political party member. While interacting with independent organizations and national governors in various fields, he actively distinguished himself at domestic exhibitions such as Joseo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Kim Jin-woo's work across the social movements and painting enables a multilayered interpretation of his work 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lso a professional painter. Until now, academic research on Kim Jin-woo has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independence activist, which is revealed in the expression of bamboo that resembles pointed weapons like spear. Sharp strokes such as lance and swords were interpreted as Kim Jin-woo's expression of anti-Japanese spirit and anger over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Kim Jin-woo has been narrated by focusing on specific artworks that clearly revealed this painting style. Therefore, Kim Jin-woo was arranged in exhibition with other prestigious independence activist, such as Han Yong-un(韓龍雲, 1879-1944) or Lyuh Woon-hyung(呂運亨, 1886-1947), or mentioned with other painters who participated Anti-Japan movements in parallel with doing artworks. However, the current quantity of Kim Jin-woo's ink painting is quite larg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ainting style was relatively distinct and various attempts were made by the end of the year in terms of form and composition. Kim Jin-woo, who was a prominent member of the modern Four Gracious Plants, was mentioned whenever the Four Gracious Plants emerged as a hot topic in the art world. His assessment of bamboo painting changed frequently depending on the meaning and status of the Four Gracious Plants. The Joseo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officially excluded the Four Gracious Plants from the art category by omitting the Four Gracious Plants sec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 implications of the Four Gracious Plants were interpreted as the fine art form in the East, in line with the pure abstractions of Western art history. Nevertheless, the absence of appreciators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calligraphy, and the succession of traditions learned through the canon were easily criticized by literary critics at that tim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Kim Jin-woo's life and works of bamboo painting in various ways by compiling conflicting evaluations of his past and contemporaries and examining various works. To this end, the newspaper materials were reviewed,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k was analyzed, and the detailed activities more than those revealed through prior research were to be revealed as much as possible. The close restoration of Kim Jin-woo's life will be a concrete work of creating not only the aspect of an independent governor who did not succumb to the times, but also the appearance of a painter who consistently announced his own style. It is also intended to analyze Kim Jin-woo's two-way attitude toward his works one after the other and to read Kim Jin-woo's Four Gracious Plants in the context of the times. Even if Kim Jin-woo produced his work to raise funds for independence, he could not be free from the perspective and comments on books and Four Gracious Plants that were basically made in the art world. Accordingly, he responded to the public's assessment by changing the format and composition of his works, and presented his own calligraphy on the ground to provide standards for appreciation of the Four Gracious Plants. Analyzing Kim Jin-woo's work in this background of the times will be to read the flow of awareness of modern Four Gracious Plants beyond Kim Jin-woo's individual. In response, the study analyzed Kim Jin-woo's works by dividing them into periods based on the changes in his speaking style. Based on prior research, Kim Jin-woo's various works were noted and the changes in style were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evaluation of the Four Gracious Plants. This focuses not only on his life as an independence activist, but also on the individuality of the painter Kim Jin-woo. This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understanding Kim Jin-woo's life and his ink paintings, as well as highlighting one aspect of the modern Four Gracious Pl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