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19세기 영국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의 빈곤 이미지 연구

Title
19세기 영국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의 빈곤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ages of Poverty in British Social Realist Paintings and Illustrations : Focusing on The Graphic
Authors
권민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삽화저널 『그래픽 The Graphic』(1869-1932)을 중심으로 19세기 영국의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에 나타난 빈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는 실제 장면에 대한 관찰을 기반으로 한 사회 현실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로 여겨졌으나, 본 논문은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에 개입된 중산층의 가치관에 주목하여 빈곤 이미지에서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19세기 영국 사회는 산업화에 수반된 심각한 사회 문제를 경험하였고,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는 이 시기에 중산층의 영향력이 커지고 도시빈곤의 문제가 대두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신흥계급으로서 사회 안에서 확고한 자리를 확보하려 했던 빅토리아 시대 중산층은 근면, 자조, 중용 등을 미덕으로 삼는 가치관을 형성함으로써 차별화된 계급으로 스스로를 규정했다. 이러한 가치체계를 기준으로 빈민은 ‘자격 있는’ 빈민과 ‘자격 없는’ 빈민으로 구분되어 중산층에게 평가의 대상이 되었다. 이와 동시에 빈곤은 암암리에 소비되는 구경거리의 소재가 되었고, 이에 대한 중산층의 시각적 욕구를 상당 부분 충족시키는 정기간행물로서 삽화저널이 등장했다. 그 중 『그래픽』은 예술작품으로서 판화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예술가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사회적 사실주의 미술의 형성에 기여했다. 본 논문은 『그래픽』 출신 화가 중 특히 대표적인 사회적 사실주의 화가로 여겨지는 루크 필즈(Luke Fildes), 프랭크 홀(Frank Holl), 휴버트 폰 허코머(Hubert von Herkomer)의 작품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그 이유는 이들이 『그래픽』에서의 활동 이후 왕립미술원 회원이 되어 회화 작품을 다수 발표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에서 예술적인 가치로서 인정받은 특성들이 삽화저널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생겨났던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필즈, 홀, 허코머는 사회적 주제를 담은 회화를 출품하기 전에 일종의 시험대로서 삽화저널을 이용했다. 필즈, 홀, 허코머의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는 그 영향으로 관찰에 기반한 재현, 체화된 경험의 전달, 내재적 서사화라는 특성을 갖게 되었다. 본 논문은 필즈, 홀, 허코머의 삽화와 회화에서 빈곤 이미지를 노동, 이민, 취약성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그 이면의 중산층 이데올로기와 빈민의 현실을 살펴본다. 산업화 이후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려든 노동계급은 실업 상태 또는 저임금 착취 상황에 놓여있었다.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는 자의 또는 타의로 노동을 하지 않는 남성과 착취에 가까운 노동을 통해 죽음에 가까워지는 여재봉사, 그리고 빈곤한 가장을 둔 무력한 가족을 묘사함으로써 노동을 성스러운 의무로 보고 빈곤의 원인이 나태와 방탕에 있다고 믿었던 중산층의 시각을 반영한다.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에서 재현된 빈민의 또 다른 유형은 이민자다.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며 영국을 떠난 사람들과 일자리를 찾아 영국으로 이주한 이민자들을 재현한 작품들에서는 떠난 사람들의 예측할 수 없는 운명과 아마도 다시는 만나지 못할 것을 예견한 남겨진 자들의 슬퍼하는 모습에서 생겨나는 파토스가 빈곤에 대한 동정심을 불러일으킨다. 이를 통해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에서 이민에 대한 불안과 의심이 빈곤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긍정적으로 바뀌는 빅토리아 중산층의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취약한 인간으로 묘사된 빈민의 이미지를 분석하면 중산층이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로 재현된 빈민을 쉽게 타자화할 수 있어야만 동정심을 가지고 작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것이 드러난다. 규범적인 관람자인 중산층 남성에 의해 동일시될 수 있는 대상이 빈곤과 상실의 참상 속에 있는 모습은 불쾌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는 중산층에게 완벽한 타자로서 인식될 수 있는 인물을 빈민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의 빈곤 이미지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사회지배층의 시각으로 사회적 약자를 보게 되는 시각의 권력구조가 회화의 재현 방식과 맞물려 중산층의 가치관을 공고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19세기 중후반 영국의 사회적 사실주의 회화가 사회적 현실을 있는 그대로 화폭에 옮긴 것이 아니라 당대 사회를 주도하는 계급이었던 중산층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이데올로기적 매체이기도 했다는 것을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analyzes images of poverty in Social Realist paintings of 19th-century England, focusing on the illustrated journal The Graphic (1869-1932). Social Realist paintings were considered realistic descriptions of social reality based on observation of actual scenes,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middle-class sets of values intervening in Social Realist paintings and analyzes their influences on images of poverty. English society in the 19th century experienced serious social problems that industrialization entailed, and Social Realist paintings appeared in this era, in the process of the middle-class influence growing and the problem of urban poverty rising. The Victorian middle class, a newly-risen class that sought to secure a stable position in society, differentiated itself by forming sets of values such as industry, self-help, and moderation. Based on such a value system as the standard, the poor were divided into ‘deserving’ and ‘undeserving’ poor and thus evaluated and judged by the middle class. Simultaneously, poverty was implicitly consumed as a matter of spectacle, and illustrated journals appeared as periodicals that considerably satisfied the visual desires of the middle class. Among those illustrated journals, The Graphic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ocial Realism with a strong conviction for printing as art and respect for its artists. This study mainly examines the works of Luke Fildes, Frank Holl, and Hubert von Herkomer, who are considered to be major Social Realist painters among artists fostered by The Graphic. This is partly based on the fact that they went on to become members of the Royal Academy and presented numerous paintings after their time at The Graphic, and partly based on the conviction that characteristics acknowledged as artistic values in Social Realist paintings were formed amidst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specific illustrated journal. Fildes, Holl, and Herkomer used the illustrated journal as a sort of testing ground before they submitted their paintings with social subjects. From the influence of the illustrated journal, their Social Realist paintings came to have the qualities of representation based on observation, delivery of the embodied experience, and internal narrativization. This study categorizes images of poverty in illustrations and paintings of Fildes, Holl, and Herkomer into three different types – labor, migration, and vulnerable figures – and examines the ideology of the middle class and the reality of the poor. The working class, which flocked to cities for jobs after industrialization, was either unemployed or exploited at low wages. Social Realist paintings portray men who are either voluntarily or forced to be out of work, seamstresses nearing death due to exploitation, and families belonging to poor breadwinners; they thus reflect the perspective of the middle class who thought labor to be a holy duty and believed the cause of poverty to be in indolence and debauchery. Another type of the poor represented in Social Realist paintings is immigrants. In works representing those leaving England for a better future and those migrating to England for jobs, pathos arises from the unpredictable fate of those leaving and the sad figures of those left behind and evokes sympathy for poverty. It is thus shown in Social Realist paintings that the Victorian middle class had anxiety and doubt for immigration but soon changed their view as it rose as a panacea for the poverty problem. In analyzing images of the poor represented as vulnerable figures, it is revealed that the middle class sympathized with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painting only if the represented poor in the artwork could easily be seen as the other. If anyone who the middle-class men, as normative viewers, could identify with was in the horrors of poverty and loss, the scene was considered disagreeable. Thus Social Realist paintings tended to describe the poor as those who could be perfectly perceived as the other by the middle class. By analyzing images of poverty in Social Realist paintings, it is made clear that the power structure of visuality that made people see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rough the eyes of the ruling class was connected to artistic representation, resulting in the consolidation of middle-class valu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reillumination of Social Realist paintings in the late 19th-century England as an ideologic medium to reflect the values of the middle class, rather than frank portrayals of social realities as they 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