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리차드 에스테스(Richard Estes) 회화에 나타난 리얼리티의 구현 방식

Title
리차드 에스테스(Richard Estes) 회화에 나타난 리얼리티의 구현 방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the Paintings of Richard Estes
Authors
마예니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리차드 에스테스(Richard Estes, 1932-)의 회화에 나타난 리얼리티의 구현 방식에 관한 연구이다. 에스테스는 주로 본인의 일상적 풍경을 촬영한 사진 이미지를 사용하면서도 오히려 사진보다 더 사실적으로 보이는 회화 작업을 꾸준히 이어왔다. 에스테스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이러한 사진과의 연관성 안에서 사람들의 눈을 속이는 극사실적 표현 방식, 즉 작품의 조형적 측면에만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극사실적 묘사와 더불어 에스테스의 다양한 작업 방식이 실제 풍경과 달리 낯설고 생경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는 점에 주목하였고, 그것이 야기하는 사실과 허구, 실재와 환영 사이에서의 혼란을 통해 에스테스가 구현하고자 한 리얼리티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작품 분석에 앞서, 에스테스와 동시대에 활동했던 하이퍼 리얼리즘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하이퍼 리얼리즘 회화의 리얼리티에 대한 시각과 표현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고 에스테스의 개인사적 배경을 통해 그가 하이퍼 리얼리티에 대한 관심을 키워 온 계기를 살펴보았다. 하이퍼 리얼리즘은 일상과 소비사회의 이미지들을 소재로 사용하면서도 팝아트와는 달리 무심하고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실재와 환영 사이의 시각적 혼란을 야기함으로써 기존에 믿고 있던 리얼리티나 보는 방식에 대한 재인식을 요구했다. 한편 에스테스는 어린 시절부터 카메라를 친숙하게 다루어 왔고 특히 잡지나 신문의 일러스트 작업을 하는 상업 화가로서의 경험을 통해 사진 이미지를 편집하고 재조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에 익숙해졌다. 이러한 배경들은 에스테스로 하여금 사진을 활용하면서도 실제 풍경이나 사진과는 또 다른 이미지, 즉 하이퍼 리얼한 풍경화를 그리는 것에 주목하게 하였다. 에스테스는 리얼리티에 대한 시각을 작품에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표현 방식들을 연구하고 사용하였다. 첫 번째로, 에스테스는 작품 속에서 인물들의 익명성을 강조하거나, 인간을 비롯한 어떤 생명도 느껴지지 않는 가운데 금속의 차가운 표면이나 건물의 기하학적 형태 등 인공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인간이 주체라고 여겨졌던 현대사회 속에서 오히려 인간성이 상실된 현실을 마주하게 하였다. 두 번째로, 유리창에 반사되어 실재와 구별하기 어려운 이미지를 실제 풍경이나 사물과 병치하거나 혼재시키고, 뉴욕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여겨지는 기념비적 장소와 대중교통 내부의 일상적 모습을 대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현실의 재현이라고 여겨진 이미지나 기호가 실상 현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실재로서 현실을 대체하는 하이퍼 리얼리티의 사회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클로즈업과 파노라마적 구성처럼 사진을 상기시키는 표현 방식은 가시적 현실을 사실적이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했다. 그러나 클로즈업으로 인해 맥락이 제거되어 익명화된 이미지와 파노라마적 시점에 의한 실제 풍경의 왜곡과 변형은 현실의 사물이나 풍경을 지시하기보다 오히려 사진적 재현이 갖는 허구성을 드러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에스테스의 회화가 가시적인 현실에 대한 극사실적 묘사에 그치지 않고 그 현실 속 풍경을 수정하고 왜곡하는 다양한 작업 방식을 사용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이 의심 없이 진실하며 실재한다고 믿어온 리얼리티에 질문을 제기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랜 시간 하이퍼 리얼리즘 회화를 연구하고 작업해 온 리차드 에스테스가 작품의 조형성뿐만 아니라 자신이 살아가는 리얼리티에 대한 표현에도 관심을 가져온 작가임을 확인하고,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한 해석의 폭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미술사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is dissertation addresses a study that discussed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the paintings of Richard Estes (1932-). Estes mainly used photographs of his everyday environments, but continued to work on paintings that seemed more realistic than these photographs themselves. Previous studies on Estes has focused on the formative aspects of his work, and the hyper realistic expressions that deceived the viewer's eyes via its association with actual photographs. In addition to Estes’ hyper realistic style, this study noted that Estes' various ways of expression created odd and unexpected images that were unlike real landscapes. The study also sought to examine Estes' reality by examining the confusion between fact and fiction, reality and illusion, in Estes’ art. Prior to analyzing Estes’ work, the study explored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used to represent reality by artists of the Hyper-realism genre who were active in the same era as Estes. The study then examined the background of Estes’ life which may have led to his interest in hyper reality. Hyper-realism used images of everyday life and consumer society as the subject, but maintained a nonchalant and objective attitude unlike Pop Art. Hyper-realism also demanded a new paradigm for seeing reality by creating visual confusion between reality and what our eyes are actually seeing. Estes has been familiar with cameras since childhood, and has become accustomed to editing and recombining photographic images, especially from his experience as a commercial artist who worked on illustrations for magazines and newspapers. These experiences led Estes to make art that was different from the real landscapes or photographs which he was familiar with, namely in the hyper realistic landscapes he created. Estes researched and used a variety of powerful ways to express his perception of reality. First of all, Estes allowed viewers to face the reality that human beings have lost their humanity in modern society by emphasizing the anonymity of the characters, the artificiality of the cold surfaces of metal, and through the geometries of the buildings in his art. Secondly, the images reflected on the windows in Estes’ works were often combined with or mixed with real landscapes or objects, and the images of the everyday lif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his works were contrasted with various monumental places considered to be New York's most representative. These expressions demonstrated a world of hyper reality in which images and signs, which are considered representations of reality in our world, became a new reality that had no prior existence in our worldly realities. Using close-ups and panoramic construction, Estes’ distinctive style made his art appear to be a truthful representation of reality, reminding viewers of actual photography. Simultaneously, through the anonymized images separated from its conventional contexts via the use of close-up perspectives, the distortion and alteration of real landscapes by panoramic viewpoints, and the multiple points of view utilized, Estes revealed the unreality of his photographic representations.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Estes' paintings have not only focused on the hyper realistic depiction of visible reality, but also raised inquiries about reality that most people have believed to be true and real without doubt. This study’s significance in art history can also be found in how it provided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Richard Estes. Indeed, Estes has long studied and worked on hyper realistic paintings. He was an artist who was interested not only in furthering his own powerfully influential art style, but also in the expression of his inner re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