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여성주의 기독론으로서 '크리스타(Christa)'의 가능성과 필요성 연구

Title
여성주의 기독론으로서 '크리스타(Christa)'의 가능성과 필요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hrista as a Feminist Christology
Authors
홍다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윤재
Abstract
기독교인 여성으로서, 특히 페미니스트로서 맞닥뜨리게 되는 “기독교와 여성주의는 양립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신학적, 특히 기독론에서 제기되는 “남성 구세주에게 여성이 구원받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된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한 가지 답으로 여성-그리스도인 ‘크리스타(Christa)’를 제시한다. 크리스타(Χρίστα)는 남성형인 그리스도(Χριστός)의 어미를 여성형으로 바꾼 것이다. 기독교 역사에서 그리스도의 ‘여성성’은 종종 논의되어 왔으나, 크리스타는 그를 넘어 ‘여성’으로 육화된 것이다. 이렇게 여성의 몸으로써 구체적인 유사성을 확보한 크리스타는 ‘남성-그리스도숭배(Christolatry)’의 우상을 허물고, 교회 안에 남아서, 교회여성들을 위해, 교회여성들과 함께 상호구원을 이루어나갈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크리스타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해석과 담론이 형성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상징’으로서 크리스타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본다. 본 논문은 남성(man)만이 인간(Man)이 되는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세계에서 여성의 비인간화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크리스타’는 일차적으로 여성의 자기긍정과 여성됨(womanness)의 정체성 형성에 관심한다. 그러나 백인-남성-비장애인-중산층을 표준(norm)으로 삼는 남성중심주의에서 비존재로 격하되는 것은 ‘여성’만의 문제는 아니므로, 본 논문에서 ‘여성’은 확장된 의미로, ‘상징으로 실재하는 여성’으로 사용된다. 즉 이 논문에서 관심하는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을 넘어선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비판하는 ‘남성’ 역시 단순히 생물학적인 남성이 아니라, 남성중심적 가부장사회에서 규정하는 ‘남성성’이 유일하게 도달해야 할 ‘인간성’인 양 호도하는 이들이다. 이런 맥락에서 크리스타는 ‘남성’과 ‘여성’ 모두를 위한 것이라고 쉽게 포괄하여 말할 수 없다. ‘크리스타’는 단순히 ‘그리스도’를 보완하거나 대체하려는 것이 아니고, 남성-그리스도가 유일한 그리스도 상징이 되어온 것에 대한 항거이다. 따라서 크리스타의 목적과 관심은 여성이 남성‘과 같이’ 되는 데 있지 않고, 남성-되기가 곧 인간-되기였던 가부장적 현실에 저항한다. 그렇다고 단순히 여성/인간-되기를 기획하는 것은 아니다. 크리스타는 여성-되기를 넘어선 새로운 존재됨(a new be-ing)의 자리로 ‘몸(Body, Σάρξ)’에 주목한다. 구체적인 몸으로 하는 경험의 차원에서 관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여성’과 ‘남성’의 경계는 허물어진다. 대신 ‘여성’과 ‘남성’ 사이 다양한 스펙트럼 가운데 하나하나의 몸, 하나하나의 존재가 있다. 몸은 그 자체로 필멸의 것이라는 점에서 보편적인 평등성을 갖지만, 바로 그 이유로 어느 몸도 ‘이상적인 몸’을 완벽히 달성할 수 없고, 모든 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 이렇게 다변하고, 모호하고, 취약한 몸들을 경유한 정체성이야말로 하나님의 다채로운 형상만큼 다양한 존재됨을 가시화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다변하는 몸에 그리스도-상징의 자리를 세움으로써, 그리스도 역시 우상으로 고정되지 않고 풍부한 의미와 해석을 낳으며 끊임없이 부활할 수 있다. 동시에 크리스타의 몸으로 가시화되는 다양한 몸들 역시 연결되며 확장되는 새로운 존재됨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상호구원의 사역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Placed in the patriarchal system of Christianity, Christian feminists inevitably face the question, “Is Christianity compatible with feminism?” This again eventually leads them to the question of feminist Christology that Rosemary Ruether once raised: Can a male saviour save women? Examining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various Christologies, this study aims to open up yet another possibility of the female-Christ, Christa (Χρίστα), the feminine form of Christ (Χριστός), the masculine form. Although the ‘femininity’ of Christ has often been discussed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Christa transcends the bounds of femininity and incarnates as a ‘woman.’ In the flesh of the female-body, Christa embodies women in their most concrete specificity. Christa, an iconoclast, breaks down the Male-Christolatry, and remains in our church community to achieve mutual salvation for and by Christian-woman. Thus, this thesis argues for the necessity of Christa as a symbol, which opens up new possibilities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s and discourses that allow not only the inclusion of reality of women as the site of salvation but also the expansion of the soteriological horizon on the in-carnate experiences of other forms of fleshes. Thus, this work begins by problematizing the dehumanization of women in the male-centered, patriarchal world where only a ‘man’ becomes the ‘Man.’ Therefore, Christa is primarily concerned with women’s affirmation of their selves and identity formation of their womanness. In the patriarchal world that privileges the white, non-disabled, middle-class male as the norm, ‘woman’ is not the only non-existence being. Thus, the term ‘woman’ has extended meaning in this study: a ‘woman’ is a symbol of the existential reality of women. In other words, the woman in this thesis transcends the biological sense of the word. In the same way, the ‘man’ that this work critically engages also transcends the biological connotation of the word; the ‘man’ symbolically and collectively claims masculinity as the only possible humanity achievable in the patriarchal society. In such a context, Christa does not claim to include both men and women. Christa does not compliment Christ, either. Christa is the resistance to the exclusive Christological claim of the male-Christ as the only possible Christological symbol. Therefore, Christa is not concerned with the project of women becoming ‘like men,’ but rather resists the reality in which becoming man equals becoming human. However, it is neither a project of turning women into humans. Christa moves beyond such becoming woman/human and focuses on the Body (Σάρξ) as a place of a new be-ing. In the experience of the flesh of the body, the conceptual, metaphysical boundary between woman and man deconstructs, leaving the spectrum between woman and man where each body, each being simply exists. The mortal limit of bodies levels the field, allowing no body to achieve the perfect body while allowing all bodies to change and ultimately disintegrate. Identities formed via changeable, ambiguous, and vulnerable bodies visualize their diverse be-ings as the reflection of the kaleidoscopic image of God. In addition, by locating the Christ-symbol in the variably transforming bodies, Christ is no longer fixed as an idol but constantly resurrects, generating abundant meanings and kindling new interpretations. At the same time, as the body of Christa manifests in various bodies, the bodies connect and expand the horizon of possibilities of new be-ing, participating in the mutual soteriological work of Christ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