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8 Download: 0

한‧중 진실성 부사의 대조 연구

Title
한‧중 진실성 부사의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ruth adverb in Korean and Chinese
Authors
LIU, MIAO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복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진실성 부사를 연구 대상으로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진실성 부사의 통사적 특징, 의미적 특징, 담화표지 기능을 검토하며 대조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여섯 장으로 구성되고 있다. Ⅰ장에서는 우선 연구 목적을 제시하며 한‧중 진실성 부사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그간 한국어와 중국어 진실성 부사에 대한 연구가 어떠한 성과가 있는지, 또한 선행 연구에 어떠한 문제점이 존재하는지, 선행 연구에서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거나 소홀히 다루던 부분 등을 찾아내서 본고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구체적인 대조 분석하기 전에 먼저 진실성 부사의 개념과 진실성 부사와 관련된 담화표지의 정의와 기능을 정리하였다. 그다음에는 한‧중 진실 성 부사가 담화표지로 사용할 때 그 판단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중 진실성 부사가 문장에서 부사로 실현하는지 담화표지로 실현하는지 정확하게 식별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는데 기반을 만든다. Ⅲ장에서는 한‧중 진실성 부사의 통사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중 진실성 부사의 통사적 특징을 고찰할 때 먼저 문장에서의 위치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위치 분포 양상을 분석할 때 크게 부사로서의 위치 분포와 담화표지로서의 위치 분포 양상을 나눠서 분석하였다. 이어서 한‧중 진실성 부사가 발화에서 담화표지로 사용할 때 다른 담화표지와의 연결 관계를 고찰하여 대조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한‧중 진실성 부사의 의미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중 진실성 부사의 의미적 특징을 분석할 때 주로 대표적인 사전 해석을 참조하여 그 기본 의미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어 진실성 부사의 의미를 크게 확인과 강조로 나누고 중국어 진실성 부사의 의미를 크게 확인, 강조, 역접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한‧중 진실성 부사의 담화표지 기능을 대조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어 진실성 부사가 담화표지로서 담화에서 그 담화 기능을 크게 강조, 채움말, 태도 표현을 분류하여 태도 표현 기능을 다시 인정, 놀람, 감탄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그다음에는 중국어 진실성 부사가 담화표지로서 담화 에서 그 담화 기능을 크게 강조, 채움말, 태도 표현, 화제 연결을 분류하여 태도 표현 기능을 다시 인정, 부정적 태도, 놀람, 태도 완화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Ⅵ장에서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여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본고의 의의와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했다. 이상과 같이 여러 층위를 통해 한‧중 진실성 부사를 대조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미진한 점을 보완하면서 한‧중 진실성 부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examining the syntactic features, semantic features, and discourse markers functions of truth adverbs in two languages.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reviews the prior study of the truth adverbs in Korean and Chinese. Then reviews the the problems in the prior study and introduces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paper .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concept of the truth adverb in Korean and Chinese. It introduces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s and suggests the rules for judging truth adverb and discourse markers.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ruth adverb in Korean an Chinese . It fist discusses the positions in sentences of the truth adverb and truth discourse markers. Then it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truth discourse markers and other discourse markers. The forth chapter analyzes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truth adverb in Korean and Chinese It used the representative dictionary interpretations to compare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ruth adverb in Korean and Chinese The fifth chapter analyzes the function of the truth discourse marke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t analyzes the function of the truth discourse markers by using the Corpus materials and considering the context and the speaker's age, social status. The last chapter summarizes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and reveal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