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언어의 윤리성 연구

Title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언어의 윤리성 연구
Authors
천서윤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오정희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말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수행적 윤리의 차원에서 새롭게 조망하는 것이다. 이때의 수행적 윤리란 발화의 행위주체인 여성들이 발화를 수행함으로써 실천하는 윤리를 의미한다. 오정희 소설은 가부장적인 현실을 살아가는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소재로 삼아 여성의 몸에 가해진 억압을 드러내거나 여성이라는 젠더에 부과된 사회적 인식의 폭력적인 면면을 보여준다. 특히 여성 인물들이 하는 말(言)에 주목하여 볼 때 그들의 말하기는 일상적이거나 온전한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각과 욕망을 분출하는 표현의 수단으로서, 문제적이고 난해하며 상황을 파국으로 치닫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오정희 소설 속 ‘비정상적’이고 ‘파격적’인 여성언어가 여성적 삶의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일 뿐만 아니라 여성 인물이 스스로의 정체성과 주체성을 모색하고 구성해 나가기 위해 전략적으로 구연(口演)하는 것라고 본다. 이와 관련하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여성 인물들의 다양한 발화 방식을 세 가지로 나누어 본론의 세 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Ⅱ장의 ‘분열적 광언(狂言)과 고발의 윤리’에서는 미친 사람의 말처럼 비논리적이며 비약이 잦은 여성 인물의 말하기를 분석해보았다. 분열적인 광언은 겉으로 단지 비정상적인 언어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발화 수행자가 실존적 위험을 무릅쓰고 폭로를 감행하는 언어임을 살펴보았다. 이때 파편적인 수사법으로 나타나는 여성 인물의 발화들은 불완전함을 표상하는 언어라기보다는 은폐되어 있던 진실, 즉 여성이 처한 상징질서 내의 현실을 가시화하는 언어이며 이를 통해 광언의 주체인 여성 인물은 기존의 단일한 진실을 파괴하는 고발의 행위주체가 되고 나아가 자기 통치성을 실현하는 파레시아의 행위주체로 거듭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의 ‘위장적 거짓말과 불복종의 윤리’에서는 위장적 거짓말을 분석하면서 간교한 속임수, 부도덕하고 불안정한 주체의 말하기처럼 보이는 거짓말이 오히려 주어진 세계에 순응하지 않고 현실과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해나가는 방편임을 살펴보았다. 오정희 소설에서 여성 화자들은 모호하고 중층적인 언어로 의중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드는 가면적 언어의 행위 주체들인데, 이들의 상충하는 말들은 거짓말과 참말의 병렬적 진술로 나타난다. 그래서 맥락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판단하지 않으면 그들의 말은 일관되지 않아 불확실한 것, 모순되어 마찰을 일으키는 것으로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장에서 서로 다른 말들의 병렬적 구성은 헤테로글로시아, 즉 이질언어의 다성성(多聲性)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비종결성을 담지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여성인물의 위장적인 거짓말이 주어진 현실에 불복종하는 윤리적 실천임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장의 ‘자발적 침묵과 무위의 윤리’에서는 여성 인물의 침묵을 재독해하여 이들의 ‘말-없음’이 역설적으로 무언(無言)의 말하기임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침묵하도록 강제된 상황을 전복하는 인물의 자발적인 침묵은 빼앗긴 언어를 다시 되찾아오는 저항의 몸짓임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침묵은 말-있음의 상태와 대비되는 것이므로, 말이 있다가 없어지는 찰나를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침묵은 수사법적으로는 말의 ‘정지’로 나타나게 된다. 말이 정지하는 때, 즉 ‘말의 멈춤’이라는 하나의 찰나적 사건이 발생할 때, 카이로스의 시간이 생성된다. 카이로스의 시간에 침묵의 주체인 여성 인물은 비로소 언어의 주체로서 침묵이라는 언어의 (비)잠재성을 현실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장에서는 언어적 타자의 위치에 있던 여성 인물이 주권적 언어가 군림하는 세계를 정지시키는 무위의 윤리를 보여줄 수 있음을 확인해보았다. 이처럼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들의 말을 타자화된 언어로 분석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전략적이고 수행적인 언어로 읽어내는 시도는 오정희 소설의 주요한 특징이자 장벽으로 여겨지기도 했던 난해성을 해명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병적이고 부도덕하며 무력한 주체로 간주되었던 여성 인물들의 어어를 수행적 윤리의 실천으로 읽어낸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분석이 될 것이다. 오정희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이 구사하는 언어가 그러하듯이 발화 행위의 주체인 여성 인물들 또한 분열되고 파괴된 주체로 귀결되지 않는다. 이들의 전략적 발화 행위는 주어진 현실의 폭력을 고발하는 윤리, 규범과 정상성에 불복종하는 윤리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발화하지 않는 침묵의 상태조차 발화의 한 가능성으로 포섭하는 무위의 윤리를 실천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ords of female characters in Oh Jung-hee's novel from pathological and abnormal perspectives, and assesses them in terms of performativity. Ethics of performativity refers to the ethics practiced by women who are the agents of language. Oh Jung-hee's novel reveals the oppression imposed on women's bodies and shows the violent side of social awareness imposed on the gender of women, based on various problems faced by women in patriarchal reality. In particular, focused on what female characters say, their speech is problematic, difficult, and often leads to catastrophe, as a means of expressing their senses and desires, rather than focusing on everyday or complete communica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abnormal and subversive female language in Oh Jung-hee's novel not only reveals the reality of female life, but also strategically narrates to guide female characters in seeking and organizing their identity and subjectiv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main chapters, divided into three ways of speaking female characters in Oh Jeong-hee's novel. First, in Chapter II, “A Divisive Mad Talks and the Ethics of Accus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peech of female figures who are illogical and leap-prone as insane people. It shows that the divisive and schizoid speech they use is not merely abnormal as it seems. Also, the language is the practice of ethics of accusation that exposes everything at the existential risk even when the safety of the person who speaks is threatened. Fragmented rhetoric does not merely represent irrationality and illogicalness, but rather a hidden truth, a visualization of the reality within the symbolic order of women, which allows female figures to become agents of accusation who destroy the existing single truth - and to be further reborn as agents of parrhesia who realize self-governance. Chapter III, “The Concealing Lies and the Ethics of Disobedience,” analyzes the camouflaging l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is chapter, we looked at the fact that lying, which looks like the words of an immoral subject, is actually a way for female characters to form reality and their own identity without conforming to the reality. In Oh Jung-hee's novel, female speakers are the actors of masquerade language, which are difficult to understand due to in vagueness and dual-meanings. Their conflicting words appear as parallel statements of lies and truth. So if you don't take a closer look at the context of the words, parallel statements of truths and lies may seem inscrutable. However, this chapter eventually shows that the parallel construction of different words contains heteroglossia. As a result, the camouflaging lies of female characters show that they are ethical practices of disobedience to a given reality. In Chapter IV, “Voluntary Silence and the Ethics of Ina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ilence of female characters and show that their “Speech-less” was paradoxically a speech of silence. Through this, the spontaneous silence of the figures who overthrew the forced silence is a gesture of resistance that brings back the language that had been taken away from them. Since this silence contrasts with the state of speech-being, it refers to the state of speech-absence. Therefore, silence is rhetorically represented as the “halt” of speech. When the utterance stops, that is, when a single event called the “halt of speech” occurs, the time of kairos is created. The female character, the subject of silence in kairos, finally realizes the potential of silence as the subject of language. Thus, in this chapter, it is confirmed that a female figure in the position of a linguistic others could demonstrate the ethics of inaction that stops the world in which sovereign language dominates. Such attempts to read the words of female characters in Oh Jung-hee's novel in a strategic and performative language rather than just an otherized language will explain the difficulty of Oh's novel,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major feature as well as a barrier. It will also be an active analysis as it read into the inscrutable words of female characters, which have so far been regarded only as pathological, by an ethical practice. Just as the language itself spoken by female characters in Oh Jung-hee's novel, female characters, who are the subjects of language, do not result in divided and destroyed subjects. Their strategic language not only demonstrates the ethics of accusing violence in a given reality, but also shows the ethics of disobedience to norms and normality. It is also a practice of the ethics of inaction, a Wuwei-embracing that a state of silence is potentially a state of speak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