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한국어 부사격조사 '에, 에서, 에게'와 중국어 개사 ‘在, 給' 종류의 대조 연구

Title
한국어 부사격조사 '에, 에서, 에게'와 중국어 개사 ‘在, 給' 종류의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Local Case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Authors
CHEN, ZHOUJU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조사 중의 논쟁이 많이 있는 부사격격조사 '에, 에서, 에게'와 중국어 개사를 연구 대상으로 각각 사용 양상을 살펴봐 대조 연구를 하자고 한다. 지금까지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에 대하여 많이 연구를 해 왔다. 또 대조 연구도 많이 하였으나 각 의미별로 전면적으로 하지 못하는 점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더 보충하고자 한다. 의미 기능을 더 상세하게 분류한 다음에 더 구체적으로 한국어 부사격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의미 기능에 따라 한중 대조 연구를 하였다. 한국어 부사격조사 '에'는 장소나 대상의 의미 기능에 따라 '에1, 에2'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국어 개사는 장소의 의미로 한국어 조사'에'와 같이 분류된 방식에서 '在'종류, 대상의 의미로 한국어 조사 '에게'와 같이 분류된 방식에서 '给'종류를 나누어 일일이 알아봤다. 한국어 부사격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비교를 통해 차이점을 더 명확하게 규명하였다. 한중 대조 연구 그리고 학습에 대한 이해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한다.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목적을 진술하여, 연구 대상인 '에, 에서, 에게'와 개사 '在종류'와 '给종류'에 관한 선행연구를 본 다음에 대조 연구까지 살펴본 후에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3장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한국어 부사격조사와 중국어 개사에 관한 이론 배경을 찾아낼 것이다. 한국어 부사격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개념과 범위를 정의한 다음에 지금까지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특징,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부사격조사 '에'는 두 가지로 나누어 각 '에서'와 '에게'의 같은 의미로 분류하였다. '에1, 에서'와 '에2, 에게'인 한국어 부사격조사, 그리고 중국어 개사 '在'와 '给' 중에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본 다음에 한국어 소설 《82년생 김지영》과 한국 드라마《별에서 온 그대》또 각 중국어 번역본에서 주로 어떤 형식으로 출현하고 어떤 의미로 나타내는 것을 찾아보아 문어 측면과 구어 측면에서 일일이 한국어 부사격조사와 중국어 개사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먼저 텍스트에서 나오는 한국어 부사격조사 '에, 에서, 에게'의 출현한 경우를 찾아냈다. 그 다음에 정리한 자료 중에서 각 의미 기능의 양상도 보았다. '에'의 의미 기능은 두 가지로 나누어 '에1, 에2'의 의미 기능을 일일이 찾아내며 정리할 것이다. 이를 통해 ‘에1, 에서', '에2, 에게’는 한국어 구문에서 나오는 용법을 파악한 후에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찾아냈다. 4장에서는 앞에 정리한 의미별로 한국어 부사격조사와 중국어 개사를 대조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의미 기능을 정리한 후에 '장소, 시간, 범위, 원인, 대상, 비교, 도구' 7가지 의미 기능에 따라 각각 한국어 부사격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출현 양상을 찾아내 이를 통하여 한국어 부사격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차이점을 다시 검토하였다. 중국어 개사의 품사 특징이 특이하기 때문에 한중의 대응 양상도 같은 것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어 대부분 개사는 동사로부터 변천해 왔으므로 지금까지 동사의 품사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어떤 경우에서 한국어 조사의 대응하는 중국어는 개사가 아니라 동사였다는 것이다. 또는 같은 의미를 가지기는 하면 차이점이 있다는 법이다. 각 의미별로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과 중국어 표현을 찾아내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을 내렸다. 또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혔다. ;This article takes the Korean adverbial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which have many controversies, as the research objects, and intends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by observing their respective usages. So fa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Korean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including their comparative studies. However, it has not been able to comprehensively studied according to categories of meaning, and this article has supplemented this. After classifying the semantic functions,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dverbial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has been conducted. Among them, the Korean locative auxiliary word'에' was divided into'에1, 에2' according to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place and the object. According to the same classification method, Chinese prepositions are divided into ‘在(Zai)’ and ‘给(Gei)’. Through the comparison of Korean prepositional particles and Chinese prepositions, the differences are more clearly showed. I hope it will be helpful for Korean-Chinese comparative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Korean learning.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has been clarified, and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related to '에,에서,에게' and the Chinese prepositions'在(Zai)' and'给(Gei)'also the selection of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methods can be learned.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is found in order to explain the content of the third chapter better. After defining the concepts and scope of Korean particles and Chinese prepositions, the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particles and Chinese prepositions have been proposed. In the third chapter, the Korean adverb case auxiliary word ‘에’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ame semantic function as the adverb case auxiliary word ‘에서, 에게'. The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he attributes of Korean adverb case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are learned. And then the way they appeared In Korean novels [Jin Zhiying was born in 1982] and Korean dramas [You who came from the Stars] is showed and meanwhile find out what semantic function they have. First this part will sort out the Korean locative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that appeared in the material, and then find the corresponding semantic functions from the organized materials and through this find out the specific usage of Korean adverbial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in sentences. In Chapter four,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emantic functions sorted out above, divide them into six situations of ‘location, time, scope, reason, object, comparison, and method’ also discu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uxiliary words and Chinese prepositions again. Because part of characteristics of Chinese prepositions are very special, there must be differences in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st of the prepositions in Chinese are derived from verbs, because of this many Chinese prepositions still have part of features of verbs, so Korean auxiliary words may not correspond to Chinese prepositions but verbs in some circumstances. And there must be some differences even they have the same semantic function, so studying the way of expression of those auxiliary words is a necess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