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한국어 ‘괜찮다’와 미얀마어 대응 표현의 화용적 의미 비교 연구

Title
한국어 ‘괜찮다’와 미얀마어 대응 표현의 화용적 의미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agmatic meaning of Korean ‘Gwen.chan.da’ and Myanmar corresponding expression
Authors
KHIN, THIDAR KYAW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평가 형용사에 속한 ‘괜찮다’와 미얀마어 대응 표현을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그에 따른 양국 언어의 의미 기능 및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괜찮다’와 미얀마어 대응 표현의 단순한 사전적인 어휘의 의미가 아닌, 대화나 맥락 속에 존재하는 어휘의 화용적 의미 기능에 집중하여 논의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과 관련된 선행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검토된 선행 연구에서의 부족한 점과 화용론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논의의 전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한국어 ‘괜찮다’와 의미가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의 화용적 의미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평가 형용사의 의미와 특징까지 알아보았다. 한국어 형용사는 성질이나 상태를 표시하는 품사이며, 미얀마어에서는 ‘형용사’라는 개념은 명사를 수식하는 것으로만 정의되어 있는 점이 나타나 개념상 한국어와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한국어‘괜찮다’와 의미가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들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살펴본 결과 한국어 ‘괜찮다’는 구체적으로 네 가지 의미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의미에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적인 의미는 각각 간단한 의미 한가지로만 확인이 되었다. 연구 대상의 기본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구체적인 화용적 의미 항목을 제시할 수 없어서, 한국어 ‘괜찮다’에 대해서는 국어 말뭉치 자료를, 미얀마어 표현 세 가지에 대해서는 Myanmar Wiktionary를 조사하여 화용적 의미 기능 항목을 정하였다. 4장에서는 앞장에서 분석한 양국의 화용적 의미 항목별로 본격적인 비교 논의를 시작하였다. 논의할 때는 미얀마어로 번역된 한국 드라마 총 193개에서 나온 드라마 대사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된 대화문을 중심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한국어 ‘괜찮다’ 와 의미가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들의 화용적 의미 기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 과정을 통해 한국어 평가 형용사 ‘괜찮다’는 주는 말에서 ‘확인하기, 평가(구)하기, 허락(구)하기, 비난하기’로, 받는 말에서는 ‘의견 말하기, 안심시키기, 수락하기, 거절하기, 감정 말하기’로 나타났다. 미얀마어 대응 표현 세 가지는 한국어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받는 말에서는 한국어에 없는 ‘인사히기’ 기능이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한국인 미얀마어 학습자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평가 형용사 ‘괜찮다’와 미얀마어 대응 표현들의 화용적 의미 측면에서의 특징 및 공통점과 차이점을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을 재확인하고 논의를 통해 발견된 점을 토대로, 실제 한국어와 미얀마어 학습에 유의미한 제언을 함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Gwen.chan.da’, the Korean adjective, with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in Myanmar, and to analyze the pragmatic competence of the expressions. The study focuses on the pragmatics of the characteristics in Myanmar corresponding to ‘Gwen.chan.da’.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bject, and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 are presented. In chapter 2, the deficiencie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agmatic theory are defined. In order to find out the pragmatic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the meanings and signs of the expression in Myanmar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and sign of the ‘Gwen.chan.da’ in Korean is defined and analyzed. The adjectives in Korean Language are part of a speech and they express their sign and context. In Myanmar, the adjectives of the Language define the quality of the noun which they are attached to. In chapter 3, the characteristics in Myanmar which correspond to ‘Gwen.chan.da’ in Korean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Dictionary, the literal meaning of ‘Gwen.chan.da’ can be identified in four specific meanings. There are three Myanmar characteristics that correspond to the literal meanings out of specific four meaning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orpus and Myanmar Wiktionary are references. In Chapter 4, the expressions and contexts of the characteristics of Myanmar and the Korean ‘Gwen.chan.da’ are compared thoroughly to analyze the pragmatic competence of the characteristics. The dialogues, the usages of the characteristics are translated to Myanmar and 193 Korean movies are being referenced. ‘Gwen.chan.da’ is used for ‘checking, evaluating, allowing, and criticizing’, if the characteristic is used by the speaker in his or her initiated talk. But it is used for ‘expressing opinions, relieving anxiety, accepting rejection ,and expressing emotions’, if the characteristic is used by the responder in his or her response to the speaker’s talk. The characteristics of Myanmar can be expressed of the above situations but the expression used in ‘greetings’ is not found in Korean. In conclusion,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Myanmar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Gwen.chan.da’ are inferred in pragmatic terms. The findings, references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ll learners of both langua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