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한·중 명령문의 대조 연구

Title
한·중 명령문의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imper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Authors
LANG, WANSU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명령문은 기지고 있는 특정적인 의미와 기능 때문에 문장 유형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명령문의 범주, 실현 양상의 특성 그리고 간접 명령문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하여 서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제Ⅰ장에서는 본문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에 대하여 검토하고 연구 이론과 방법을 제시한다. 제Ⅱ장은 A절에서 본문의 연구 대상을 상정하고 명령문의 범주를 확인할 때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명령의 적정조건을 검토하였다. B절에서 한·중 명령문의 범주를 정식적으로 검토하였다. 한·중 문장 유형의 종류는 일치하지 않지만 양자가 명령문의 종결어미나 어기를 마련되는 문장들은 협박, 경고, 위협 등 의미를 표현할 때 명령의 적정조건에 위배하므로 명령문의 계열에서 제외하며, 평서문, 의문문, 청유문, 감탄문이 명령의 의미를 표현할 때 간접 명령문으로 간주한다. 제Ⅲ장에서는 명령문의 실현 양상의 특성에 대해 대조분석을 하였다. A절에서 양국 긍정 명령문 주어의 특성과 생략 조건을 검토하고 대조 분석을 하여 그 중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한국어에 대해 주로 명령문의 서술어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동사와 형용사의 특성을 검토하고, 중국어에 대해 주로 서술어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동사와 형용사 및 몇 가지 대표적인 동사 구조와 형용사 구조를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어 명령문의 종결어미의 목록과 억양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어미의 기능을 고찰하였다. 중국어의 명령어미는 주로 어지조사로 표현하며, 이 절에서 명령형 어기조사 '吧', '啊', '了'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B절에서 양국 명령문의 부정 표시의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이절에서 중국어의 억양은 문법책에 쓰게 된 '어조'라는 용어를 쓴다. 제Ⅳ장에서는 한·중 간접 명령문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하였다. A절에서 설의 간접 발화행위를 고찰하였다. 간접 명령문은 의문문으로 예를 들어 진문의 발화수반효력을 수행하지 않고 명령이나 요청의 발화수반효력을 수행되는 것이다. B절에서 한국어에서 간접 명령문으로 쓰게 되는 의문문, 평서문, 청유문, 감탄문과 중국어에서 간접 명령문으로 쓰게 되는 의문문, 평서문, 감탄문을 살펴보고 대조 분석하였다.;Imperative sentences occupy an important place in sentence types because of the sentence structure and meaning function they have. In this study, we reveal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mperative sentences through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categories, characteristics of implementations, and indirect imperative sentences. Chapter One mainly discuss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situ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object and methods are also described. Chapter Two define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in section A and in order to provide evidence for determining the category of the imperative sentence I examined the felicity condition of the directive. Section B formally considered the categories of Korean and Chinese imperative sentences. Although the types of Korean and Chinese sentences do not match, the sentences with the ending or mood of the imperative sentence in the two countries violate the felicity condition of the directive when expressing the meaning of intimidation, warning or threat, so they are excluded from the imperative sentence. Declarative Sentence, interrogative sentence, request sentence, or exclamatory sentences is considered an indirect imperative sentence when expressing the meaning of a directive. Chapter Three is the analysis of the Korean and Chinese structural features of the imperative sentence. Section A reviews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and ellipsis conditions of the two countries' affirmative imperative sentences and reveal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verbs and adjectives that can be used as the predicate of imperative sentences in Korean, verbs and adjectives that can be used as the predicate of imperative sentences in Chinese, as well as several representative verb and adjective structures. It also examined the list of endings and intonation in Korean imperative sentences, as well as the function of several representative terminal endings. The imperative endings in Chinese are mainly represented by modal particles. This section examines the functions of the imperative modal particles '吧', '啊', and '了'. Section B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negative imperative sentences in the two countries. In this section, the Chinese intonation uses the term '語調(어조)' in grammar books. Chapter Four compares and analyzes the indirect imperative sent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ection A examines Searle's theory of indirect speech act. Indirect imperatives, for example, interrogative sentences, which function not as questions but act as commands or requests illocutionary force. In Section B, we examine and compare the situation of declarative sentence, interrogative sentence, request sentence, or exclamatory sentences as indirect imper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the situation of declarative sentence, interrogative sentence and exclamatory sentences as indirect imperative sentences in Chine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