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5 Download: 0

현대시 리듬 교육 내용 연구

Title
현대시 리듬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Rhythm of Modern Poetry
Authors
임선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The musicality of poetry i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poetry, and rhythm is the poetic device that embodies the musicality. Therefore, education on the musicality of poetry is important in poetry education, and is recognized as one of the core educational content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education regarding this is being conducted fully in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In this study, contents related to the musicality of poetry in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were examined critically, and alternatives were suggested focusing on ‘rhythm’. When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cover contents about prosody, the musicality of poetry has been defined in a rather vague expression or described as different in each textbook.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xpanded educational concept regarding the musicality of poetry than the present concept. In this study, ‘rhythm’ was set as a superordinate concept including existing prosody, and both the problem of irregularity which was difficult to be dealt with the present concept of prosody, and the aspect that the rhythm is constructed by readers were covered.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prosod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ve some limitations in the view of the comprehensive rhythm concept mentioned above. First of all, the musicality of poetry by prosodic elements is presented too simply or fragmentally, so it can be said that education on the musicality of poetry is not being done enough. Particularly, education to understand rhythm as an organic combination of content and form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hythm and content such as subject matters and emotion is not provided. And another limitation is shown that explanation of prosody is mainly presented as regular repetitive structure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contents about a rhythm based on a syntactic structure that goes beyond the repetition of phonological or morphological units, and the rhythm formed by illocutionary elements such as line, stanza, and punctuation is hardly cover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newly establish the concept of rhythm and design th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ly. While understanding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poetic language, the new rhythm education begins with positioning as an important part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meaning of poetry, not merely understanding rhythm as a formal device or technique. Additionally, the direction of the new rhythm education could be more substantively organized by specifying the rhythm based on prosodic elements, on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on the illocutionary elemen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dentified in the past analysis of textbook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prosody in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attempted to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and contents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rhythm'. There might be some limitations in this study that the validity of this direction setting and the adequacy of content design were not examined at every level through application to classroom fields. However, this study can be a stimulus to active discussions in this field by finding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oetry education in which the musicality of poetry has been taught restrictively and monotonously, and reconstructing the content of poetry education with the re-established concept of 'rhythm'. It is anticipated that the education on the musicality of poetry will be more systemized through follow-up studies that can increase the density and diversity of educational content on rhythm.;시의 음악성은 시의 본질적 특성이며 리듬은 그것을 구현하는 시적 장치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의 음악성에 관한 교육은 시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며, 중핵적 교육 내용의 하나로 인식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국어 교과서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 연구는 현재 국어과의 교과서들이 제시하고 있는 시의 음악성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리듬’을 중심으로 그 대안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행 국어과의 교과서들은 운율 관련 내용을 구성하면서 시의 음악성 관련 내용을 다소 모호한 표현으로 규정하거나, 교과서마다 상이한 요소들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의 음악성에 관하여 현재보다 더 확장된 교육용 개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운율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리듬’을 설정하되, 기존 운율 개념으로 담아 내기 어려웠던 불규칙성의 문제와, 독자에 의해 구성되는 리듬이라는 측면까지를 포괄하여 다루고자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들의 운율 관련 교육 내용은 위에서 언급한 포괄적 리듬 개념으로 살펴볼 때 몇 가지 한계를 가진다. 우선 운율적 요소에 의한 음악성이 지나치게 단순하게 제시되거나,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어 시의 음악성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특히 주제 의식이나 정서 등의 내용적 측면과 리듬 간의 관계를 살펴서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결합 차원으로 리듬을 이해하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운율 관련 내용 설명도 주로 규칙적인 반복 구조에 한정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 다른 한계는 비운율적인 요소에 의한 음악성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음운이나 형태 단위의 반복을 넘어서는 통사 구조에 기반한 리듬에 대한 내용을 찾기 어려우며, 시행과 연, 구두점과 같은 비언표적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리듬 역시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존 국어과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리듬 개념을 새롭게 확립하고, 그에 따른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새로운 리듬 교육은 시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는 가운데, 리듬을 단지 형식적 장치나 기교 차원으로 이해하지 않고, 시의 의미 실현에 관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는 데에서 온전히 시작된다. 또한 기존 교과서 분석에서 확인하였던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운율적 요소에 기반한 리듬, 통사 구조에 기반한 리듬, 비언표적 요소에 기반한 리듬에 관한 내용을 구체화함으로써 새로운 리듬 교육의 방향을 보다 내실 있게 체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국어과 교과서의 운율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리듬’ 개념을 중심으로 그 대안적 방향과 내용의 구체화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방향 설정의 타당성과 내용 설계의 적절성을 교실 현장에의 적용을 통해 다각도로 검토하지 않은 점에서 이 연구는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시의 음악성에 대해 제한적이고 단조롭게 가르쳐 왔던 기존 시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새로운 ‘리듬’ 개념을 바탕으로 시 교육의 내용을 재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이 분야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리듬에 대한 교육 내용의 밀도를 높이고 다양성을 더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을 통해 시의 음악성에 대한 교육이 더욱 체계화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