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내용 시각화법을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 연구

Title
내용 시각화법을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Reading Education Using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Authors
ZHOU, XIAOMI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텍스트와 독자 요인이 읽기 교육에서의 중요하다는 점에 입각하여, 텍스트 내용 구조에 대한 독자의 텍스트 이해 과정을 가시화하기 위해 ‘내용 시각화법’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텍스트 읽기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텍스트 구조에 대한 이해가 독해 능력 및 내용 회상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읽기 학습에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오래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한 한국어 읽기 교육은 도해 조직자나 의미구조도 등 다소 전형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이에 텍스트 내용 구조에 대한 새로운 읽기 교육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한편, 읽기의 주체인 독자가 텍스트를 읽는 과정을 확인할 수 없다는 지점에서 교사들이 읽기 지도에 어려움을 다소 겪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텍스트 내용 구조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과정을 가시화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과 실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텍스트 내용 구조를 이해하는 과정을 가시화하는 방법으로 ‘내용 시각화법’을 제안하고, 내용 구조 중심의 읽기 교육 문제점을 밝히고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시각화 양상, 특징 및 문제점을 바탕으로 내용 시각화법을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읽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Ⅰ장에서는 모국어 교육과 L2 교육 영역에서 텍스트 내용 구조와 내용 시각화법을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왔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텍스트 내용 구조의 개념 변화, 위계 및 유형, 텍스트 내용 구조 중심의 한국어 읽기 교육 현황을 살피고, 다음으로 내용 시각화법의 개념 및 특징, 유형 및 기능, 그리고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내용 시각화법 활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읽기 영역에서 텍스트 내용 구조 교육의 문제점으로 첫째, 한국어 교육에서는 텍스트 구조를 상대적으로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지 않다는 점, 둘째, 특정한 텍스트 구조에 의존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는 점, 셋째, 텍스트 구조를 바탕으로 하는 요약하기 활동에 그치고 있다는 점, 넷째, 개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제한적 방식의 도식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내용 시각화법’을 제안하였다. ‘비주얼 씽킹’을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실현하는 일환에서, 내용 시각화법과 유관 개념 간의 개념 차이를 논하였으며, 내용 시각화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호와 기본 레이아웃을 확인하였다. 이에 ‘내용 표현’과 ‘내용 연결’, ‘내용 강조’, ‘내용 대응’, ‘순서 배열’, ‘집합 및 분해’, ‘방향 제시’와 같은 기본 기호의 기능을, 그리고 ‘버블(Bubble)형’과 ‘트리(Tree)형’, ‘플로우(Flow)형’, ‘매트릭스(Matrix)형’과 같은 기본 레이아웃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 시각화법이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가지는 의의와 활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Ⅲ장에서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 12명에게 서로 다른 구조의 텍스트 4편을 제시하고 이를 각각 어떻게 시각화하였는지를 관찰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시각화 결과물과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내용 시각화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양상 및 특징,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기능별 기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그중 ‘내용 표현’과 ‘내용 연결’, ‘순서 배열’과 ‘집합 및 분해’ 기호를 특히 많이 사용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내용 구조 반영 측면에서 학습자들이 레이아웃 사용에 있어 각 구조에 사용하는 레이아웃 유형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심 내용 파악 측면에서는 친숙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텍스트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단어·구·절·문장 등 다양한 형식으로 내용을 요약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시각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시각화 기호 사용 측면에서 기호 사용과 모국어 학습 습관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과 개별 기능 기호 사용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레이아웃을 사용할 때 학습자들이 다양한 레이아웃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있다는 점, 각 요소 간의 범주를 파악하여 층위에 맞게 배열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 자유형 레이아웃을 사용할 때 임의적으로 내용을 배열한다는 점, 그리고 중심 내용을 선별하여야 한다는 인식과 이러한 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시각화를 통한 텍스트 이해 측면에서의 특징으로 중심 내용을 서술하는 순서가 다양하다는 점, 텍스트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시각화를 능숙하게 한다는 점, 학습자들이 시각화 활동이 텍스트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내용 시각화법에 대한 학습 경험의 부족과 시각화 대상 선정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요약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시각화 전략 사용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이 시각화 전·중·후 과정에서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밝혔다. 문제점으로는 첫째, 시각화 전략을 계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 둘째, 텍스트 내용 구조에 따라 전략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 셋째, 시각화 결과물과 작성 과정을 점검하고자 하는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 넷째, 개인 생각을 활성화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텍스트 구조 파악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므로 내용 시각화법을 활용에 많은 문제점이 초래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논의와 Ⅲ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 시각화법을 활용한 한국어 텍스트 읽기 교육 목표와 원리, 내용을 마련하고 교수·학습의 실제를 구체화하였다. 먼저 교육 목표로 내용 구조 파악과 내용 시각화법에 대한 이해 및 전략 사용을 제시하였고, 교육 내용 측면과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교육 원리를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시각화 전·중·후 단계에 따라 시각화 전략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밝히며, 후속 연구의 가능성과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어 읽기 영역에서 텍스트 내용 구조를 중심으로 한 읽기 교육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는 점, 그리고 내용 시각화 활용 양상 및 문제점을 밝힘으로써 내용 시각화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방안을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교수・학습 현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기를, 추후 더 많은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make readers' understanding process of text structure clear, put forward a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and develop a learner-centered Korean text read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mportance of text and reader factors in reading education. Understanding text structure can not only enhance reading comprehension and content recall ability, but also increase reading fluency and the researches of it have been going on for a long time. However, the existing Korean reading education centered on text structure has been developed in more or less simple and stereotyped forms, such as Graphic Organizers and Semantic Maps, so it is urgent to develop a new reading education method aiming at text meaning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teach reading because the reading process of readers, the subject of reading, is invisible. So,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and practice the process of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meaning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as a way to visualize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ing the textual meaning structure, and developed read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visualizing main idea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To this end, Chapter Ⅰ first examined how to deal with text meaning structure and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in the field of mother tongue education and L2 education, and on this basis confirm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Chapter Ⅱ firstly observed the concept changes, types of text meaning structure,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reading education centered on text meaning structure and then confirm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types and functions of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as well as the necessity of using it in Korean read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reading, the problems of text meaning structur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ext meaning structure is not regarded as a relatively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ly, the way of education always relies on specific structure. Thirdly, it is always the summarizing activity based on the textual structure. Fourthly,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are not taken into account and the way of education is limited. In this study,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is proposed as a solu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realize “visual thinking” in Korean reading education,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related concepts were discussed, and the symbols and basic layouts that could be used in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were confirmed. In this regard, some basic symbolic functions, such as “content expression” and “content connection”, “content highlighting”, “content correspondence”, “sequence arrangement”, “collection and decomposition”, “direction hint”, and some basic layout types, such as “Bubble”, “Tree”, “Flow” and “Matrix”, were propos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content visualization in Korean reading education were emphasized. Chapter III presented four texts of different structures to 12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observed how they were visualized, and analyzed the visualizing results and interview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eading Korean using Visualizing method. The results confirmed that learners actively used various functional symbols, among which the symbols of “content expression” and “content connection”, “sequence arrangement” and “collection and decomposition” were particularly prevalent. In terms of reflection of meaning structure,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used different types of layout when visualizing the text structure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ummarizing the central content, students did not have much difficulty in summarizing the central content of texts with familiar themes, and they summarized the content in various forms such as words, sentences, sections and sentences. Next,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are pointed out. First of all, in the use of visual symbols, the situ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learning habits of the mother tongue and the problems of individual functional symbols is confirmed. And for layouts, the characteristic is that learners had the awareness of actively using multiple layouts,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learners' lack of ability to grasp the category of each element and arrange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hierarchy, the random arrangement of the content when using the free type layout, and the lack of the awareness or ability to identify the central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text through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are that the better learners understand the text, the more adept they are at visualizing it and they believe that visual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ext comprehension. In addition, It is also confirmed that learners have insufficient learning experience in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and have difficulties in the selection of visual objects and summarizing the central content of texts. Finally, in terms of the use of visualization strategy, what kind of strategies learners used in the pre-, mid- and post-Visualizing stages is clarified. Th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lack of awareness of using visualization strategy in a planned way; Second,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elective use of strategy according to the text content structure; Third,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inspection of visual results and development process; Fourth, the lack of ability to activate personal thinking.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learners are not taught enough to grasp the structure of the text, resulting in many problems in the use of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examined in Chapter II and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in Chapter III, Chapter IV discussed educational content and program of reading Korean text using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First of all, the educational goal is to understand text meaning structure and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then to use strategies proficiently. And the principles of education are divided into the aspect of education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visualizing strategy education focused on "planning” and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 mid-, and post-visualizing stages are prepared to organize the educational program. Finally, Chapter V comprehensively looks into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clarif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uts forward the possibility of further research.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by identifying the existing problems in reading education centered on text meaning structure in the field of Korean reading and developing reading educational content using visualizing method of main idea based on revealing aspects and problems of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field of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and further discussion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