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상호텍스트적 관계 형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상호텍스트적 관계 형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Focusing on Creating intertextual relationship for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Authors
XU, ZHE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외국어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현대시 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에게 현대시 학습은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한국 현대시의 언어 특징과 함께 현대시에 나타난 문화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을 다루기에는 현행 한국어 고급교재에 수록된 현대시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경험한 한국 현대시 교육 대부분은 교사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라는 문제도 존재한다. 이런 상황을 인식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가 지닌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현대시 교육을 설계하고자 한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현대시 교육에서 중국인 고급 학습자가 당면하는 현대시 학습의 어려움을 탐색하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현대시 교육 측면에서 한·중 현대시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형성이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학습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셋째는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해 새로운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현대시 작품과 현대시에 관한 학습활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를 분석한 뒤 마지막으로 한국 각 대학에서 출판한 한국어 고급교재에 수록된 한국 현대시를 제시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학습 시간과 언어 능력의 두 측면에서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에 대해 정의했다. 그 다음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가 당면하는 현대시 학습의 어려움과 특징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지닌 중국 현대시에 대한 지식과 경험 자체가 학습 과정에서 장점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Ⅱ장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의 개념 및 발전 과정을 제시했다. 주로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제라르 주네트(Gerard Genette)에 대한 소개를 통해 상호텍스트성 이론의 발전 과정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 장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의 유형을 창작 측면의 상호텍스트성과 수용 측면의 상호텍스트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중국의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중국인 학습자가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교육방식에 대해 익숙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Ⅲ장에서는 Ⅰ장에서 제시한 한국 현대시와 상호텍스트적 관련성이 있는 중국 현대시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비교 분석을 위해 한·중 현대시가 화자, 주제, 수사 측면에서 형성되는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이런 상호텍스트적 관계의 형성이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이해에 미치는 작용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한·중 현대시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형성에 기반한 현대시 교육을 설계하였다. 이 장에서는 한·중 현대시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형성의 주체가 학습자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지닌 중국 현대시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교육 내용도 설계하였다. 이어서 화자, 주제, 수사 측면에서 출발하여 상호텍스트적 관계를 갖고 있는 한·중 현대시 작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선정한 한·중 현대시 작품을 대상으로 학습활동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계기로 향후 한·중 현대시의 상호텍스트적 관계 형성에 기반한 현대시 교육이 활발하게 실시되고, 이로써 중국 학습자의 현대시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people gradually realize the importance of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But for Chinese Korean learners, Korean modern poetry is not simple.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poetry and the cultural connotations embodied in Korean modern poetry all affect the Chinese Korean learners’ study. And looking through the current advanced Korean textbooks, we can find that the number of Korean modern poems is very small. Moreover, most of the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experienced by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is teacher-led cramming educ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with a learner-centered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that can give full play to the advantages of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first chapter explains the three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purpose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will encounter in learning Korean modern poetry. The second is to explore the effect of creating intertext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dern poetry on the study of Korean modern poetry by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third is to provide more Korean modern poems and related learning activities for researchers who develop new textbooks for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In addition, the first chapter of this study also discovers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poems included in the advanced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presses of many Korean universities. In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defines the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in terms of learning time and language ability. Then the difficulti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poetry learning by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questionnaires. It is found that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and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modern poetry is an advantage that learners from other countries do not have. In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also shows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textuality theor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Julia Kristeva, Roland Barthes, Jacques Derrida, Gerard Genette. Then this study divides intertextuality into two perspectives: the author's composition and the learner's reception. Finally, by displaying the contents related to intertextuality in Chinese educational curriculum, this chapter puts forward the view that Chinese learners are familiar with the educational methods of active use of intertextuality. The third chapter displays the Chinese modern poetry which is related to the Korean modern poetry mentioned in the first chapter. Through the specific comparative analysi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Korean and Chinese modern poetry can form an intertextual relationship in terms of speakers, themes, and rhetorical devices. The chapter also shows the effect of creating intertextual relationship on learners’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poetry. The fourth chapter designs the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based on creating intertext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dern poetry. First, this chapter proposes that the subject who creates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dern poetry is the learner. Then, from the perspectives of speakers, themes, and rhetorical devices, the specific Korean and Chinese modern poetry is selected. Finally, a learning activity i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ly selected works of Korean and Chinese modern poetry. It is hoped that in the future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Modern Korean poetry education based on tcreating intertext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dern poetry can be actively implemented and help learners in their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