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Title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he Pansori Nove ‘Hwa yong do’ : Focused on Chinese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uthors
SUN, BIYANG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고전문학 작품인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를 활용해서 한국어 문화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환경 속에서, 더욱 높은 단계에 도달하고 싶은 고급 학습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진행할 것이다. 한국어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게 되면서 교육현장에서 한국의 고전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교육하는 경우도 많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발전 방향에 따라 한국의 고전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보다 한국어 문화 교육현장에서 더욱 새롭고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고전문학 갈래에서 특색이 있는 판소리계 소설을 활용함으로써 그 작품 속에 한국 문화적 배경을 갖는 언어표현을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심층적 문화 지식을 습득하고 한국인의 정서와 관습을 이해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의 언어문화, 전통문화, 제도문화 등 문화 지식을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의 차이를 느끼고 보다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에서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하기 위해 우선 중국 대학 내 한국어 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한 뒤, 판소리계 소설의 특수성을 밝혀 중국인 고급 학습자에게 적합한 작품을 선정하여야 하는 것을 토대로 고급 학습자들에게 《화용도》를 활용한 문화 교육의 수업 모형을 마련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논의한 뒤,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고전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에서 판소리계 소설 교육 연구 및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에 관련된 연구 등 세 측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판소리계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현행 한국어 문화 교육에서는 고전문학 교육, 특히 판소리계 소설 교육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의 교육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중국 대학 내 사용한 교재와 교수 과목을 분석함에 따라 한국어 문화 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였고, 이어서 한국어 문화 교육에서 존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어 문화 교육에 있어서 고전소설 교육의 필요성 및 의의를 밝혔다. 나아가 한국어 문화 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고전소설 갈래 중 특색이 가지는 판소리계 소설의 특성을 살피고 이를 활용해서 교육하는 장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판소리계 소설 작품 중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친근감이 있는 작품인 《화용도》의 교육 가능성과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Ⅲ장은 《화용도》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하여 먼저 이 작품에 있어서 문화 내용을 고찰하였다. 《화용도》 교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우선 《화용도》 자체 형성 및 원작인 《삼국지연의》와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문화 교육에서 《화용도》가 존재한 큰 교육 가치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화용도》가 많은 이본이 있으나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가장 적합한 박순호 소장 42장본 《화용도》를 교재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이미 선정한 이 판본을 대상으로 그중에 담기는 교육할 만한 문화 요소를 고찰하였다. 《화용도》에서 가장 대표적인 대목인 ‘군사 설움 대목’을 중심으로 그 부분에 담기는 한국 문화를 크게 언어문화, 전통문화와 제도문화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을 뿐만 아니라 판소리계 소설과 긴밀한 관계가 있는 판소리 문화도 한 교육 요소로 설정하였다. 그 가운데 언어문화를 경어법, 의성어·의태어, 속담 등으로 나누어 살피고 전통문화를 한국인의 가치관, 의식문화, 혼례문화 등으로 나누었고 제도문화를 종교문화 및 제도·경제 등 기타 제도문화 등으로 나누었으며 구체적으로 문화 요소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화용도》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의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하였다. 그 전에 먼저 《화용도》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의 목표와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음에 따라 교육 방향을 논의하였다. 또한, 《화용도》를 활용해서 한국의 전통문화와 제도문화를 가르칠 때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적 학습에 더욱 주목하고자 하였고 영상을 활용함으로써 한국의 판소리 문화를 깊게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화용도》의 일부를 발췌하여 텍스트로써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의성어·의태어, 한국의 ‘효’ 문화, 한국 당시의 종교문화와 한국의 판소리 문화를 가르치며 단계별로 구체적인 수업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행 한국어 문화 교육에서 활용하지 않았던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를 교재로 교육할 가능성을 보여 주고 이를 활용해서 한국어 문화 교육의 교육 방법과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 설계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단계여서 다소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 문화 교육에서 판소리계 소설 《화용도》를 제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탐색하고, 한국어 문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문화 교육에 있어서 《화용도》를 비롯한 판소리계 소설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rget Chinese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use the Pansori novel “Hwa yong do”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explore an effective teaching model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meet the needs of high-level learners in an environment wher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paying more and more attention to cultural education. With more and more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there are more and more cases of u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or education at the educational scene. Therefore, according to this development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us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create a newer and more effective teaching mode in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scen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use of distinctive Pansori novels, you can not only master the language expressions with Korean cultural background in the works, but also master the deep cultural knowledge of Korea and understand the emotions and habits of Koreans. In this process, Chinese learners can comprehensively learn Korean language, culture, traditional culture, institutional culture and other cultural knowledge, feel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 and learn more interestingly and have important meaning.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model using Pansori novel “Hwa yong do”,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hen clarifies the particularity of the Pansori novel. Based on the selection of works suitable for advanced Chinese Korean learners, a cultural education teaching model using the “Hwa yong do” is prepared for advanced Chinese Korean learners. In Chapter I, discusses the research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then studies the preliminary research. This part mainly examines three aspects: cultural education research on the use of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ducation research on Pansori nove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lated research on the Pansori novel “Hwa yong do”. In Chapter II, we learned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using Pansori novels. Among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especially the education of Pansori novels, and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the Pansori novel “Hwa yong do”. Therefore, by analyzing th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subjects used in Chinese universitie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are investigated,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are explain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we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novel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the classical novel branch, and observed the advantages of using it for education. From this, we explored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Hwa yong do” in Pansori novels, which is intimacy to Chinese learners. In Chapter III, first examines the cultural content of the work in order to use “Hwa yong do” for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Since there is no realization of the education-related research of “Hwa yong do”, the formation of “Hwa yong do” itself and the difference with the original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re first investigat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e huge educational value of “Hwa yong do” in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aimed at Chinese learners.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many editions of “Hwa yong do”,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42-chapter “Hwa yong do” collected by Park, Sunho was selected as the teaching material. Therefore, with the selected version as the object, the cultural elements worthy of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Focusing on the most representative part “Soldier's sorrows” in “Hwa yong do”, the Korean culture contained in it is roughly divided into three parts: language culture, traditional culture, and institutional culture. In addition, it is related to the Pansori novels. The closely related Pansori culture is also set as an element of education. Among them, language culture is divided into honorific grammar, onomatopoeia, mimetic words, proverbs, etc. Traditional culture is divided into Korean values, consciousness culture, wedding culture, etc. And system culture is divided into religious culture and other systems culture such as system, economy, etc. from which we have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elements in this part. Chapter IV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Chapter III, and explores the specific teaching mode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using “Hwa yong do”. Prior to this, first proposed the goal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using “Hwa yong do”, and discuss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based on this. In addition, when using “Hwa yong do” to teach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nstitutional culture, I hop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cultural learning skills of learners, and through the use of images, students can deeply feel Korean Pansori culture. Based on this discussion, a part of the content of “Hwa yong do” was extracted as the text, and the learners were taught Kore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Korean culture of ‘filial duty’, Korean religious culture at the time, and Korean Pansori Culture, and put forward specific teaching content in stages.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ansori novel “Hwa yong do”, which has not been implement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as a teaching material, and uses it to develop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ing models for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However, the teaching design proposed in this research has not been applied in actual teaching, and the teaching effect of the actual design has not yet been verified. From this we can se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But even so, in the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the Pansori novel “Hwa yong do” was explored and used as a new teaching material for the first time, so I wanted to fi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from it. It is hope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in the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helpful for teaching and learning using Pansori novels such as “Hwa yong d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