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사실과 허구적 요소를 중심으로 본 자크 모노리(Jacques Monory) 작품의 내러티브 연구

Title
사실과 허구적 요소를 중심으로 본 자크 모노리(Jacques Monory) 작품의 내러티브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arrative in Jacques Monory’s Works with a Focus on Real and Fictional Elements
Authors
윤한솔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연구는 자크 모노리(Jacques Monory, 1924~2018)의 전 작업을 관통하는 공통적 요소인 사실과 허구적 요소를 활용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그의 작품에 나타난 내러티브를 분석한 연구이다. 프랑스 신구상회화 작가 중 한 명이었던 모노리는 프랑스 사회의 급격한 성장과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그 속에서 발전했던 대중 매체의 속성을 이용하여 그가 목격한 현실을 담아내고자 했던 화가이다. 모노리는 무수히 쏟아지는 이미지에 의해 지배되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 현실의 모습을 사실이 아닌 것처럼 표현하거나, 허구적인 이미지들을 현실인 것처럼 느껴지게 표현하는 방식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일상의 삶과 현실의 리얼리티를 나타내고자 했다. 내용의 전개에서는, 모노리의 전 시기에 걸친 작품을 분석하면서 그의 작품 속 내러티브의 양상을 사실과 허구, 현실과 비현실과 같은 대립적인 요소의 활용방식을 통해 자신이 목격한 현실의 모습을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950년대 추상화의 지배 속에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던 모노리는 초기에는 추상화를 제작했으나, 전후 추상미술에 대한 반발로 구상성을 보이는 새로운 미술사조가 등장했던 1960년대부터는 그 흐름에 발맞춰 구상 회화로 작업방식을 변경하였다. 모노리는 당시 현대인들이 급속도로 발달했던 대중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세계를 인식하기 때문에 사진이나 인쇄된 이미지가 더 현실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모노리는 사진, 영화, 텔레비전과 같은 여러 매체의 속성과 형식에 주목하면서 그것으로부터 수용한 이미지들을 활용한 작업을 시도했다.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모노리의 작업에서 사실과 허구적 요소는 다채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작업방식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사실성과 허구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사진을 진실의 맥락으로부터 떼어내어 재구성함으로써 허구적인 내러티브로 나타내어 정치적 현실의 모습과 현대사회의 의미생산 구조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어 실제와 허상을 동시에 보여주는 거울을 사용하여 현실의 공간과 관람객들을 작품 속에 끌어들였다. 이 과정에서 현실적 공간은 회화적 공간으로 변화되고, 관람자는 단지 작품을 감상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회화 속 내러티브의 일부가 된다. 나아가 고정관념에 의한 색채가 아닌 인공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사실적인 풍경을 비현실적인 풍경으로 나타내었다. 모노리는 시대와 맞지 않는 색채 표현방식을 통해 일상 속에서 지나칠 수 있는 죽음이나 폭력의 문제들을 가시화하였고, 화려해 보이는 도시의 삶의 허위를 느끼도록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신의 모습을 허구적인 인물로 연출하여 고정적이고 일관된 존재라고 믿어온 근대적 자아 개념을 해체하고자 했고, 예술과 모방의 문제를 다루는 원숭이 화가 이미지에 자신을 투영하여 예술가로서 정체성에 대해 성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노리의 작업 전반에 걸쳐 현실과 비현실, 사실과 허구적인 요소들이 끊임없이 교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실과 허구적 요소를 활용하여 현대 사회를 표현하는 방식은 비현실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실제 현실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기에 적합하였으며, 관람자로 하여금 그 속에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과 그러한 삶을 규정짓는 구조에 대해 주체적으로 해석하도록 여지를 남겨준다. 이로써 본 논문은 사실과 허구적인 요소를 통해 현실을 증언하는 방식을 작품으로 표출하고자 했던 모노리의 예술 세계를 총체적으로 고찰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is analytical research into narratives in Jacques Monory’s works, categorizing real and fictional elements commonly featured in his oeuvre by the way that they are utilized. One of the French Nouvelle Figuration Painting artists, Monory was a French painter who tried to capture aspects of life in reality using the properties of mass media that was developed amid French society’s rapid progress and transformation. He intended to portray aspects of the everyday and actual realities by depicting the real as unreal and the unreal or fictitious as real, rather than directly unmasking aspects of contemporary society dominated by a host of images. While analyzing Monory's works spanning the entire period, this paper also tries to examine how Monory expressed aspects of reality he witnessed by using opposing elements such as fact and fiction and reality and unreality through an analysis of narratives in his oeuvre. Monory, who started his artistic activity in the 1950s when abstract art dominated the art scene, was initially involved in abstract painting but was converted to figurative painting in the 1960s when the new tendency of figurative art emerged, as opposed to postwar abstract art. Monory thought that photographs or printed images are more real since contemporary humans indirectly perceived aspects of the world through rapidly advancing mass media at that time. Thus, he paid attention to the attributes and forms of various media such as photography, film, and television and attempted to produce pieces using images from such media. Real and fictional elements vary in Monory’s works that crosses a wide range of genres. These are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practices according to his method of working. First of all, he tries to generate fictional narratives by separating and reconstructing a photograph that has both reality and fictionality from the context of truth. With this, he intends to examine the political reality and the structure of producing meaning in a contemporary society. He brings realistic spaces and spectators into his works using a mirror showing both the real and fictional. In this process, the realistic space turns into a pictorial space, and the spectators becomes part of a narrative in his painting, departing from his or her role as an appreciator. In addition, he presented a realistic landscapes as an unrealistic landscapes by employing artificial colors rather than natural colors. His works is also a manifestation of the matter of death and violence we are apt to overlook in everyday life through color expressions methods that were out of tune with the times, and leading spectators to feel falsity of sumptuously looking urban life. In closing, Monory intended to deconstruct the concept of modern ego which is believed to be a fixed and consistent being by staging himself as a fictional figure, and to reflect on his identity as an artist by projecting himself on the image of a monkey painter dealing with problems of art and imitation.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is able to identify that reality and unreality, fact and fictional elements constantly intersect throughout Monory's works. His way of portraying our contemporary society with realistic and fictional elements seems to represent an unrealistic world, but it is adequate in showing diverse aspects of reality, and leaves room for spectators to self-interpret human beings humans living living in modern society and the structure defining such life. This thesis is of significance in terms of art history in that it attempts to comprehensively examine Monory's art world, who intended to display the way in which he testifies reality through real and fictional el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