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6 Download: 0

마사 로슬러(Martha Rosler)의 작품에 나타난 사회 비판적 특성 연구

Title
마사 로슬러(Martha Rosler)의 작품에 나타난 사회 비판적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 Critical Characteristics of Martha Rosler’s Works
Authors
박지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socially critical properties of works by the American artist Martha Rosler(1943- ). Since the late 1960, Rosler has consistently displayed her critical views toward society, working in a wide range of genres such as photomontage, video, photography,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From the beginning of career she has executed work particularly marked by gender issues, antiwar subjects, and political and economic problems. Her work is also considered somewhat heterogeneous in comparison to that of other representative feminist artists. Her way of working was seen as being somewhat distracted compared to the general trend that one’s work highlights only one subject for a certain period and then extends to other subjects over time. This study, however, considers the elemental features of her art are derived from her own realist view of art to address the issues of her time through investigations of social problems and movements. It also intends to analyze her work’s social critical features by conducting a survey of political, social, artistic tendencies since the 1960s and investigating the subjects she wanted to address. Since her high school days, Rosler was quite sensitive to social issues like justice as she received a Jewish-style ethics education and spent her adolescence in the 1950s when the Beat Generation started. In the 1960s, she took part in the antiwar movement,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the New Left movement in the turbulent period. Her critical attitude toward social issues and social participation served as a decisive motif and reason to carry out her artistic practice. Her lifetime project was determined by this activity as an artist. Rosler’s paintings are seen to be works of New Realism in that these are a representation of social issues as well as lives in her time and an adoption of ordinary objects and popular images. Her works are also seen as those of Art Activism in a social participatory tendency in that she tried to solve social issues through her work. Rosler expressed her revolt against the violence of war through works of photomontage that are the ironical juxtaposition of images pertaining to the horrors of war and the comforts of an American family. She also ridiculed absurd power structure, portraying soldiers’ vain sacrifice while she condemned American hegemonic politics hidden behind a variety of political issues raised at home and abroad. Involved in left-wing activities, she was interested in issues such as economic inequalities, authoritarianism, and human alienation. With this, she criticized American society’s economic contradiction including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between the American metropolitan areas in photographs in documentary form, installations, and a Time Square billboard work. Rosler represented the matter of hierarchy sensed at various angles, such as high culture and low culture and classical culture and pop culture in installation, postcard novel, and video. In addition, she criticized an aspect that women images are repeated and reproduced in a twisted form in mass media due to male-centered viewpoint through photomontage and video. She also touched on the meaning of housework and an unequal social perception of the role given to women. This study confirms that Rosler’s works associated with a wide array of subjects were attempts to elucidate deep-rooted problems in reality created by authoritarianism, hegemonism, and the logic of hierarchical power. Unlike other previous discussions on Rosler and her art, this paper analyzes her elemental artistic spirit from an integrating, general point of view. This study is thought of as art historically meaningful in that it newly establishes the way of approaching her art based on research on her time. ;본 논문은 미국 미술가 마사 로슬러(Martha Rosler, 1943-)의 작품 속에 나타난 사회 비판적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로슬러는 1960년대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포토몽타주나 비디오 작품, 사진 및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조형적 방법을 통해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꾸준히 표현해왔다. 특히 그녀는 젠더적 관점의 작업과 반전을 주제로 한 작업, 그리고 정치나 경제적 문제를 다루는 작업을 초기부터 최근까지 동시다발적으로 해온 것이 큰 특징이고 이러한 복합적인 특징 때문에 그녀의 작품세계에 대한 분석은 대부분 부분적으로 되어 왔다. 또한 로슬러 활동 당시의 대표적인 페미니즘 작가들과 비교하는 기준으로는 다소 이종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며, 일정 기간 동안 한 가지 주제에 집중적으로 몰입하다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른 주제로 작품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일반적인 경향과 비교하면 로슬러의 작업 방식은 다소 산만하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그녀가 살아온 시대적 배경과 로슬러가 직접 참여했던 사회 운동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그녀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근본적인 특징은 그 시대의 문제들을 있는 그대로 증언하고자 한 그녀만의 리얼리스트적 예술관에서 나온다고 보았다. 이에, 그녀가 다루어온 각 주제들의 배경이 되는 시대 상황에 대한 조사와 1960년대 이후 부각된 정치·사회적 미술 경향에 대한 분석을 선행하고, 이어서 각 작품에서 그녀가 이야기하고자 했던 주제의식을 조사하여 로슬러가 가진 사회 비판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로슬러는 유대교식 윤리교육을 받았고 1950년대 비트 세대의 청소년 시절을 보냈기에 고등학교 시절부터 사회 정의 문제에 민감했으며 1960년대에는 혼란한 시대의 한가운데에서 반전 운동과 여성해방 운동, 신좌파 운동에 참여하였다. 사회문제에 대한 이와 같은 비판적 태도와 사회 참여 활동은 그녀가 예술 활동을 전개하는 데에 있어 결정적인 시작 동기이자 목적이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예술가로서의 평생의 행보가 결정되었다. 로슬러의 작품들은 사회의 문제들과 동시대의 삶을 표현하며 일상적인 오브제나 통속적인 이미지들을 작품 속에 도입했다는 면에 있어서 뉴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이라 볼 수 있으며, 사회 운동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작품을 통해 사회 문제를 변화시키고자 한 면에 있어 사회 참여적 경향의 행동주의 미술이라 할 수 있다. 로슬러는 전쟁의 참혹한 이미지와 안락한 미국 가정의 이미지를 아이러니하게 병치한 포토몽타주 작업으로 전쟁의 폭력성에 저항하였고, 군인들의 허망한 희생을 표현하며 부조리한 권력구조를 비꼬기도 하였으며 국내외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이슈들의 이면에 숨겨진 미국 패권주의 정치의 민낯을 고발하기도 하였다. 또한 로슬러는 신좌파 활동을 하며 경제적 불평등과 권위주의 타파, 인간 소외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기 때문에 다큐멘터리 형식의 사진이나 설치 작업, 타임스퀘어의 전광판 작업 등으로 대도시의 지역 간 빈부 차에 대한 비판을 표현하였고 고급과 저급, 서구사회와 그 외 지역 문화, 클래식한 문화와 대중적 문화의 차이 등 여러 각도에서 감지되는 문화적 삶 속에 내재한 위계성의 문제 등 경제적 맥락에서 본 사회의식을 설치작업이나 엽서소설, 비디오 작업 등으로 드러내었다. 뿐만 아니라 로슬러는 여성의 모습이 매스미디어 속에서 남성중심적 시각에 의해 왜곡된 이미지로 반복 재생산되고 있음을 포토몽타주나 비디오 작업 등을 통해 비판하였고 여성이 집안에서 하는 가사 노동의 의미와 여성에게 주어진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불평등을 이야기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로슬러가 다루었던 다양한 방법과 여러 주제에 대한 작품들이 결국 권위주의와 패권주의, 그리고 위계적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현실사회의 뿌리 깊은 문제를 밝히고자 한 시도였음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본 논문은 마사 로슬러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과 달리, 보다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본질적인 작가 정신을 분석하였으며, 시대 연구에 의거하여 로슬러에 대한 접근 방식을 새롭게 정립해 보았다는 미술사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