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고려시대 철채(鐵彩) 청자 연구

Title
고려시대 철채(鐵彩) 청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eladon glazed Iron-Black Ware(Cheolchae, 鐵彩靑瓷) of Goryeo Dynasty
Authors
박소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has been to disclose the overall espects of celadon glazed iron-black ware or Cheolchae celadon, which is produced during Goryeo dynasty(918-1392), and reveal where it’s located in the development of Goryo celadon by making a comparative approach on how resembles and differs celadon glazed iron-black ware from contemporary manufacturing technique for pattern. The term "Cheolchae" literally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pigment containing large amount of iron-oxide on top of celadon in the form of an area – mainly referred to as Cheolchae celadon, which is decorated in various technique on top of it. Decorating with colors on top of a certain object dates as far back as BC, and in Goryeo celadon, it appeared in the form of Cheolhwa and Cheolchae. In previous studies, iron-chae celadon has been recognized as an incidental object to connect the sanggam(inlaid) or Cheolhwa celadon with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northern kiln of China, and have described in a macroscopic view of Goryeo celadon without reviewing the overall aspect of Cheolchae celadon. First of all, the categories of Cheolchae celadon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the clay, glaze and pigment that composed Cheolchae celadon. In particular, ‘Cheolyu celadon“ that was not including either category of Cheolchae celadon or Black Glazed Ware wa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Cheolchae celadon The classification of Cheolchae celadon follows an intuitive criteria based on manufacturing pattern technique. In prior research, Cheolchae celadon has been noted for a limited technique called Toehwa, but in practice it reveals that it contains technical elements that embody various shapes. Furthermore, the munufacturing pattern techniques of Cheolchae celadon, and the results, were identified not only to form a special shape of Cheolchae celadon, but also contained a common element of formative and technical technology among various craft techniques of the same era. Therefore, we observed that the multi-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em needs to be comprehensively. The comprehensive of shape and pattern of the Cheolchae celadon was mad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eolchae celadon, which is difficult to deduce the exact flow of the target artifacts alone, the case of same shapes of celadon of the same deformity were examined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lthough Cheolchae celadon consists of a unusual kind, it was not different from ordinary celad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abnormal shape. In addition, the patterns of various celadon poetry techniques were represented to implement the form, whil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heolchae celadon were formed. This paper devides the era of Cheolchae celadon production and comsumption into three major stag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data. In the first stage – late 11th century – the resumption of the public trade with Song in this era l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Northern Song’s cutting-edge manufaturing ceramic technique.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introduced through ceramic brought in through trade with Liao dynasty. Trade, which was then limited to the 11th century was activated in the 12th century, bringing in a large influx of new Chinese crafts. This led to the expansion of Cheolchae celadon in the 12th century along with the tendency to consume luxury goods that had been prevalent since King Yejong's reign (r. 1105-1122). The representative production sites of the time are Haenam Jinsan-ri, Gangjin Yongun-ri No.10 and Sadang-ri No. 7, especially Sadang-ri No. 7, which produced high-quality celadon, and iron-chae celadon, which clearly shows the formative influence of Chinese crafts. Next, around the 13th century, changes occurred due to factors such as the decline of Haenam Jinsan-ri ceramics, the supply and demand of metal materials, and the influx of Southern Song culture.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around the second quarter of the 13th century. First of all, inlay technique is activated due to a lack of supply and demand of gold and silver raw materials, and at the same time, the existence of the inlaid (A) technique is notable. Subsequently, after the second quarter of the 13th century, the quality of Cheolchae celadon declined due to various factors – such as the decline of the kiln in Jinsan-ri, Haenam, and the invasion of Mongolia-. During this period, the production base of Cheolchae celadon was relocated from Haenam to Gangjin, showing new shapes such as inlaid (B), incense burner, and pyeonho etc. Since then, few cases of consumption and production have been identified since the fourth quarter of the 13th century. This shows that Cheolchae celadon produced by Haenam, Gangjin, and Buan had different characteristic. First of all, it was detected that the composition ratio of each region differs from each other, and standardization of Cheolchae celadon is found in individual klins such as No. 17 in Jinsan-ri, Haenam, No. 7 and No. 8 in Sadang-ri, Gangjin. This confirmed that Haenam produced Cheolchae celadon using limited kind, patterns, and pigments, and that Gangjin had a wide range of elements but clearly observed changes over the time, and finally, Buan showed various elements far from typicality. Then,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Cheolchae celadon kind, we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they were used for national and religious ceremonies and banquet held after ceremony and that they were equipped as objects for entertaining foreign envoys. In particular, since Cheolchae celadon is most frequently excavated in the limited area of Jeolla-do, it suggested that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major Cheolchae celadon sites such as Gangjin, Wando and Jindo, and the existence of certain production-consumption zones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since the 11th century could be a clue to the consumption of Cheolchae celadon. Finally, Cheolchae celadon established a profound relationship with metalwork and lacquerware while adapting or imitating them. In particul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mitation and adaptation, hierarchies between materials were distinguished from those between materials. Also, Cheolhwa celadon, which has been noted for its association within the same material, looked at its hierarchy through janggo and cheolchae-bakji techniques. Through the difficulty of and manufacturing processes and consumption cases it is assumed that awareness of disseminated Cheolhwa and scarcity Cheolchae was formed, However, inlaid techniques, which have also been noted, have not detected similarities to the extent that special relationships are formed. From the above informati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of all, the process and form of various artifact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heolchae celadon. Also Cheolchae celadon also reflected the type of artifacts of the time, as it chanved in line with the new demand for artifact over time. As a result, Cheolchae celadon produced during the Goryo Dynasty has a generality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commo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oryo celadon, while forming its own specificity, which is composed mainly of special kind and pattern.;‘철채(鐵彩)’는 성형된 기물 위에 산화철이 다량 함유된 안료를 사용해 면의 형태로 도포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로, 주로 그 위에 각종 방법으로 장식한 것을 철채청자라고 지칭한다. 기명 위에 색채를 가해 장식하는 것은 멀게는 기원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기술이며, 고려청자에서는 철채와 철화의 형태로 등장하였다. 기존의 서술에서 철채청자는 상감이나 철화청자와 중국 북방 가마의 조형을 잇는 부수적인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철채청자 전반에 대한 검토 없이 고려청자를 바라보는 거시적인 관점에 근거하여 서술됐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철채청자의 기법, 기종, 문양을 살펴 철채청자의 전모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철채청자가 동시대 공예품 및 공예기법과 형성한 관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세기 초반까지 기록 전면에 철채청자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 예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1940년대 ‘철채청자’라는 명칭이 부여되고, 청자의 한 종류로 인지되기 시작하였지만, 그 이후로도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나 생산과 소비가 극히 드문 비주류청자라는 인식과 수량이 많지 않다는 것 때문에 생겨난 고정된 인식과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지 않다는 근본적인 한계로 인해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철채청자는 고정된 틀 안에 머물러왔다. 따라서 우선 철채청자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의 물리화학적인 분석을 참고해 철채청자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특히 철채청자와 흑유 그 어느 범주에도 포함되지 못했던 ‘鐵釉瓷’를 철채청자의 범주에 포함하였다. 철채청자의 구분은 기법을 기준으로 하는 직관적인 형태의 분류를 따랐다. 다만 기존에 철채청자는 퇴화기법이라는 한정된 기법에 주목되어 왔으나 실제로는 다양한 조형을 구현하는 기술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철채청자의 시문기법, 그리고 그 결과물은 철채청자만의 특수한 조형을 형성하였을 뿐 아니라 동시대 여러 공예기법들과 조형적·기술적 공통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 형성된 다중적 관계는 종합적으로 논구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철채청자의 출토 및 전세품의 조형을 종합하여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유물만으로는 정확한 편년과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운 철채청자의 특징을 감안하여 동일 기형 청자의 출토 사례와 조형 등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철채청자는 특수한 기종으로 구성되나 기형의 전개 양상에서는 일반 청자와 다르지 않았다. 또한 조형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청자 시문기법들의 문양표현을 차용하되 철채청자만의 독특한 특질을 형성하였다. 이상을 종합하여 철채청자와 관련한 몇 가지 이야기들을 다루고자 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철채청자의 유입과 전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11세기 후반 송과의 교역 재개와 함께 유입된 북송 황실 소용 물목들과 당시 요나라와의 교역을 통해 유입된 도자기명을 통해 철채기법이 도입되었다. 이어서 11세기 전란으로 제한되었던 교역이 12세기에 활성화되면서 중국의 새로운 문물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이것은 예종대부터 팽배했던 사치풍조와 함께 12세기 철채청자의 조형이 외연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의 대표적인 생산지는 해남 진산리와 강진 용운리 10호, 사당리 7호로 그 중 특히 고급의 청자를 생산했던 사당리 7호에서는 송의 조형적 영향이 여실히 드러나는 철채청자가 관찰된다. 다음으로 13세기 무렵 해남 진산리가마 요업의 쇠퇴, 금속원료의 수급 문제, 남송 문물의 유입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새로운 조형적 변화가 일어났다. 이 시기는 13세기 2/4분기 무렵을 기전으로 둘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당시 금은원료의 수급 부족으로 청동제 은입사기법이 활성화되며, 동시에 상감[A]기법의 존재가 두드러진다. 뒤이어 13세기 2/4분기 이후 해남 진산리 가마군의 쇠락, 몽골의 침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철채청자의 질이 하락하였다. 이 시기에는 철채청자의 생산거점이 해남에서 강진으로 이전되어 상감[B]기법과 향로, 편호 등 새로운 조형이 엿보인다. 이후 13세기 4/4분기 이후의 소비 및 생산사례는 아직까지 거의 확인되지 않지만, 일부 강진 쇠퇴기 조형이 엿보이는 출토사례가 있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해남, 강진, 부안이 생산한 철채청자는 서로 다른 고유한 조형을 생산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우선 각 지역별로 조형요소간의 구성비가 서로 차이가 있음을 포착하였으며, 해남 진산리 17호, 강진 사당리 7호, 8호 등의 개별 가마에서 철채청자 조형이 정형화된 양상이 확인된다. 해남 진산리에서는 매병-상감[C], 강진에서는 완A형-압출양각이 대표적이다. 추측건대 당시 사치품이 대량으로 유통되던 상황에서 개별 가마에서 질을 담보하기 위한 장치로 고유의 조형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해남은 제한된 기종과 문양, 안료를 사용하여 철채청자를 생산하였으며, 강진은 조형적 요소들의 범위가 넓으나 시기적 변화 양상이 뚜렷하게 관찰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부안은 전형성과는 거리가 있는 다양한 조형요소를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철채청자 기종의 특수한 성격을 고찰해 이들이 지방 대찰에서 설행된 국가 및 종교의례와 의례 이후의 연향을 위하여 활용되었거나 국외사절 접대를 위한 기물로서 구비되었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철채청자가 전라도라는 한정적인 지역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장흥, 강진, 진도 등 철채청자 주요 출토 지역과 당시 집정자들 사이의 특수한 관계, 그리고 11세기 이래 전남해안을 따라 형성된 특정한 생산-소비 권역의 존재가 철채청자 소비를 살피는 데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철채청자는 여러 재질의 공예품을 번안 혹은 모방하는 가운데 금속기 및 칠기와 깊은 관계를 구축하였다. 특히 모방·번안의 특성상 재질 사이의 위계가 형성되는 경우와 어께를 나란히 하는 조형이 구축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철채청자에 투영된 모방과 번안 형상은 당시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기물들을 철채청자를 일종의 대체재로 제작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동일 재질 내에서 연관성이 주목되어온 철화청자는 장고 및 철채박지기법을 통해 그 위계를 살펴보았으며 특히나 소비사례와 공정의 난이도를 통해 널리 보급화가 이뤄진 철화와, 그보다 고급 기명인 철채라는 인식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역시 주목되어온 상감기법은 특별한 관계가 형성될 정도의 유사성이 감지되지 않았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철채청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철채청자의 조형에는 다양한 공예품의 공정 및 조형이 영향을 미쳤으며, 철채청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새로운 공예품에 대한 수요에 발맞추어 변화하였기 때문에 당시 공예품의 유형 양상을 투영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그 결과 고려시대에 생산된 철채청자는 고려청자의 생산 및 소비의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 한편 고유의 조형을 형성하여 특수한 기종과 문양을 위주로 구성되는 입체적인 성격의 청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