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다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중국 『조선어문』 교재 개선 방안 연구

Title
다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중국 『조선어문』 교재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the Multicultural Identity
Authors
JIN, XIANYA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오늘날의 현대 사회는 정보화와 세계화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국가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사회의 인적 구성 또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는 현대인들이 다양한 유형의 문화가 하나의 제도권 안에서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를 살아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로, 다양한 민족의 수만큼이나 다양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조선족 역시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이며, 연변 조선족 자치주를 중심으로 중국 전역은 물론, 한국에까지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중국 전역에서 시행되는 공통적인 교육과정 외에 조선족의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특별한 과목들이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과목이 바로 ‘조선어문’ 과목이다. ‘조선어문’ 과목은 ‘중국소수민족교육방침’에 의해 시행되고 있으며, 교재 『조선어문』은 조선족 어문 교육의 단일 교재로서 조선족 문학 작품은 물론 중국의 다른 문학 작품, 대한민국과 북한의 문학 작품, 그리고 그밖의 다른 나라의 작품도 조선어로 번역하여 수록하고 있다. 이렇듯 『조선어문』은 문화적 정체성이 같지 않은 다양한 작품들을 수록하고 있어서 다문화교재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겠으나, 작품 선정 원리나 학습활동 구성 측면을 함께 볼 때, 학습자들의 다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교육이 충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연구는 현행 󰡔조선어문과정표준󰡕의 목표를 검토하고, 『조선어문』 교과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선족 학습자들의 다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문학 제재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중국 소수민족 교육정책과 다문화적 정체성의 주요 개념들을 확인한 후에 중국 조선족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재개념화를 진행하였다. 우선 조선족 고유의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민족의 원형적 정체성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중국 내의 다양한 민족과 화합하면서 안정적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다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해야 한다. 이는 중국 소수민족으로서 조선족의 독자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이지만, 동시에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다문화적 정체성으로 이어져 다문화 정체성 형성을 통한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내면화하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궁극적인 목표를 두어야 한다. Ⅲ장에서는 중국 조선족 고등학교 제8차 『조선어문과정표준』의 목표를 검토한 후, 조선족 학습자들의 다문화 정체성 형성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2020년 개정 『조선어문』 필수과정 4권에 수록된 문학 작품들과 학습활동의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조선족 학습자의 다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 『조선어문』 교재가 보완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중국 조선족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문화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조선어문』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조선족 학습자들을 위한 다문화적 정체성 형성의 교육 목표를 제시한 후에 교재에 수록될 작품 선정 원리와 학습활동 구성 방안을 마련하였다. 시대적 변화에 적극적인 대응책을 효과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조선족 교육은 최근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민족 언어와 민족 문화도 점점 위축되고 있다. 이는 조선족 청소년들의 민족 의식 약화와 민족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는 상황을 불러왔다. 본고에서는 민족 교육의 대표적인 교재인 『조선어문』을 통해 민족의 뿌리문화인 한민족 원형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학습자의 근본적인 민족 문화적 정체성을 명료화하였다. 다음으로 중국 조선족 역사와 현재적 삶을 형상화한 조선족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국 조선족으로서의 독자적 정체성 형성을 도모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적 주제를 다룬 다문화 작품을 선정하고, 구체적인 학습활동을 제시하여 조선족 학습자들의 다문화적 정체성 함양에 필요한 교재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개선안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보완하는 단계를 가지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조선어문』 교재에 수록된 문학 작품들을 다문화 정체성 형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가 향후 조선족 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후속 연구 활성화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Today's modern society can be summarized by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As exchanges between countries become more active around the world, the composition of society is changing rapidly. This change means that modern people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various kinds of cultures coexist in one system.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ways to improve the literary works of the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 in order to form a multicultural ident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earners in the modern society of multicultural situations. China is a multi-ethnic country with 56 ethnic groups. China has as many cultures as the number of different ethnic groups. The ethnic Koreans in China(Joseonjok) are also one of China's ethnic minorities, and they are distributed throughout China and throughout Korea, mainly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Region. In addition to the common curriculum implemented throughout China, there are special subjects that allow ethnic Koreans to maintain their ethnic identity, the most representative of which is the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The subject of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is implemented by the "Chinese Minority Education Policy", and the textbook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is a single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translates works of other Chinese literature, works of literature from Korea and Nor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such, the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contain a variety of works that do not have the same cultural identity, so it can be said that it has the requirement as a multicultural textbooks. However,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selection of works and the composition of learning activities together, it is hard to say that sufficient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to form a multicultural identity. Under this awareness, this study reviewed the goals of the current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Standards and analyzed the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identity of ethnic Korean learners. First of all, Chapter II identified the major concepts of Chinese minority education policy and multicultural identity, and then reconceptualized the multicultural identit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earner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origin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in order to maintain their own ethnic identity. Based on this, we should form a multicultural identity that can live a stable life while harmonizing with various ethnic groups in China. This is to establish the independent identity of the ethnic Koreans as a Chinese minority, but at the same time, the ultimate goal should be to build an identity as a global citizen that internalizes the universal value of mankind through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identity. In the 3rd chapter, I reviewed the goals of the 8th Korean Language Course Standard for Chinese Korean Language High School,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iterature works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four books of the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revised in 2020. I also drew up matter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to help ethnic Korean learners form a multicultural identity in the future. In the 4th Chapter, I proposed the ways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formation of a multicultural ident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hnic Korean learners. The educational goals of multicultural identity formation for ethnic Korean learners were presented, and the principles of selecting works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 and the composition of learning activities were prepared. Korean-Chinese education has been suffering a lot recently, an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China are gradually shrinking. This led to the weakening of ethnic awarenes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ethnic culture among Korean teenagers. Through my research on the representative teaching material of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I selected Korean archetypal literature, which is the root culture of Korean people, and clarified the fundamental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of learners. Next, I allowed ethnic Korean learners to form their own identity, focusing on the works of a Korean-Chinese artist who embodied the history of Chinese ethnic Koreans and the current life. Finally, I concluded the discussion by selecting multicultural works on multicultural topics and presenting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identity of ethnic Korean learners.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it does not have steps to apply the improvement plan to classrooms and then verify its effectiveness to complement it. However, I hope that the analysis of literary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identity formation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follow-up research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thnic Korean educatio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