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5 Download: 0

최신 유행어 소개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내용 연구

Title
최신 유행어 소개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Contents Using Media Texts Introducing the Latest Buzzwords : Focused on Advanced Chinese Learners
Authors
WANG, QING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rendy words are constantly generated over time and are closely related to social life. Since buzzwords vividly reflect the social image of the era in which they occur, they can be said to be invaluable data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e of the time. Therefore, using these characteristics of buzzwords, this study prepared Korean culture education contents using media texts introducing the latest buzzwords. First, in Chapter I, research on buzzwords and neologisms and research o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was reviewed, revealing the need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discussing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In Chapter II, firstly examined the concept of buzzword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buzzwor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uzzwords and new words, and then discuss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uzzwords. Next, the concept of media texts used as cultural education materials and the educational utility of media texts were reviewed, and the types of media texts to be used in this paper were determined. Las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was emphasized by examining the educational value of buzzwords an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Chapter III, data on the latest buzz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articles on 43 ‘new words themselves’ published in seven major Korean daily newspapers. Then, the final 67 popular words for cultur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through two selection criteria: educational relevance and whether the phenomenon of Korean culture was well reflected. Also, in Chapter IV, it was reviewed whether there are Chinese buzzwords corresponding to Korean buzzwords selected to prepare more appropriate 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 Chapter IV, the goal of education was first stated, and then the previously selected 67 educational uses were reviewed and compressed to present a selection list of the latest buzzword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textuality of buzzwords in the following educational contents, cultural education contents using a single media text introducing buzzwords in low context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contents using multiple media texts introducing buzzwords in high context were prepared. In addition,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active discussion activities were presented to foster learners' ability to view the latest Korean culture and its own culture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has a meaning as a cultural education research in using the educational value of buzzwords and supplementing cultural education contents for Chinese learners. However, it also has two limitations. First, due to the lack of work, when selecting buzzwords, the target of buzzwords suitable for cultural education may be missed. Second, using the media text presented in this paper, we prepare contents to educate the latest culture reflected by buzzwords, but it is not possibl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ctual education in the field. It is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 will continue to develop a more comprehensive and detailed Korean cultural education plan for Chinese Korean learners.;유행어는 시대가 흐르면서 끊임없이 생겨난다. 유행어는 발생하는 그 시대의 사회상을 만감하게 반영하므로 당시의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아주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유행어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본 연구는 최신 유행어 소개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먼저 I장에서 유행어와 신조어에 관한 연구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II장에서는 우선 유행어의 개념, 유행어의 형식적 특징, 유행어와 신조어의 관계를 살펴본 후에 유행어의 문화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문화 교육 자료로 활용되는 미디어 텍스트의 개념과 미디어 텍스트의 교육적 효용성을 검토하고 본고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미디어 텍스트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유행어의 교육적 가치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의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III장에서는 7개 한국 언론사의 일간지에 실린 ‘신조어 자체’를 주제로 하는 43개의 기사를 바탕으로 최신 유행어 자료를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교육적 적합성과 한국 문화 현상 반영 정도의 두 가지 선정 기준을 거쳐 최종 67개 문화 교육용 유행어를 선정하고 범주화하였다. 또한 IV장에서 더 적합한 문화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선정한 한국 유행어와 대응하는 중국 유행어가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IV장에서는 앞서 선정한 67개 교육용 유행어를 다시 검토하고 압축하여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최신 유행어 선정 목록을 제시하였다. 교육 내용 구안 부분에서 유행어의 맥락성에 따라 저맥락 유행어를 소개하는 단일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문화 교육 내용과 고맥락 유행어를 소개하는 복수 미디어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한국 최신 문화 및 유사한 자국 문화를 비판적인 관점으로 보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적극적인 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내용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행어의 교육적 가치를 이용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 내용을 보완하는 문화 교육 연구로서 의미를 갖는다. 다만 두 가지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첫째는 교육용 유행어 선정을 위해 검토한 자료의 수가 충분히 많지 않아 문화 교육에 적합한 유행어가 본고에서 제시한 것보다 더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본고에서 제시한 미디어 텍스트 활용 최신 문화 교육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했을 때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검증하지 못 한 것이다. 향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다 전면적이고 구체적인 한국 최신 문화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