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간판의 색채특성에 따른 시각적 복잡성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간판의 색채특성에 따른 시각적 복잡성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dict Model of Visual Complexity by Signboard Color Characteristics
Authors
이미선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간판은 우리나라 경관에서 시각적 지배력이 높은 경관구성요소로서 가로와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간판의 색채는 도시환경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하고 아름답고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소비자의 눈에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간판 색채의 오용과 남용은 도시환경의 질을 떨어뜨리고 도시의 복잡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관과 환경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간판 색채를 주제로 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오고 있지만 특정 대상지의 간판 색채 현황을 분석해 제시하는 단편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시각적 복잡성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를 위한 과학적 실험·조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판의 색채 특성이 사람들이 느끼는 시각적 복잡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상대적인 영향력 및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주거, 상업, 공업지역 내 다양한 간판 현황을 촬영 및 편집하여 100개의 자극물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자극물은 180명의 피험자에게 모니터 화면을 통해 제시되었으며, 피험자는 각각의 자극물을 보고 느껴지는 주관적인 시각적 복잡성 정도를 11점 척도 위에 표시하였다. 조사 도구로 사용된 100개의 간판 색채 현황은 시각적 복잡성 구성요소 구분 기준을 근거로 양적 특성, 질적 특성, 관계적 특성으로 나누어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간판 색채의 양적 특성에 해당하는 요소는 총 5개로 간판의 수(NTS), 건축물 파사드 면적 대비 간판의 총 면적 비율(SS/SF), 간판 바탕면적 대비 표시내용 면적의 비율(SC/SS), 표시내용 수(NC), 건축물 전체 간판에 사용된 색채의 수(NCES)이다. 간판 색채의 색채 속성을 의미하는 질적 특성은 총 6개로 간판 바탕면의 색상(CCB(H)), 명도(CCB(L)), 채도(CCB(C)), 표시내용의 색상(CCC(H)), 명도(CCC(L)), 채도(CCC(C))이다. 간판 색채의 관계적 특성에 해당하는 요소는 총 3개로 건축물 파사드와 간판의 색차(CDFS), 간판들 간의 색차(CDSS), 간판 바탕면과 표시내용 간의 색차(CDBC)이다. 자극물에 대한 정량적 색채 특성과 피험자가 응답한 시각적 복잡성과의 관계는 SPSS 26.0 프로그램의 기초통계,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판의 시각적 복잡성 인식에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사람들은 동일 자극물에 대하여 대체로 비슷한 수준으로 시각적 복잡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사람들은 간판의 복잡성 정도를 상, 중, 하의 3가지 범주로 나누어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간판 색채의 양적 특성은 모두 시각적 복잡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어 그 양이 증가할수록 사람들이 느끼는 시각적 복잡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간판색채의 양적 특성 중 면적 특성(건축물 파사드에서 간판이 차지하는 면적비율, 간판에서 표시내용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 보다 수량적 특성(간판의 수, 표시내용의 수, 색채의 수)이 시각적 복잡성에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셋째, 간판 색채의 질적 특성 중 색상은 그 자체로 시각적 복잡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색조 특성 중에서는 바탕면의 채도와 표시내용의 명도가 간판의 양적 특성 및 건축물 외벽색 현황과 관계없이 대부분의 경우에서 시각적 복잡성에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바탕면의 채도가 시각적 복잡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채도값이 커지면 커질수록 사람들이 느끼는 시각적 복잡성이 증가하였다. 넷째, 간판 색채의 관계적 특성 중 간판들 간의 색차, 건축물 파사드와 간판의 색차가 시각적 복잡성에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값이 커질수록 시각적 복잡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간판들 간의 색차가 시각적 복잡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간판 색채의 양적, 질적, 관계적 특성이 시각적 복잡성에 미치는 종합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양적 특성이 다른 특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양적 특성이 유사한 경우, 양적 특성이 많은 경우와 적은 경우 모두 간판들 간의 색차, 바탕면의 채도, 표시내용의 명도 순으로 시각적 복잡성에 유의한 수준의 정(+)적 영향을 미쳤다. 건축물과 간판의 색차는 다른 요인들에 비해 그 영향력이 아주 미비하거나 전혀 없었다. 여섯째, 간판의 색채특성 간 교호작용이 발견되었다. 간판의 수(NTS)는 건축물 파사드 면적 대비 간판의 총 면적 비율(SS/SF), 색채의 수(NCES)와의 교호작용에서 시각적 복잡성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반면 간판의 수(NTS)와 간판 바탕면적 대비 표시내용 면적의 비율(SC/SS), 건축물 파사드 면적 대비 간판의 총 면적 비율(SS/SF)과 색채 수(NCES)의 교호작용은 시각적 복잡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질적, 관계적 특성들 간의 교호작용은 양적 특성이 높은 경우에만 나타나 간판 색채의 양적 특성에 따라 그 의미가 달리 나타난다. 본 연구는 특정 대상지의 색채현황을 조사·분석하거나 복잡성을 선호도와 연결 지어 설명하는 단편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시각적 복잡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판의 색채 특성을 규명하고, 각 특성들이 시각적 복잡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다른 차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이 경관 및 간판의 시각적 복잡성 감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 signboard, which is a component of a landscape with the high visual power in our 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images of a street and a city. In particular, colors of a sign dominate an overall atmosphere of the urban environment, having a direct effect on the creation of the beautiful and pleasant urban environment. However, misuse and abuse of sign colors to catch consumers' eyes degrade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cause the complexity of a city. With the critical awareness of an issue above, researches on sign colors have been constantly conducted mainly in landscape and environmental design fields but they are generally fragmentary studies which analyzed and presented a situation of sign colors for certain target area. In addition, it is a situation that there is a lack of scientific experimental·survey research to suggest a specific measure for reducing the visual complexity. Henc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n what effect color characteristics of a sign have on the visual complexity people feel, investigating their relative influence and characteristics. For the survey, at the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s in Seoul and metropolitan regions, various signs were photographed and edited so 100 stimuli were produced. Such stimuli were presented to 180 subjects on a monitor screen and subjects marked a degree of the subjective visual complexity they felt from each stimulus on a 11-point scale. As for the colors of 100 signs used as a tool of the survey, they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dividing them into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standards for the elements of the visual complexity. The number of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sign colors is 5, including the number of signs(NTS), a ratio of the total sign area to the facade area(SS/SF), a ratio of the content area to the background area of the sign(SC/SS), the number of content(NC) and the number of colors used for the signs of the entire building(NCES). There are 6 qualitative characteristics meaning color attributes of the sign and they include the hue(CCB(H)), lightness(CCB(L)) and the chroma(CCB(C)) of the sign background, and also the hue (CCC(H)), lightness(CCC(L)) and the chroma(CCC(C)) of the content. The number of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sign colors is 3 and they are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facade and sign(CDFS), color difference between signs(CDSS) an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and content(CDBC). For the stimuli, a relation between quantitative color characteristics and visual complexity to which subjects respond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basic statistics of SPSS 26.0 program, factor/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ag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visual complexity of a sign and generally people perceived the visual complexity of the same stimulus at a similar level. In addition, as for a degree of the sign complexity, they were aware of it from 3 kinds of categories as high, medium and low. Secondly, every quantitative characteristic of sign col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isual complexity, therefore, the more its quantity increased, the more visual complexity people felt heightened. In particular, as for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sign colors, quantity characteristics (NTS, NC, NCES) had a relatively stronger effect on the visual complexity than area characteristics(SS/SF, SC/SS). Thirdly, as for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sign colors, a hue itself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visual complexity. As for the tone characteristics, it showed that in most cases CCB(C) and CCC(L) had a relatively stronger influence on the visual complexity regardless of the quantitative sign characteristics and an exterior wall color. Particularly, CCB(C)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visual complexity, hence, the more the value of the chroma increased, the more people felt the visual complexity. Fourthly, as for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sign colors, CDSS and CDFS had a relatively stronger effect on the visual complexity. Accordingly, the more their values increased, the more visual complexity heightened. Especially, CDS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visual complexity. Fifthly, the study examined the overall effects of the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sign colors on the visual complexity.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had an overwhelmingly greater effect compared with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n case of the similar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large or small quantity of those characteristics, CDSS, CCB(C) and CCC(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visual complexity in order. Compared with other factors, CDFS had little or no influence. Sixthly, the study found out the interaction between color characteristics of a sign. The interaction of NTS with SS/SF and NC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visual complex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of NTS with SC/SS, SS/SF and 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isual complexit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qualitative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existed only when there were a lot of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so its significance varied as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sign color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research in that it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sign colors which affect the visual complexity and pondered upon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characteristic on the visual complexity, escaping from the fragmentary research to survey·analyze colors of certain target area or describe the complexity in connection with preference. It is expected for these research finding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policies and plans with a view to reduction of the visual complexity of a landscape and a signboar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