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3 Download: 0

주변 풍경의 사유를 통한 내면적 탐구

Title
주변 풍경의 사유를 통한 내면적 탐구
Other Titles
Internal Exploration Through Observation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Authors
염수윤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예술은 개인의 주관적인 시선과 고유한 감정의 표현에서 나온다. 본인은 주변 풍경을 응시하고 사유한 과정을 통해 회화 작업에 내면의 감수성을 담고자 하였다. 우리가 주변의 일상을 일률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새로운 마음으로 바라볼 때, 미약하고 사소해 보이는 것들의 힘은 배가 된다. 누군가는 그것으로부터 예술적 영감을 얻기도 하고, 마음을 울리는 감동을 받기도 한다.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모든 것은 아직 원석으로 머물고 있지만, 언젠가는 새로운 가능성으로 빛날 잠재력을 품고 있는 것이다. 본인의 작업은 일상적으로 생활하면서 보는 풍경과 대상에서 시작한다. 작업의 핵심은 본인이 주목하는 것에서부터 느낀 정서와 감정을 어떻게 자유롭게 화면 안에 위치시키고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숙고의 과정이다. 본인의 시야에 들어오는 풍경들은 작고 사소한 것들에서부터 아주 광활하고 넓은 범위의 풍광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것들은 미미한 움직임을 드러내기도 하고, 보는 사람의 가슴을 벅차게 할 정도의 웅장한 떨림과 전율을 전달하기도 한다. 본인이 풍경을 큰 움직임으로 받아들이고 넓은 시야에 담으면, 풍경의 진동은 잠시 동안 흐름을 멈춘다. 이때 그 정지 속의 움직임은 본인에게 일정 부분의 시선과 절제 그리고 감성을 들여다보게 해준다. 본인의 감성으로 풍경과 대상을 관찰하는 것은 보이는 것 너머의 것들에 대한 감흥을 느끼게 해준다. 본인은 주변의 모든 것을 가까이서 편협한 시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한 발짝 떨어져서 넓고 확장된 시선으로 바라본다. 이 과정은 결국 본인의 시각에 따라 그려나가는 풍경을 정의하는 일일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나다움’ 에 대해 성찰하는 일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의 기록과 수집의 재구성으로부터 점차 심상의 풍경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기승전결의 흐름으로 서술된다. 초반 작업의 핵심은 나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곳과 자주 보는 풍경에 대한 정서적 감응을 담는 것이었다. 특히 본인의 삶이 개입되는 친밀한 공간에서 느꼈던 여러 정서적 변화는 사진 꼴라주의 변형과 재구성을 통해 다양하게 전개된다. 놀이터 속 두 가지 이상의 시선이 공존하는 작업에서는 가깝게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시선과 더욱 증폭되는 정서의 표현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다양하게 확산된 정서는 자연스럽게 공간에 대한 확장을 동반하고, 더 나아가 공간을 초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본인은 삶의 다양한 현상의 본질적 측면에 주목함으로써, 작업의 탐구 방향을 외부가 아닌 내면의 모습으로 설정하였다.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로 이행한 작업 과정은 가시적인 대상을 재현했던 틀을 벗어나서 점차 추상의 과정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유동적인 형상과 곡선들은 삶의 광활한 움직임 속에 각각의 형상들이 서로 관계 맺고 있는 모습을 암시한다. 유연한 흐름으로 표현된 심상 풍경은 불완전한 인간의 본질을 수용하고 삶의 방향성을 성찰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본인은 본 논문에서 자유로운 곡면으로 나타난 내면의 풍경에 더 비중을 두어 서술함으로써 세상을 바라보는 유연한 시각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삶과 인간의 불안정함은 작품에서 잔잔한 파동과 색들의 조화로 드러나고, 그 자체는 있는 그대로의 삶의 모습임을 나타낸다. 본인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차분한 감수성이 담긴 추상적 풍경을 계속 만들어가려 한다. 절제되고 유연한 감정을 담은 풍경은 자연스럽게 본연의 모습을 담아낼 것이고, 이 일련의 작업 과정들은 한 개인으로서 그리고 인간으로서 스스로의 가치를 찾는 삶의 여정이 될 것이다.;Art comes from the subjective gaze of the individual and their expression of unique emotions. Through the process of staring at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contemplation, I tried to express my inner sensitivity through painting. When we look at the daily life around us with a new perspective beyond our preconceptions, the power of the feeble and trivial things doubles. Through this process, some people get artistic inspiration, and for others, it can even leave a heart-warming impression. Everything surrounding an individual is like a gemstone in the shadows with the potential to shine brightly someday. My work begins with the landscapes and objects I see in my daily life. The core of the work is to consider how to freely position and organize the sentiments and emotions I feel when I focus on those things. The scenes that come into my sight range from close-ups to wide landscapes. These scenes make us sensitive to slight movements that, deliver magnificent tremors and shivers that overwhelm the viewer's heart. If we take in the landscape through a wide field of vision, the vibration of the landscape stops moving for a while. During this time, the still silence allows us to look at it with moderation and sensitivity. Observing landscapes and objects with my own sensitivity makes me feel inspired to feel beyond what I see. I don't look at everything around me from a close and narrow perspective. Instead, I look at things from a certain distance with a broad and extended perspective. This process eventually reveals a landscape that is drawn according to my own perspective. Furthermore, it reflects my 'selfhood'.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gradually moving from reconstruction of past records and collections to mental landscapes is described as a stream of transition. The heart of to my earlier works was to capture the emotions from where my life takes place and the scenery I often come across. In particular, many emotional changes I felt in the intimate spaces in my life develop through various transformations and reconstructions of photo collage. Diverse emotions naturally accompany the expansion of space, into a transcendent realm. By paying attention to the essential aspects of various phenomena in life, I set the direction of exploration for my work in its inner form, not its outer form.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made me see beyond the visible object and gradually caused me to enter into the process of abstraction. Floating shapes and curved movements show a vast picture of life in which some sha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luidly. The mental landscape expressed through flexible flowing curves, provided an opportunity to embrace the inherent appearance of an imperfect human being and allowed me to reflect on my direction in life. In this paper, I tried to convey my flexible view and sensibility of the world by giving more emphasis to the inner landscape presented as a curved and liberated surface. The instability of life and human beings is revealed by the harmony of calm waves and colors in the work, reflecting life as it is. This is not the end as I continue to create abstract landscapes with calm sensitivity. The restrained yet flexible landscapes will naturally capture life’s true nature. This series of work is synonymous with my life’s journey to find my own value in this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