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9 Download: 0

심리적 불안의 자수 조형 표현에 대하여

Title
심리적 불안의 자수 조형 표현에 대하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mbroidery Expression of Psychological Anxiety
Authors
이지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불안은 외부의 위협을 예민하게 감지하는 것으로써 인간의 생존에 도움을 주지만, 그 정도가 지나치면 일어나지 않은 위협을 상상하며 걱정하고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게 한다. 연구자는 불안장애를 지닌 사람으로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그 스트레스를 작업을 통해 해소해 왔다. 그러한 불안을 표현한 작업이 공감을 통해 타인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작품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할 필요성을 느꼈다. 때문에, 본 논문은 불안장애에서 비롯한 불쾌한 경험과 사회의 부정적인 모습을 표현한 작업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사회적 역할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과정은 문헌 조사를 통한 ‘이론적 배경 연구’, ‘표현 주제에 대한 사례 연구’, ‘작품 제작 의도 및 분석’,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품 연구를 위해 10점의 자수작품과 5점의 비즈 자수작품 등 총 15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론적 배경 연구에서는 불안장애를 심리학 문헌을 통해 연구하여 그 구체적 양상을 통해 불안이 가져온 사고의 왜곡이 연구자의 작품 세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도르노의 <미학 이론>을 통해 고통스러운 내, 외적 현실을 예술로 표현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에 따르면 예술은 사회가 배제하여 보이지 않는 자들의 고통을 드러내는 것으로 사회 비판적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불안장애를 지닌 사람들과 그 경험을 공유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불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자수작업을 진행하였으며 비즈 자수작업을 통해 집단사회의 부정(不正)을 표현하고 비판하는 것으로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 하고자 했다. 표현 주제에 대한 사례 연구 부분에서는 작품과 삶에서 불안이 드러나는 작가 사례를 알아보고 그들이 불안을 조형예술로 표현한 방법을 참고하였으며, 그것을 예술로 표현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위해서 인조 펠트에 수를 놓은 자수작업 10점과 비즈와 낚싯줄을 사용한 비즈 자수작업 5점을 만들었는데, 자수작업은 작은 펠트에 수를 놓아 불안을 표현하는 것으로 연구자의 경험에서 비롯한 불안, 자기 부정적 사고, 폭력적 충동을 강렬한 원색을 통해 고백적으로 풀어나갔으며, 비즈 자수작업은 작은 플라스틱 비즈들을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으로 설정하고 낚싯줄로 엮어 대형 작업을 만들었다. 이는 개인이 모여 집단이 되었을 때 생기는 폭력의 대물림, 집단적 사고에 의한 비판의식의 결여, 인간의 부조리한 폭력성과 같은 부작용을 비판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작업은 불안이나 세상의 부정적 모습에서 받은 내적 상처를 연구자의 관점에서 드로잉하고 이를 다시 자수로 표현해 재구성하는 것으로 불안을 다루는 새로운 방법을 알려주었다. 이는 불안장애의 완벽한 치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불안은 살아감에 따라 새로운 양상으로 계속해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불안과 더불어 살아갈 자신을 얻었으며 앞으로도 이를 작업으로 풀어나가고자 한다. ;Although anxiety makes individuals sensitive to external threats and contribute to their survival, excessive anxiety makes them avoid social interactions because of imagined threats that do not exist. The author, who has anxiety disorder and had difficulties in her daily life and relationships, relieved the stress through her artworks. Realizing that a work expressing anxiety can affect others through empathy, the author felt the need to consider the social role of the artwork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sychologically analyze the works that express the unpleasant experiences and negative aspects of society resulting from anxiety disorders and to explore their social roles.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sections: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on the expression theme’, and ‘intention and analysis of work production’.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15 pieces of artworks (10 embroidery and 5 beads embroider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dealt with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anxiety disorder and its specific aspects. This explained how the distortion of thinking caused by anxiety influenced the author's artworks. Also, using Adorno's aesthetic theory, this section examined the social implications of expressing painful external and internal reality through art. According to him, art plays a critical role in society by revealing the suffering of those who are invisible and marginalized by society. Thus, the author created embroidery pieces to share experiences with people with anxiety disorders and to help people without anxiety disorders understand anxiety. These bead embroidery pieces showed the role as a member of society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injustice of the collective society. The case study section on the expression theme included examples of artists who manifested anxiety in their works and in their lives. The section explored the ways in which they formatively expressed their anxiety and transform it into their artistic lives. For the study, 10 embroidery works on artificial felt and 5 beads embroidery works with beads and fishing line were created. These works, which expressed anxiety through embroidery placed on small felt, confessed anxiety, self-negative thoughts, and violent impulses arising from the author's experience using intense primary colors. The large-scale bead embroidery works weaved small plastic beads symbolizing individuals who make up society with a fishing line. They intended to criticize societal side effects such as the transmission of violence that occurs when individuals gather and become a group, lack of critical consciousness due to collective thinking, and irrational violence of humans. The artworks of this study sheds light on a new way to cope with anxiety by drawing the inner wounds from anxiety or negative aspects of the world from the author's point of view and re-expressing them with needlework to reconstruct them. This does not imply a complete cure for anxiety disorders; anxiety will continue to appear in new forms as individuals go through life. However,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s gained the confidence to live with anxiety and will continue to express the confidence through her art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