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베르그손의 지속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지금의 지평」의 시간성 표현에 관한 연구

Title
베르그손의 지속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지금의 지평」의 시간성 표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xpression of temporality in 「present prospect」, a newly choreographed work based on Bergson’s theory of duration
Authors
노연경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현대사회에서 개인을 비롯한 사회·문화적인 모든 생활의 근본이 되는 시간의 변화와 확장은 현존하는 인간에게 가장 원초적인 삶의 생존과도 직결되어 있는 중요한 문제로 다가오며 시간에 대한 중요성과 의미에 대하여 재인식하게 한다. 예술에서의 시간 또한 현대과학과 기술매체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으며, 이로 인해 시간과 공간에 대한 고정된 생각의 틀을 벗어나 자유로운 사고가 가능해졌다. 이처럼 새로운 매체들로 인해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이 마주한 다양하고 유연한 시간의 형태를 인식하고 존재론적 실재성인 시간의 중요성과 의미를 되새겨 보고자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 1859-1941)의 지속, 직관, 자유의 개념과의 접목을 시도하여 무대에서 나타나는 시간성과 표현의 특성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으며, 시간에 대한 새롭고 확장된 표현방법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작품창작에 적용하여 표현 범위를 넓혀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현대사회에서 변화하고 확장되고 있는 시간에 대한 관심과 탐구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시각을 통해 신체의 움직임으로 발전시켜 이로 인해 나타나는 새로운 표현의 특성을 찾아내고, 시간의 중요성과 가치를 전하고자 연구를 방향을 설정하고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대예술의 특징인 장르간의 융합과 매체에 의한 시간의 변화에 주목하여 무대 공간 안에서 가변화된 시간성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의 방법을 모색하였고, 작품에 도입하였다. 무용창작작품「지금의 지평」에서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지속’은 베르그손의 시간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기존의 시간에 대한 개념에서 새롭고 확장된 경험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속의 사유는 인간의 조건을 넘어 서는 것이며 시간과 공간의 표상을 넘어서 사유하는 것으로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롭게 확장시킨다는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무용창작 작업에서 연구자가 의도하는 작품에서의 새롭고 다양한 시간 표현을 위한 시도와 맞닿아 있다. 안무의 과정에서 연구자는‘연속적인 지금’이라는 시간성을‘흐르다’라는 표현적 측면으로 나타내고자, 현대사회에서 인간이 마주하고 있는 시간에 대한 중요성과 그 의미를 주제로 하여 지속의 시간-기억의 시간-흐르는 시간의 3장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작품 속에서 이러한 개념들이 창작의 요소로써 잘 스며들게 하여 미적인 경험으로 나타내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무대 공간 안에서 나타나는 시간성을 연속성과 내재성 그리고 실재성으로 유추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용창작작품「지금의 지평」에서 나타나는 시간성과 그에 따른 표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수한 지속의 개념을 통해 주로 드러나는 시간성인 연속성에 의한 표현방식의 특성은 다중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무용수들의 반복적인 동작으로 연속이라는 시간성을 나타내었고, 움직임과 오브제로부터 파생되는 이미지를 통해 나타나는 여러 상황을 발전시켜 정형화 되지 않은 새롭고 다양한 표현방식이 나타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서로 다른 형식을 지닌 무대표현의 매체들을 작품 안에서 조화롭게 결합시켜 다중적인 표현이 가능하게 하였고 그 결과 지속의 시간으로 진행한 장면에서 나타나는 시간성은 연속적인 시간이며, 이를 무대 위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표현 방식으로는 다양하고 가능성이 열려있는 다중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 안에서 직관의 개념을 통해 주로 드러나는 시간성인 내재성에 의한 표현방식의 특성은 상징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기억속의 이미지를 통해 모티브 동작을 설정하여 상징적인 움직임으로 이미지화 하였고, 이러한 이미지들의 총체들로 장면을 구성하였다. 내재되어 있는 시간을 끄집어내는 과정으로 기억이라는 정신의 영역을 접목시켜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영상을 통해 가상과 현실의 시간이 공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내재된 시간성을 나타내었다. 서로 다른 시간성이 보일 수 있도록 공간을 설정하여 상징적 표현에 의미를 부여하였고, 기억의 조각들을 움직임으로 상징화하여 표출하는 과정에서 서정적인 음악과 아늑하게 감싸는 조명의 빛으로 무대를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직관을 통해 내재된 시간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는 무대에서 상징적인 표현의 특성으로 드러났다. 셋째, 지속 안에서 자유의 개념을 통해 주로 나타난 실재성의 시간을 통해 드러나는 표현방식의 특성은 융합적 표현이다. 작품 안에서 자유를 나타내기 위해 무용수의 움직임의 질감과 이동경로의 구성 그리고 자유롭고 우아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음악과 오브제의 도입을 통해 무대 위에서 자유의 개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무용수의 길고 부드러운 상체의 사용으로 인해 깊이감 있게 전달되는 감정 표현으로 몰입감을 유도하여 감성적인 표현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무용수가 시간을 상징하는 오브제 위에 올라가 정면을 응시하는 마지막 장면에서 자유를 통해 광활한 우주 속에서 시·공간을 지배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실재성이 드러나도록 연출하였다. 클라이막스(climax)부분에서 더해지는 팀파니(timpani)의 웅장한 소리는 자유를 갈망하는 인간의 심장에서 들려오는 고동소리처럼 감정의 깊이를 더해주며, 자유를 상징하는 휘날리는 의상과 함께 융합되어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시작점인 인간의 존재와 시간의 본질에 대한 사유는 과학기술로 인해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이 느끼는 존재에 대한 불안함으로 인해 가치관을 비롯한 모든 영역에서의 변화 속에서 다시 본질로의 회귀를 통한 자아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철학적인 주제를 무용작품으로 발전시켜 무대에서 표현하기 위한 방법적인 제시는 창작에 있어서의 다양함과 새로움을 가져올 것이라고 보며, 무용창작에 있어 베르그손의 지속이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간성을 이끌어 내어 작품에 적용시킨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동시에 공간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비했던 시간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통해 순간의 예술인 무용이, 공연되는 그 순간에도 존재하고 표현되어지는 시간성에 대하여 주목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Change and expansion of time which serves as foundation of social and cultural lives as well as individual lives in modern society emerge as important matter directly connected to existence of humans which is the most primitive condition and make us reconsider importance and meaning of tim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possibility as new and expanded method of expression and widen scope of expression by applying it to creating works in order to recognize forms of diverse and flexible time which humans face in rapidly changing society due to new media and mediate importance and meaning of time that is ontological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haracteristics of temporality and expression shown in a stage by attempting to combine it to theory of duration by Bergson who considered flow of time as ‘duration’ and looked upon real time as forming the whole with it combined to object organically absorbed in object to find characteristics of new expression by developing thinking of time as movement of body. The author of this thesis aims to deliver importance and value of time by finding characteristics of new expression developing it to movement of body starting from interest and exploration of time changing and expanding in modern society. The author of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change of time by fusion between genres and media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and seeks method of expression to show variable temporality in stage space to apply it to work and to present such characteristics shown as a result as one of methods of expression for creating dances to widen method of and scope of approach to choreography. Duration which the author of this thesis intends to express in 「present prospect」, a newly choreographed work means new and expanded experience from existing concept of time which is key concept of philosophy of time by Bergson. Such thinking of duration that is beyond human condition means thinking beyond representation of time and space which is significant in the context of breaking existing frame and expanding it newly and which is close to attempt to new and diverse expression of time in works which the author of this thesis intends in creating dances. Accordingly, the author of this thesis composed this study into three chapters of time of duration- time of memory – time of flow themed with importance and meaning of time which humans face to express temporality of ‘continuous nowness’ as ‘flow’. Temporality shown in stage space undergoing a series of process to express as aesthetic experience by making such concepts permeate as elements of creation in works of the author of this thesis was inferred as continuity, simultaneity and reality. Temporality shown in 「present prospect」, creative dancing work which appears through such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continuity by dur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multiple expression. Temporality was expressed with dancers’ repeated movements. The author of this thesis induced so that new and diverse methods of expression can appear by developing several situations which turns up through images deriving from movements and objects. Combining media of expression for stage with different forms in work harmonically made multiple expression possible and temporality which appears in scenes as time of duration is continuous time which appears as diverse and open multiple expression as method of expression to reveal it on a stage concretely. Secondly, it is immanence by intui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symbolic expression. Motive movements were set through images in memory which became images as symbolic movement wholeness of such images compose scenes. As a process that takes out immanent time, spiritual area of memory was combined expressing it symbolically to show immanent temporaility by composing so that virtual time and real time can coexist through images. Meaning was given to symbolic expression by setting space so that different temporality can be seen and stage was realized with lights embracing snugly and lyrical music in a process of expressing pieces of memory with them symbolized as movements. As a result, symbolic expression appeared as method of expression shown in a stage by making movement to immanent time possible through intuition. Thirdly, it is reality by freedom which is characterized by amalgamative expression. Freedom in a work is visualized on a stage by feel of dancer’s movement, composition of movement path, and introduction of music and objects creating free and graceful atmosphere. Dancer using their smooth and long upper body and expression of emotion delivering deeply brings immersion and conveys emotional expression. Scene which dancer stares at a front climbing to an object reveals reality of humans as a being dominating time and space in vast universe through freedom. Using orchestra music and flapping costume symbolizing freedom makes graceful, emotional and flowing atmosphere which encompasses whole of scenes deepen that is exhibited as amalgamative expression in a work. Thinking about 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of time which serves as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introspect ego through regression to nature amid changes in all areas including anxiety about existence and sense of value which contemporary man feels in rapidly changing society due to scientific techniqu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raws diversity and newness in creation by presenting ways by developing philosophical subject into dancing work and makes rich and diverse expression possible by fusing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through a single theme by presenting characteristics as one of methods of expression for a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author of this thesis expects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which makes people pay attention to temporality of dance that is art of mo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