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2 Download: 0

청년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년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Youths’ Suicidal ideation : Focusing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uthors
선승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의 경제, 고용, 건강, 관계에서의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청년은 실업 및 고용 불안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관계에서의 고립과 건강악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은 청년의 높은 우울과 자살 경향성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 이에 청년의 자살은 사회적 관점으로 조망되어야 하고 사회적 배제는 이를 분석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하위 영역인 경제, 고용, 건강, 관계 배제가 청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우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복지패널의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인 청년 2,214명을 대상으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배제의 지표인 소득 수준과 수입 만족도는 청년의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우울의 매개효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고용 배제인 취업 여부는 청년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직업 만족도는 우울을 매개할 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건강 배제를 설명하는 만성질환 유무와 건강상태는 모두 우울을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년의 가족 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관계 만족도는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고용지원정책이 청년의 안정적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 만족도가 높을 만큼 양질의 일자리로 연계가 가능한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년이 주기적으로 건강을 관리하고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우울 및 자살생각에 개입해야 한다. 셋째, 가족 및 사회적 관계에서 청년이 적정 수준으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배제로 인한 우울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young adults’ suicidal ide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suicidal ideation. Given the economic hardship caused by recent unemployment and job insecurity, concerns on isolcation and health deterioration of young adults have increasingly raised. These complex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to high depression and suicidal tendencies among young adults. Therefore, young adults’ suicide should be viewed from a social point of view, and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se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conomic, employment, health, and relationship exclusion, the sub-domains of social exclusion, on young adults’ suicidal ideation, and identified whether depress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is process. The data came from the 14th year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a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ponses of 2,214 young adults aged 19-39 yea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come level and income satisfaction, which are indicators of economic exclus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young adults’ suicidal ide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Second, employment status, which is employment exclusion, directly affected young adults’ suicidal ideation,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when mediated by depression. Third, the presence of chronic disease and health status, both of which explain health exclusion, were found to influence suicidal ideation through depression. Fourth,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young adults mediated depression and affecte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young adult employment policy actually helps young adults to find stable employment that leads to high-quality works. Second, young adult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hould be prevented by helping them regularly manage their health and raise health awareness. Third, support for young adults to feel an appropriate level of satisfaction in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s is required. Fourth, countermeasures of social exclusion-driven depression that leads to suicidal ideation are necess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