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유방암 초기 생존자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

Title
유방암 초기 생존자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 of the Meaning in Life in Early Breast Cancer Survivors : using the Q methodology
Authors
임서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초기 생존자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삶의 의미를 일깨우고 재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의 함의를 얻고자 함이다.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가치, 태도, 신념과 같은 개인의 주관성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그들에 대한 총체적 이해의 기반이 된다. 또한, 삶의 의미가 인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고려할 때 삶의 의미 발견 및 추구, 삶의 의미 재정립과 관련한 논의는 매우 중요하다. 집중 치료기에 일시적으로 신체적 증상과 질병에 집중하던 유방암 생존자들은 일상생활로의 전환기에서 삶 전반으로 관심이 확대되며 여러 가지 어려움을 당면하게 된다. 유방암 환자가 초기 생존자로, 초기 생존자가 장기 생존자로 전환될 때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변화 속에서 그들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삶의 의미 발견 및 재정립을 도모하고 유방암 생존자들이 더 높은 삶의 질을 영위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유방암 초기 생존자들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유형화 및 유형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방암 초기 생존자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 유형을 밝히고자 연구의 시작 단계에서 Q 모집단 표집을 위한 심층면접과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45개의 Q 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추출을 통해 최종적으로 47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다. 이후 Q 표본 분류를 위하여 조사대상자로 원발성 유방암을 진단받고 치료 종료 시점으로부터 2년~5년이 지난 유방암 생존자를 연구 대상자로 모집하였으며 이들에게 Q 표본 분류, 분류 이유에 대해 확인하는 면접을 실시하였다. Q 표본 분류를 위한 Q 분포는 –5에서 +5로 구성된 11점 분포도를 활용하였고, PC QUNAL Program을 활용한 요인분석을 통해 유방암 초기 생존자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유방암 초기 생존자의 삶의 의미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총 4개의 유형이 추출되었다. 첫 번째, 내면 성숙형(제 1유형)은 유방암이라는 고통의 순간 자체에도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존재 자체를 소중히 여기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유방암 생존자로 살아가며 내적으로 성숙하고, 나를 알아가는 과정이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내면 성찰과 영적 지지를 통해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탄력성이 있는 유형이다. 두 번째, 관계적 가치추구형(제 2유형)은 유방암과 관련한 고통의 순간 속에서도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삶의 영역을 유지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느끼고 있었다. 이들은 ‘관계’ 속 자신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변화한 상황 속에서도 삶의 의미와 방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가족 내에서 역할을 다하고, 근로활동을 유지하며 자신에 대한 대견함과 삶에 대한 애정을 재확인한 유형이다. 세 번째, 양가적 현재만족형(제 3유형) 양가감정과 같은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를 동시에 경험하고, 유방암과 관련한 불안과 후회는 잔존하지만 그에 머무는 삶이 아니라 삶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하는 자신만의 방법을 통해 삶의 의미를 새기는 유형이다. 즉, 유방암 투병 자체를 잊으려 하거나, 상대적 안도감을 느끼며 현재에 만족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이로써 삶의 반경은 축소되었지만 그럼에도 힘든 고비를 넘긴 현재에 만족하고 마음의 안정을 추구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유지하는 유형이다. 네 번째, 고착 소진형(제 4유형)은 유방암 생존의 경험을 통한 부정적 정서의 증폭으로 삶의 의미와 목표를 재정립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유방암 치료를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암에 고착되어 삶의 통제감과 방향을 상실하고 유영하는 가운데‘자신’을 사랑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지만 고립과 무망감 등으로 유방암 투병 이후의 새로운 삶의 목표, 삶의 태도의 변화 없이 삶의 의미를 정립하지 못하고 있는 유형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함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방암 생존자의 투병 경험과 삶의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유방암 진단이라는 사건이 오히려 성숙하고 의미있는 삶으로 이끄는 변곡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삶의 의미 추구 및 발견을 위해 ‘성찰’과 ‘다차원적 지지’가 요구되며 이를 통해 삶의 의미 발견과 재정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유형 도출과 각 유형의 특성에 따라 개별화된 사회복지 개입 방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유방암 생존자에 대한 국가 및 민간 차원의 관심이 증대될 필요가 있으며 암 투병 과정에서 여러 형태의 지지와 교류를 통해 삶의 여정을 지속하고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료 현장에서 암 치료, 암 생존자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방암 이외의 다른 종류의 암 생존자를 포함하는 포괄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결혼하지 않거나, 자녀가 없는 등 다양한 가족 형태의 유방암 생존자를 포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초기 생존자뿐 아니라 장기 생존자로 대상을 확대하여 진단 및 치료 기간에 따른 세부적인 구조와 유형을 확인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한 시점에서 유방암 생존자가 인식하는 삶의 의미를 확인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유방암 생존자가 삶의 의미를 인식하는 과정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암이 가족 사건(family affair)으로 인식되는 것과 가족 중심적인 한국의 사회를 고려할 때 암 생존자가 인식하는 삶의 의미와 가족이 인식하는 삶의 의미를 비교,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meaning in life in early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practice to understand their meaning in life and support readjustment. The perceptions of the meaning in life of breast cancer survivors is the basis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of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at they reflect individual subjectivity such as their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lso, considering that the meaning in life is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discussions related to discovering and pursuing the meaning in life and re-establishing the meaning in life are highly important. Breast cancer survivors, who used to temporarily focus on physical symptoms and disease during the intensive care phase, expand their interest in life as a whole during the transition to daily life and face a number of difficulties. Therefore, when breast cancer patients become early survivors and then become long-term survivors, understanding their perceptions of the meaning in life in their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redefine the meaning of their lives and to achieve the higher quality of life.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used the Q methodology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meaning in life of early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ypes and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a total of 145 Q populations were constru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for sampling the Q popul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and 47 Q sample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extraction. For subsequent Q sample classif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etermined as breast cancer survivor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primary breast cancer and survived 2 to 5 years after the end of treatment.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m to confirm the Q sample classification and the reasons for classification. An 11-point scale from –5 to +5 was used for the Q distribution that classified the Q sample. Factor analysis using the PC QUNAL Program revealed the types of perceptions of the meaning in life of early breast cancer survivors. As a result, a total of four types were extracted for the perceptions of the meaning in life of early breast cancer survivors. First, the inner mature type (the first type) gave their own meaning to the painful moments of breast cancer and experienced changes in valuing their own existence. They recognized that the process of internally maturing and getting to know themselves while living as breast cancer survivors is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in life. Through introspection and spiritual support, they have the resilience to proactively and independently create the meaning in life. Second, the relational value-seeking type (the second type) felt the meaning in life by fulfilling their roles and sustaining a realm of life in the midst of painful moments related to breast cancer.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mselves in the ‘relationship’, they were able to maintain the meaning and orientation of their lives despite the changed circumstances. They did their roles in the family, maintained employment, and reaffirmed their respect for themselves and their love for life. Third, the ambivalent compromising type (the third type) experienced ambivalence, the combination of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at the same time. They still had the anxiety and regret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but rather than obsessing over them, they reflected on the meaning in life through their own way of discovering the positive aspects of life. In other words, they tried to forget the past of their battle with breast cancer, or to be content with the present with a feeling of relative relief. Although it reduced the spaces of their lives, they maintained the meaning in life by being satisfied with the present that they had overcome difficult times and seeking peace of mind. Fourth, the fixation and burn-out type (the fourth type) had difficulty in redefining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because of the amplification of negative emotions from the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survival. Even though they completed treatment for breast cancer, they were still fixated in the cancer and wandered around, losing control and direction in their lives. Altough they realized the importance of loving themselves, their isolation and hopelessness prevented them from establishing a new life goal after battling breast cancer, a meaning of life without changing their attitudes toward lif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shedding light on the experience and meaning in life of breast cancer survivor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vent of breast cancer diagnosis could be a turning point leading to a more mature and meaningful life.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reflection' and 'multidimensional support' are required for the search and discovery of the meaning in life, which can facilitate the discovery and re-establishment of the meaning in life.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an individual-focuse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thod according to type deriv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urth,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creasing national and individual interest i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support to continue life's journey and find meaning through various forms of support and interactions in response to cancer.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a paradigm shift is needed for cancer treatment and cancer survivors in the medical fiel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future studies can include comprehensive studies involving other types of cancer survivors in addition to breast cancer. Second, future studies can include breast cancer survivors with various family types, such as unmarried or childless individuals. Third, future studies can identify detailed structures and type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agnosis and treatment, including long-term survivors as well as early survivors. Fourth, although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in life perceived by breast cancer survivors at one point in time, future studies can include a longitudinal perspective on the process of breast cancer survivors' perceptions of the meaning in life. Fifth, considering the family-oriented Korean society where cancer is perceived as a ‘family affair’, future studies can compare the meaning in life perceived by cancer survivors with the meaning in life perceived by their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